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레이저 홍채 절개술: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번째 줄: 7번째 줄:
== 장점 ==
== 장점 ==
* 외래에서 짧은 시간에 쉽게 시술할 수 있고, 보통 한번의 시도로 성공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양안에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내장으로 심한 시야 손상을 입어 주시점이 침범된 환자는 시술 후 발생되는 약간의 안압 상승에 의해서도 시야 손상이 악화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있고, 쇠약하거나 나이 많은 환자들에게 단기간에 여러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하다.
* 외래에서 짧은 시간에 쉽게 시술할 수 있고, 보통 한번의 시도로 성공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양안에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내장으로 심한 시야 손상을 입어 주시점이 침범된 환자는 시술 후 발생되는 약간의 안압 상승에 의해서도 시야 손상이 악화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입원할 필요가 있고, 쇠약하거나 나이 많은 환자들에게 단기간에 여러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입원이 필요하다.
*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결막이 손상되지 않아 추후 녹내장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에 도움이 되고, 수술적 홍채 절제술을 할 경우 백내장 발생과 진행이 흔하지만, 레이저 홍채 절개술에서는 거의 없다<ref>Quigley HA. LT FU of laser iridotomy. ''Ophthalmology''. 1981 Mar;88(3):218-24. [https://pubmed.ncbi.nlm.nih.gov/7231918/ 연결]</ref>.
*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피할 수 있고, 결막이 손상되지 않아 추후 녹내장 여과 수술이 필요할 경우에 도움이 되고, 수술적 홍채 절제술을 할 경우 백내장 발생과 진행이 흔하지만, 레이저 홍채 절개술에서는 거의 없다<ref name=r5>Quigley HA. LT FU of laser iridotomy. ''Ophthalmology''. 1981 Mar;88(3):218-24. [https://pubmed.ncbi.nlm.nih.gov/7231918/ 연결]</ref>.
* 레이저 시술은 전신적인 이유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도 가능하며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홍채 실질 기질의 혈관이 응고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가 좋다.
* 레이저 시술은 전신적인 이유로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에서도 가능하며 출혈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홍채 실질 기질의 혈관이 응고되어 출혈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가 좋다.


97번째 줄: 97번째 줄: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특히 아르곤 레이저 홍채 절개술인 경우 시술 후 첫 수 주 동안 색소와 조직 파편이 축적되어 절개 부위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 협착을 방지하지 위하여 시술 후 4~6주 동안 계속 [[필로카르핀]]을 점안하는 것이 좋다. 절개 부위가 시술 후 6주 내에 막히면 재시술하여 확장시켜야 한다. 계속해서 절개 부위로 방수가 잘 안 통하고 안압 상승이 지속되지 않으면 4~6주 이후에는 축동제를 끊어도 안전하다. 축동제 사용을 중단한 후 절재 부위가 기능하는지 알기 위해 산동제 유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경우 절개 부위가 폐쇄되는 것은 1%로 매우 드물지만, 만성 포도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폐쇄된다.{{br}}후에 폐쇄각 녹내장의 발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홍채 절개 부위의 최소 직경은 아직 불확실하며 환자마다 다르나 보통 최소 150~200㎛ 의 크기가 되어야 한다. 절개 부위가 잘 통하는지는 절개 부위를 통해 수정체 전낭이나 유리체면을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확인 방법이다. 투과 조명법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가끔 잘못될 수 있는데 특히 청색 홍채에서 홍채 실질 기질이 그대로 남아 방수가 통과하지 못하는 데도 단지 색소 상피가 이동된 것이 투과 조명 검사, 역반사 조명 검사 시 결손 부위로 보일 수 있어 관통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 백내장 ===
=== 백내장 ===
아르곤레이저 사용시 절개부위의 뒤쪽에 있는 수정체 전낭에 국소적인 혼탁이 흔히 나타난다. 백내장이 진행되어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 진행하지 않으며 백내장이 진행되는 비율은 수술하여 홍채를 절제하는 경우와 비슷하다.ALI 시 레이저 조사 부위가 동공연에 가까울수록 수정체혼탁 발생률이 높고,백내장의 발생률은 천공의 성공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Nd:YAG 레이저 시 수정체낭의 손상과 백내장 발생은 드물며,수정체의 변화가  
아르곤 레이저 사용시 절개부위의 뒤쪽에 있는 수정체 전낭에 국소적인 혼탁이 흔히 나타난다. 백내장이 진행되어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 진행하지 않으며 백내장이 진행되는 비율은 수술하여 홍채를 절제하는 경우와 비슷하다<ref name=r5 />. ALI 시 레이저 조사 부위가 동공연에 가까울수록 수정체혼탁 발생률이 높고, 백내장의 발생률은 천공의 성공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훨씬 적게 발생한다. 동물실험에서 절개부위가 관통된 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를 추가로 조사하여도 수정체손상은 없었고,6 mJ 이하의 출력이나 burst당 1~2 pulses 는 수정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나 더 큰 출력이나 burst당 3 pulses는 국소적 손상을 일으킨다.
 
Nd:YAG 레이저 시 수정체낭의 손상과 백내장 발생은 드물며,수정체의 변화가 훨씬 적게 발생한다. 동물실험에서 절개부위가 관통된 후 아르곤이나 Nd:YAG 레이저를 추가로 조사하여도 수정체손상은 없었고, 6 mJ 이하의 출력이나 burst당 1~2 pulses 는 수정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나 더 큰 출력이나 burst당 3 pulses는 국소적 손상을 일으킨다.


=== 망막 손상 ===
=== 망막 손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