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6월 26일 (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경로 (visual pathyway)'''{{신경안과}} == 구성 == * 눈 * 시신경 * 시신경 교차 (optic chiasm) * 시삭 (optic tract) * 외슬상체 (later...)
- 2023년 6월 26일 (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속목 동맥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내경동맥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6월 9일 (금) 1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마일/합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마일 : 합병증'''{{스마일}} == 수술 중 == == 수술 후 == === 상피 내생 === 때로 스마일 수술 후에 상피 내생이 관찰될 수 있다. 경첩의 절삭...)
- 2023년 6월 9일 (금) 1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스마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스마일 수술, 2023 (김국영 등, 군자 출판사)</ref>)
- 2023년 6월 9일 (금) 14: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마일/수술 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마일 : 수술 방법'''{{스마일}})
- 2023년 6월 7일 (수) 07: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측 공간 무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측 공간 무시 (hemispatial neglect)''')
- 2023년 6월 6일 (화) 1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순수 읽기언어 상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순수 읽기언어 상실 (pure alexia, alexia without agraphia)'''{{신경안과}} == 병인 == 얼굴인식은 우뇌가 우세하게 기능하는 반면 읽기에는 좌뇌가...)
- 2023년 6월 6일 (화) 0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종양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종양 망막병증 (paraneoplastic retinopathy)''' 은 종양 세포의 직접적인 침윤 없이 발생하는 망막질환이다. Sawyer 등이 1976년에 처음 기술하였...)
- 2023년 6월 6일 (화) 0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면역 부종양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부종양 자가면역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6월 6일 (화) 0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부종양 자가 면역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비부종양 자가면역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6월 6일 (화)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면역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가면역 망막병증 (autoimmune retinopathy, AIR)'''{{신경안과}} 은 망막 항원에 반응하는 전신적인 자가면역 항체에 의해 망막이 손상되고 이...)
- 2023년 6월 2일 (금) 1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이형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이형성 (optic disc dysplasia)'''{{신경안과}} 은 매우 심하게 변형된 시신경유두가 다른 질환의 진단분류에 부합하지 않을 때를...)
- 2023년 6월 2일 (금) 1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손 (coloboma)''' 이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축소 또는 훼손을 의미하며, 의학 용어로는 주로 눈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 종류 == * 맥락망...)
- 2023년 5월 28일 (일) 16: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유두 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5월 28일 (일) 15: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마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마근 (frontalis muscle)'''{{신경안과}} 은 두피 후두부에서 시작한 머리덮개 널힘줄 (galea aponeurotica) 이 이마 부위에서 근육으로 변한 것으...)
- 2023년 5월 28일 (일) 1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올림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올림근 (levator palpebral muscle)'''{{신경안과}} 은 Zinn 고리에서 기원한 후,안와 위를 따라 앞으로 주행하여 Whitnall인대 근처에서 널...)
- 2023년 5월 22일 (월) 06: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토노아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토노아이 (TONOI)'''{{녹내장}} (씨엔브이텍 주식회사, 원주, 대한민국) 는 휴대가 가능한 비접촉식 안압계이다. == 원리 == 각막 중심부에 공...)
- 2023년 5월 22일 (월)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툭시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툭시맙 (rituximab)''' 은 B세포 분화 과정 중 early pre-B세포에서부터 성숙 B세포 단계까지 세포막에 발현되는 CD20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
- 2023년 5월 19일 (금) 0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스크 관련 건성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스크 관련 건성안 (mask-associated dry eye, MADE)''' 은 마스크 착용 시에 마스크와 코 사이 틈에서 스며 나오는 고속, 고온의 입김이 안구의...)
- 2023년 5월 19일 (금)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비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비후 (pachychoroid)'''{{망막}} 의 정의는 아직 확실히 확립된 바가 없으며 보고들마다 조금씩 정의를 달리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 2023년 5월 15일 (월) 08: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부 정맥 혈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부 정맥 혈전증 (deep vein thrombosis, DVT)''' == 위험 인자 == 외상, 수술, 지속적인 침상 생활 시 발생할 수 있으며<ref>Kearon C et ak. Deep vein thro...)
- 2023년 5월 9일 (화) 08: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 렌즈 유발 급성 충혈안 문서를 콘택트렌즈 유발 급성 충혈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5월 9일 (화) 07: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층 각막 이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전층 각막이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5월 8일 (월) 08: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중심정맥 폐쇄/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전신 질환 치료 ==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전신혈관 위험인자의 확인 및 치료가 CRVO 환자에서 중요하다.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등 전...)
- 2023년 5월 1일 (월) 0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시 (binocular vision)'''{{사시}} == 발달 == 출생 시 시피질에는 70%의 양안시 시피질 신경세포와 나머지의 단안시 시피질 신경세포가 존재...)
- 2023년 4월 11일 (화) 0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도포비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도포비어 (cidofovir)'''{{망막}} == 적응증 == ===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 === 5 mg/kg 용량으로 주 1회, 2주간 유도 치료 후, 같은 용량으...)
