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 기록
보이기
아래의 목록은 최근에 삭제된 문서입니다.
- 2022년 3월 18일 (금) 2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굴 신경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얼굴신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2월 14일 (월) 00: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이차 언가지 혈관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9월 26일 (일) 01: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 취소했습니다 (판 7개)
- 2021년 9월 26일 (일) 01: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이차 언가지 혈관염 (secondary frosted branch angiitis)'''{{망막}} 은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언가지 혈관염을 말한다. == 원인 ==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눈 톡소플라즈마증, 전신성 루푸스, 크론씨병, 베체트병, 피부근염, 눈 매독, 사르코이드증...".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9월 16일 (목) 1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폐쇄각 녹내장 (angle-closure glaucoma; ACG)</b> 은 다른 병적인 요인이 없이 섬유주와 홍채가 접촉하여 전방각이 폐쇄되고, 그 결과 방수 유출 장애로 발생하는 녹내장이다. == 역학 == 폐쇄각 녹내장의 유병률은 눈의 안구 계측치와 관계가 있으며, 좁은 전방각을 첫째 원인으로 본다. 안구 계측치는 주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8월 18일 (수)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텐 병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바텐 병 (Batten diseas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NCL) 은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군으로 리소좀 내 다양한 물질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5월 24일 (월) 0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근시 변화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급성 근시 변화 (acute myopic change)''' == 병인 == Ikeda 등은 섬모체 맥락막 삼출물과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섬모체 돌기 및 홍채의 전방 전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정체-홍채 격막이 전방 이동하여 폐쇄각 녹내장을 유발하고 섬모체 부종이 섬모체 소대를 이완시켜 수정체 두께를 증가시켜 근시가...".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2월 5일 (금) 09: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연관 공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면역 연관 공막염 (immune related scleritis)</b> == 역학 == 어느 연령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나 30~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6:1)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span style='color:blue;'>52%가 양안에 발생하며, 그 중 반이 동시에 발병</span>한다. 인종간에 차이는 없다. == 관련 질환 == 재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1월 22일 (금)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관 삽입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실리콘관 삽입 (silicone tube intubation; STI)</b> == 실리콘관의 종류 == * Crawford 관 * Quickert & Dryden 관 == Crawford 관을 이용한 수술 방법 == # 실리콘관을 삽입할 때에는 먼저 혈관 수축제를 적신 거즈나 면봉을 아래 코선반 밑으로 잘 위치시켜 비점막과 아래 코선반의 혈관을 충분히 수축시켜 놓아야 한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1월 11일 (월) 00: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료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치료 콘택트 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b> == 역사 == 1800년대 의사인 Xavier Glezowsk가 'Plaquettes' 라는 젤라틴 물질을 이용한 치료용 렌즈를 처음 사용한 이래, Miller가 유리로 보호용 덮개를 토안 환자에게 21년간 착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1950년대 후반 PMMA 하드 콘택트렌즈를 백내장 수술 후...".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10월 23일 (금) 0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집중 펄스 광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집중 펄스 광선 (intense pulsed light; IPL)</b>".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8월 17일 (월) 1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목차숨김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onlyinclude><div class="toclimit-{{{1|3}}}">__TOC__</div></onlyinclude>".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8월 10일 (월) 08:20 Smile 토론 기여님이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논문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고원 홍채와 원발 폐쇄각 녹내장의 중증도 |{{AJO}} |Monisha E Nongpiur, Sushma Verma, Tin A Tun, Tina T Wong, Shamira A Perera, Tin Aung |2020 Jul 28 |32735788 |10.1016/j.ajo.2020.07.033 }} == 목적 == 표준화된 초음파 생체 현미경 (UBM) 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도의 원발 폐쇄각...".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31일 (금)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Adenoviral conjunctivitis)</b><ref name="ref1">{{각막}}</ref> <i>Adenovirus</i>는 바이러스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원인 == 51가지의 인간 <i>Adenovirus</i> 혈청형이 있으며, A에서 F까지의 아종이 발견되었다. 그 중 32가지가 아속 D에 속한다. == 분류 == * 인두 결막열 * 유행 각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24일 (금) 0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생 혈관 녹내장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신생 혈관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NVG) 은 홍채와 전방각의 표면에 생기는 섬유혈관막에 의하여 발생한다. 처음에는 그 막이 단순히 전방각을 막다가 후에는 수축하여 주변 홍채앞 유착이 일어난다. 일차 질환에 의하지 않고 대부분 허혈성 변화가 오는 다른 질환들과 동반하여 나타난다.<BR /> &n...".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후천 활차 신경 마비 (acquired trochlear nerve palsy)</b> == 회복 == 회복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허혈 또는 탈수초로 인한 경우에는 몇 주 지나 개선되며, 흔히 완전히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수술을 포함한 외상에 의한 마비는 많은 경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자연 회복되므로 수술적 교정을 고려하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선천 활차 신경 마비 (congenital trochlear nerve palsy) 는 드물지 않다.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활차 신경과 핵의 무형성, 무발생 또는 형성 부전이 원인이다. == 역학 ==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가끔 보통 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임상 양상 == 환자의 대부분은 신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활차 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IV palsy)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의 부분 또는 완전 마비를 일으키며, 대개 시간이 흐르면서 같은 쪽 하사근 기능 항진이 나타난다. == 분류 == * 선천 활차 신경 마비 * 후천 활차 신경 마비".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3일 (월) 04: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외향 신경 마비 (abducens nerve palsy; 6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VI palsy) 는 단독 눈운동 신경 마비 중 가장 흔하다. 