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 절제술/부작용
수술 중
결막 단추 구멍
출혈
결막편 아래쪽과 전방 내에서 출혈이 여과포의 반흔과 여과의 실패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여과 수술에서 효과적인 지혈은 아주 중요하다. 출혈은 여과 수술 중과 후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결막편이 절개될 때 결막 및 상공막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나기도 하고, TLE 시 공막편이 12시 방향에 가깝게 박리된다면 앞섬모체 혈관으로부터 출혈이 일어난다. 공막 절개 시 공막 돌기보다 뒤쪽으로 절개하면 대홍채 동맥륜이 손상되어 출혈이 일어난다. 또한 홍채 절제술을 할 때 본의 아니게 섬모체 돌기가 절제되어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공막절개부 내부에서 출혈의 기시부가 보인다면 단극 수하 열치료가 지혈에 도움을 준다. 만일 출혈의 기시부가 보이지 않는다면 에피네프린 (1:1,000) 한두 방울을 공막 절개부 위에 떨어뜨린다. 전방 출혈이 수술 중에 발생하면 평형 염액을 주입하여 공막 절개부를 통하여 세척한다.
매우 드물게 맥락막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 또는 죽출성 출혈이 수술 중에 나타날 수가 있다. 안압의 갑작스러운 감소로 인한 큰 맥락막혈관의 파열과 관련된다. 맥락막 내 또는 맥락막 상강의 출혈은 특히 저안압이 있는 무수정체안 그리고 고도근시안에서 수술 후 초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갑자기 심한 안통이 있는 것이 특징 이다.
유리체 소실
전방 내로 시행한 절개가 너무 뒤쪽에 위치하여 섬모체를 관통하거나 주변 홍채 절제술 시 섬모체 소대를 절개하여 발생한다. 수정체 탈구 또는 무수정체안에서는 홍채 절제를 하는 동안 유리체면이 바로 홍채 뒤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유리체 탈출 가능성이 있다. 그 외 고도근시와 반대측 눈에서 유리체탈출이 있었던 경우에도 가능성이 높다. TLE 시의 유리체 탈출은 나쁜 예후를 반영하므로, 탈출된 유리체는 Weck-Cel 스폰지와 가위로 공막 절개공에서 완전히 제거하고, 홍채 절개 부위와 인접 부위에 있는 유리체는 유리체 절제기로 완벽하게 제거해야 한다. TLE를 시행한 소아의 소눈 (buphthalmic eye) 의 12%에서 유리체 소실이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수정체의 크기는 정상이나 전안부의 크기 증가로 인하여 수정체와 섬모체 사이의 섬모체 소대가 견인되어 있어 홍채 절제술 시 유리체가 파열되면서 유리체 탈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공막편 해리
공막편을 앞쪽으로 박리하여 갈 때 본의 아니게 윤부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절단되는 경우 이의 처치는 공막 절개술이 이미 되어 있는가 아닌가에 따라 달라진다. 만일 공막 절개술이 시행되지 않았으면 그 사분면에서 전체층 여과술을 하거나 다른 사분면에서 TLE를 시행한다. 만일 내측 공막 절개술이 시행되었으면, 전방 내부로의 개구부가 너무 크게 되어 과도한 방수 여과와 저안압을 초래하게 되므로, 10-0 nylon으로 공막 절개부 위로 공막편을 조심스럽게 정확히 재봉합한다.
섬모체 해리 틈새
각공막절 개가 공막돌기 뒤쪽에서 시행되거나, 공막 절개 시 공막 돌기가 섬모체로부터 찢어지거나, 홍채 절제술 시 과도하게 당기면 발생할 수 있다.
맥락막 삼출
맥락막 상강에 삼출액이 고인 것으로, 상공막 혈관의 확장을 동반하고 있는 스터지-웨버 증후군과 소안구에서 TLE 시 발생하기 쉬우며, 수술 도중에 갑자기 전방이 얕아지게 된다.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