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낭 절개술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후낭 절개술 (posterior capsulotomy)[1]

효과

시술 후 약 83~96%에서 시력 개선이 있었다.

적응증

후낭 혼탁을 인해 발생한 시력 감소 및 시기능 저하가 있을 때 후낭 절개술 시행한다. 후낭 절개 외에 다른 시력 저하의 요인이 있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금기

절대 금기

  • 레이저의 초점을 흐리게 하는 각막 혼탁, 불규칙한 각막 표면 또는 부종 등이 있을 때
  • 환자의 협조도가 떨어질 때 (환자가 주시점을 바라보지 못할 때

절대 금기

  • 유리로 만들어진 인공수정체가 삽입되어 있을 때
  • 낭포 황반 부종이 진단되었거나 의심될 때
  • 활동성 안내 염증이 있을 때
  • 망막 박리의 고위험군일 때

시술 전 환자 준비

시술 방법

십자 (cruciate) 절개

후낭을 관찰하면서 긴장선 (tension line) 이 있는지를 관찰한다. 긴장선이 있다면 이에 수직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초기에 개구부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먼저 12시 방향에서 초기 빔을 발사한 다음 6시 방향으로 내려가면서 레이저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3, 9시 방향으로 개구부를 늘려간다. 만약 동공 영역에 절개 피판이 남아있다면 피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후퇴하게 하거나 뒤쪽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통조림 따개 (can-opener)

주변부 아래만 전낭과 이어지도록 둥글게 피판을 만들어 뒤쪽으로 넘기는 방법이다. 피판 아래가 떨어져서 뒤로 넘어가서 유리체에 남아있다면 시력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 (christmas tree)

12시 방향에서부터 레이저를 조사하다가 지속적으로 인공수정체에 레이저 자국이 만들어진다면 조사 방법을 바꾸는 것이 좋다. 6시 방향 아래로 전진하는 대신에 코쪽과 귀쪽, 두 갈래로 나누어서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시축으로의 직접 조사를 피한다.

시술 후 관리

레이저 조사 직후 알파2 길항제 (브리모니딘, 아프라클로니딘) 나 베타 차단제를 점안하고, 안압 상승의 위험 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시술 1시간 후 다시 점안한다. 일부에서 수술 후 홍채염이 발생하므로, 술자에 따라 시술 후 1주 정도 점안 스테로이드나 조절 마비제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합병증

참고

  1. 백내장 4판, 2022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일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