그 중에서도 허혈이 원인인 단독 마비가 가장 많고, 선천 마비는 대부분 다른 신경 이상을 동반한다. == 후천 외향 신경 마비 == === 핵 병변 === === 다발 병변 === === 거미막밑 공간 병변 === ==...".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9일 (목)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동안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후천 동안 신경 마비 (acquired oculomotor nerve palsy)</b> == 핵 병변 == 양안의 눈꺼풀 처짐과 완전 동안신경 마비, 양안 내직근 마비, 윗눈꺼풀 올림근과 상직근 이외의 단일 외안근 침범 등의 양상이 나타날 때는 핵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한쪽의 동안신경 마비를 동반한 반대쪽의 상직근 마비 및 양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6일 (월) 2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눈물 주머니염 (dacryocystitis)</b> == 분류 == * 급성 눈물주머니염 * 만성 눈물 주머니염 : 급성과 달리 통증과 팽대가 없을 수 있으며, 한쪽 눈에 만성적인 결막염이나 눈물 흘림 등의 증상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참고|성형안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6일 (월) 2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급성 눈물주머니염 (acute dacryocystitis)</b> == 원인 == 눈물 주머니나 코눈물관의 폐쇄로 정상적인 눈물 흘림이 막혀 정체가 생기고 여기에 감염이 되는 것인데, 가장 흔한 원인균은 <i>pneumococci</i> 이며, 이외에 <i>streptococci</i>, <i>diphtheroids</i>, <i>Klepsiella pneumoniae</i>, <i>Haemophilus influenzae</i>, <i>Pseudomonas ae...".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24일 (수) 1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르크너 검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부르크너 검사 (Bruckner test) 는 "1962년 Bruckner가 발표한 방법으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나 미세 사시에서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각막 반사와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 밝기로 사시 유무를 판정한다. == 검사 방법 및 해석 == 반암실 상태에서 직접 검안경으로 두 눈을 동시시에 미출만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 세포 결핍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윤부 줄기 세포 결핍 (limbal stem cell deficiency; LCD)</b> == 원인 == * 선천성 :- 무홍채증 :- 외배엽 이형성증 * 외상성 :- 화학 화상 :- 열 화상 :- 의인성 윤부 줄기세포 결핍 * 자가 면역성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안반흔 유사 천포창 == 임상 소견 == 초기에는 세극등 현미경 상 보크트 울타리(palisade of...".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 세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윤부 줄기 세포 (limbal stem cell; LSC)</b>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익상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작성자의 요청: 내용: "<b>익상편 (군날개; pterygium)</b> 은 결막에서 각막 쪽으로 확장하는 삼각형 날개 모양의 섬유혈관 조직으로, 결막 상피와 비후된 결막하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열반과 달리 혈관이 매우 풍부하다. 군날개는 검열반으로부터 생길 수 있으며 조직적으로 유사하다. 이 병변은 눈꺼풀 사이 영역...".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익상편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작성자의 요청: 내용: "익상편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하게는 공막 노출법 부터 복잡하게는 표층 각막 이식술이나 양막 이식술까지 다양하게 시행된다. 다양한 치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결막 윤부 이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자가 결막 윤부 이식 (conjunctival limbal autograft; CLAU)</b> 은 "환자의 건강한 눈의 결막 윤부 조직을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반대편 눈에 이식하는 술기로, 편측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우선적인 치료 방법이다. 고려할 점은 건강한 눈이 향후 윤부세포 결핍이 발생할 위험성이 없어야 한다는 것...".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8일 (월) 15: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자가 이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결막 자가 이식 (conjunctival autograft) 은 익상편 제거 후 노출된 공막 부위에 상이측 결막을 떼어낸 후 자가 이식하는 방법이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8일 (월) 14: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노출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공막 노출법 (bare scleral method)</b> 은 1948년 D'Ombrain이 익상편의 두부와 체부를 비측 안쪽 눈구석까지 절제하고 공막 부분은 노출된 채 남겨 재상피화되게 하는 방법을 처음 기술했다. 이는 지금도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재발을 막지 못하며</span> 아주 작...".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7일 (일) 1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결석 (concretions) 은 눈꺼풀 결막에서 발견되는 하얗거나 노란 점 모양의 병변으로, 종종 투명한 낭포에 싸여 있다. 결석은 나이 든 사람에서, 혹은 염증에 대한 이차성 반으으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변성은 트라코마 감염의 후기에 갖아 흔히 나타나며, 트라코마 감염에서 Herbert씨 함몰과 상부 눈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4일 (목) 0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육불화황 가스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육불화황 (sulfur hexafluoride; SF6) 가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5월 30일 (토) 1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성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30일 (토)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30일 (토)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20일 (수) 07: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12일 (화) 08: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7일 (목) 00: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맥 정맥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4월 28일 (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성 각결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24일 (화)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아교질 교차 결합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23일 (월) 05: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료용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9일 (목) 01: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드루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전막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터지 웨버 증후군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이상)
- 2020년 3월 16일 (월) 16: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초음파-섬모체 돌기 거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오류.)
- 2020년 3월 16일 (월)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제목 오류)
- 2020년 3월 12일 (목) 14:06 Smile 토론 기여님이 Swedish interactive threshold algorithm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이 맞지 않음)
- 2020년 3월 12일 (목) 0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준 편차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잘못된 내용)
- 2020년 3월 12일 (목)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잘못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