- 2023년 3월 31일 (금) 08: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장액 망막 박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장액 망막박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3월 25일 (토)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로르프로마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로르프로마진 (chlorpromazine, CPZ)''')
- 2023년 3월 22일 (수) 01: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균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균 각막염 (sterile keratitis)'''{{각막}} == 병인 == 항원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 외부 항원에 대한 과민 반응, 면역복합체의 침착이 병인으...)
- 2023년 3월 20일 (월) 08: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paraproteinemic keratopathy)'''{{각막}} == 역학 == 이상단백혈증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안구 관련 합병증이나, 환...)
- 2023년 3월 20일 (월)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상단백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단백혈증성 각막병증 (paraproteinemic keratopathy)'''{{각막}} 은 혈액 내 단일 면역글로불린이 증가된 병을 말한다<ref>Girard LP et al. IgM Parapro...)
- 2023년 3월 20일 (월) 06: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소대 약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소대 약화 (zonular weakness)'''{{백내장}} == 발견 == === 수술 전, 산동 전후 === 수술 전에 섬모체 소대 약화의 유무나 그 정도를 파악하...)
- 2023년 3월 20일 (월) 04: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떨림 (phacodonesis)''' 은 섬모체 소대의 부분적인 파열로 인해 안구 운동 시 수정체가 떨리는 것을 말한다. 백내장 수술을 시행할...)
- 2023년 3월 5일 (일)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AREDS2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AREDS2 (2013)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3월 3일 (금) 01:07 Smile 토론 기여님이 AREDS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AREDS (2001)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28일 (화) 1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땀샘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땀샘 낭종 (hidrocystoma)'''{{성형안과}}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드문 양성 표피 낭성 병변이다. == 종류 == * 에크린 땀샘 낭종 * 아포크린...)
- 2023년 2월 28일 (화) 16: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닥 세포암 (눈꺼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바닥세포암 (눈꺼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28일 (화)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암종 (endocrine mucin 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EMPSGC)'''{{성형안과}} 은 매우 드문 땀샘 기원의 저분화된 종양으로서 19...)
- 2023년 2월 27일 (월) 14: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hydroxychloroquine, HCQ)'''{{망막}} sulfate는 클로로퀸의 독성을 줄인 아날로그 제제로서, 말라리아의 치료 및 예방 약제...)
- 2023년 2월 27일 (월) 08: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회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회절 (diffraction)''' 은 빛이 작은 구멍을 통과할 때 그 경계면에서 빛이 휘어지는 현상이다. 근접한 두 개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면 통과된...)
- 2023년 2월 27일 (월) 08: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refraction)''' 이란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그 경계면에서 빛의 진로가 꺾이는 현상을 말하며, 거의 모든 광학 기구가 이...)
- 2023년 2월 27일 (월) 05: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인드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인드롭 (Raindrop)''' 인레이 (ReVision Optics, Lake Forest, CA, USA) == 형태 ==)
- 2023년 2월 27일 (월) 0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캄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캄라 (KAMRA)''' 인레이는 처음으로 미국 FDA 승인을 받은 [각막 인레이 이다. == 원리 == 동공을 줄여주는 효과를 내어 주변부의 광선을...)
- 2023년 2월 26일 (일) 1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인레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인레이 (corneal inray)''' == 종류 == * 캄라 (KAMRA) 인레이 (AcuFocus Inc., Irvine, CA, USA) : 핀홀 원리를 이용해 초점 심도를 증가시켜 노안을...)
- 2023년 2월 26일 (일) 1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렉시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렉시뷰 (Flexivue)'''{{각막}} microlens 는 3.2 mm의 이중 광학부가 있고, 중심부 (1.6 mm) 에는 굴절력이 없어 원거리를 볼 수 있고, 주변부에는...)
- 2023년 2월 26일 (일) 00: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라루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라루스 (CLARUS)'''{{망막}} (Zeiss)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colspan=2|기술 사양 |- |상품명||CLARUS 500 |- |시야각||<li>광각 (1장) : 133˚<...)
- 2023년 2월 25일 (토) 2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버스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버스톤 (Silverstone)'''{{망막}} (Optos PLC, UK)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colspan=2|기술 사양 |- |colspan=2|{{외부사진|1=https://w...)
- 2023년 2월 25일 (토) 2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옵토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옵토스 (Optos®)''' == 연혁 == * 1990 : 5세의 Leif Anderson 에게 자연 망막 박리가 발생했고, 그의 아버지인 Douglas 는 진보된 망막 영상 시스템을...)
- 2023년 2월 25일 (토) 1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나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나코 (Monaco)'''{{망막}} (Optos PLC, UK)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colspan=2|기술 사양 |- |colspan=2|{{외부사진|1=https://www.optos.com/4a22b0/gl...)
- 2023년 2월 25일 (토) 1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캘리포니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캘리포니아 (California)''' (Optos PLC, UK)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colspan=2|기술 사양 |- |상품명 (모델명)||Daytona (P200T) |- |모델 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