실리콘관 삽입술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3월 19일 (토) 09:07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코눈물관 폐쇄 환자에서 시행하는 실리콘관 삽입술 (silicone tube intubation, STI)[1] 은 1968년 Keith[2]가 처음 보고하였다.

적응증

실리콘관의 종류

코눈물관 스텐트 참고

장점

실리콘관은 눈물점의 손상이나 각결막의 자극 정도가 적고, 눈물소관에 대한 기계적 마찰에 따른 손상이 적은 점[5]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술기가 복잡하고 전신 마취를 요하는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CR) 에 비해, 단독으로 시행되는 실리콘관 삽입술은 비점막을 보호한다는 수술 방법의 유용성을 보이며 국소 마취로 시술이 가능하고 수술 후 회복이 빨라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도 시행 가능하다.

참고

  1.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Keith CG. Intubation of the lacrimal passages. AJO. 1968 Jan;65(1):70-4. 연결
  3. Fulcher T et al. Nasolacrimal intubation in adults. BJO. 1998 Sep;82(9):1039-41. 연결
  4. Beigi B et al. Results of Crawford tube intubation in children. Acta Ophthalmol (Copenh). 1993 Jun;71(3):405-7. 연결
  5. Snead JW et al. Effects of the silicone tube on the canaliculus : an animal experiment. Ophthalmology. 1980 Oct;87(10):1031-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