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홍채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레이저 |
잔글 →백내장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 장점 == | == 장점 == | ||
* 외래에서 짧은 시간에 쉽게 시술할 수 있고, 보통 한번의 시도로 성공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양안에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내장으로 심한 시야 손상을 입어 주시점이 침범된 환자는 시술 후 발생되는 약간의 안압 상승에 의해서도 시야 손상이 악화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있고, 쇠약하거나 나이 많은 환자들에게 단기간에 여러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하다. | * 외래에서 짧은 시간에 쉽게 시술할 수 있고, 보통 한번의 시도로 성공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양안에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내장으로 심한 시야 손상을 입어 주시점이 침범된 환자는 시술 후 발생되는 약간의 안압 상승에 의해서도 시야 손상이 악화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있고, 쇠약하거나 나이 많은 환자들에게 단기간에 여러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하다. | ||
*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결막이 손상되지 않아 추후 녹내장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에 도움이 되고, 수술적 홍채 절제술을 할 경우 백내장 발생과 진행이 흔하지만, 레이저 홍채 절개술에서는 거의 없다<ref>Quigley HA. LT FU of laser iridotomy. ''Ophthalmology''. 1981 Mar;88(3):218-24. [https://pubmed.ncbi.nlm.nih.gov/7231918/ 연결]</ref>. | *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결막이 손상되지 않아 추후 녹내장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에 도움이 되고, 수술적 홍채 절제술을 할 경우 백내장 발생과 진행이 흔하지만, 레이저 홍채 절개술에서는 거의 없다<ref name=r5>Quigley HA. LT FU of laser iridotomy. ''Ophthalmology''. 1981 Mar;88(3):218-24. [https://pubmed.ncbi.nlm.nih.gov/7231918/ 연결]</ref>. | ||
* 레이저 시술은 전신적인 이유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도 가능하며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홍채 실질 기질의 혈관이 응고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가 좋다. | * 레이저 시술은 전신적인 이유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도 가능하며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홍채 실질 기질의 혈관이 응고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가 좋다. |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시술 전 준비 == | == 시술 전 준비 == | ||
=== 레이저 === | === 레이저 === | ||
초기에는 continuous-wave 아르곤 레이저가 가장 많이 쓰였다<ref name=r2 /><ref name=r3 />. 그 외에도 pulsed 아르곤 레이저와 krypton 레이저도 효과적인 레이저이지만 현재는 pulsed Nd:YAG 레이저가 보편화되면서 가장 널리 쓰이게 되었다. | 초기에는 continuous-wave 아르곤 레이저가 가장 많이 쓰였다<ref name=r2 /><ref name=r3 />. 그 외에도 pulsed 아르곤 레이저와 krypton 레이저도 효과적인 레이저이지만 현재는 pulsed Nd:YAG 레이저가 보편화되면서 가장 널리 쓰이게 되었다<ref>Goldberg MF et al.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d-YAG laser iridotomy in the human eye. ''BJO''. 1987 Aug;71(8):623-8. [https://pubmed.ncbi.nlm.nih.gov/3651378/ 연결]</ref><ref>Klapper RM. Q-switched Nd:YAG laser iridotomy. ''Ophthalmology''. 1984 Sep;91(9):1017-21. [https://pubmed.ncbi.nlm.nih.gov/6548556/ 연결]</ref>. | ||
=== 렌즈 === | === 렌즈 === | ||
| 96번째 줄: | 96번째 줄: | ||
=== 절개 부위의 폐쇄 === | === 절개 부위의 폐쇄 === | ||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 ||
== 망막 손상 == | === 백내장 === | ||
대부분의 연구에서 | 아르곤 레이저 사용시 절개부위의 뒤쪽에 있는 수정체 전낭에 국소적인 혼탁이 흔히 나타난다. 백내장이 진행되어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 진행하지 않으며 백내장이 진행되는 비율은 수술하여 홍채를 절제하는 경우와 비슷하다<ref name=r5 />. ALI 시 레이저 조사 부위가 동공연에 가까울수록 수정체혼탁 발생률이 높고, 백내장의 발생률은 천공의 성공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 ||
== 녹내장 == | |||
== 동공 폐쇄 == | Nd:YAG 레이저 시 수정체낭의 손상과 백내장 발생은 드물며,수정체의 변화가 훨씬 적게 발생한다. 동물실험에서 절개부위가 관통된 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를 추가로 조사하여도 수정체손상은 없었고, 6 mJ 이하의 출력이나 burst당 1~2 pulses 는 수정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나 더 큰 출력이나 burst당 3 pulses는 국소적 손상을 일으킨다. | ||
=== 망막 손상 === | |||
대부분의 연구에서 LI는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아르곤 레이저 사용 후 간혹 홍채를 절개한 쪽의 망막이 손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레이저광을 망막 주변부로 향하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 |||
=== 녹내장 === | |||
PACG 환자에서 LI 후에도 녹내장이 지속되는 경우 (post-iridectomy glaucoma) 는 동공 차단 이외의 또 다른 기전이 복합된 녹내장이다. AACG 환자에서 LI 후 [[악성 녹내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AACG 환자에서 Nd:YAG LI로 치료한 후에도 녹내장 증상이 재발될 수 있으므로, 재발의 위험성을 알아내기 위해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 |||
=== 동공 폐쇄 === | |||
드물게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색소에 의해 동공 폐쇄가 일어나 시력이 떨어지고 안저 검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아마도 레이저에 의한 염증과 시술 후 장기적인 축동제 사용이 원인일 듯하다. 따라서 안압 조절을 위해 축동제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산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드물게 레이저 홍채 절개술 후 색소에 의해 동공 폐쇄가 일어나 시력이 떨어지고 안저 검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아마도 레이저에 의한 염증과 시술 후 장기적인 축동제 사용이 원인일 듯하다. 따라서 안압 조절을 위해 축동제가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산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
== 시력 장애 == | === 시력 장애 === | ||
홍채 절개 부위가 윗눈꺼풀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지면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선이 보이게 되는데 절개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거나 윗눈꺼풀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드물게 복시를 호소할 수 있다. 복시는 윗눈꺼풀과 눈물층이 절개 부위로 들어오는 빛을 이등분할 때 나타나게 된다. 윗눈꺼풀에 의해 홍채 절개 부위가 잘 가려져도 복시를 느낄 수 있는데 | 홍채 절개 부위가 윗눈꺼풀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지면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선이 보이게 되는데 절개 부위가 완전히 노출되거나 윗눈꺼풀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드물게 복시를 호소할 수 있다. 복시는 윗눈꺼풀과 눈물층이 절개 부위로 들어오는 빛을 이등분할 때 나타나게 된다. 윗눈꺼풀에 의해 홍채 절개 부위가 잘 가려져도 복시를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위눈꺼풀 가장자리의 눈물띠가 만드는 프리즘 효과 때문이다<ref>Weintraub J et al. Blurring after iridotomy. ''Ophthalmology''. 1992 Apr;99(4):479-80. [https://pubmed.ncbi.nlm.nih.gov/1584561/ 연결]</ref>. 또 색깔 있는 콘택트렌즈를 쓰면 증상을 없앨 수 있다. | ||
{{참고}}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