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시맙
파리시맙 (faricimab) (Vabysmo™, Genentech, San Francisco, CA) 은 혈관내피 성장인자 A (VEGF-A) 와 angiopoietin-2 (Ang-2) 에 동시에,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복합 기전의 약물로[1], 2022년 1월 미국 FDA에서 당뇨 황반부종 (DME) 및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 의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종류
제품명 | 성분, 함량 | 용량 | 제조사 | 약가 |
---|---|---|---|---|
바비스모 주 | faricimab 28.8mg | 0.24ml | 한국 로슈 | 696,197원/0.24ml/병 |
용법, 용량
투약 방문 사이의 관찰은 환자의 상태와 의사의 판단에 근거하여 결정되어야 하지만, 투여 사이에 매월 관찰할 필요는 없다.
wAMD
권장 용량인 6mg (0.05ml) 을 첫 4회 투여 시 4주마다 (매월) 유리체내 주사로 투여한다.
이후 치료가 개벽화될 수 있도록 치료 시작 20주 및/또는 24주 후에 해부학적 및/또는 검사 결과에 근거한 질병 활성도 평가가 권장된다. 질병 활성이 없는 환자의 경우 16주 (4개월) 마다 이 약을 투여하고, 활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매 8주 (2개월) 또는 12주 (3개월) 마다 투여한다. 8주 미만의 투여 간격에 대한 안정성 자료는 제한적이다.
DME
권장 용량인 6mg (0.05ml) 을 첫 4회 투여 시 4주마다 (매월) 유리체내 주사로 투여한다.
이후는 치료 및 연장 (treat-and-extend) 방법을 사용하여 개별화된다. 환자의 해부학적 및/또는 시력 검사 결과에 대한 의사의 판단에 따라, 투여 간격을 4주 단위로 증가하여 최대 16주 (4개월) 까지 연장할 수 있다. 검사 결과가 변경되면 그에 따라 치료 간격을 조정해야 하며, 악화되는 경우 간격을 축소해야 한다. 4주 미만의 간격은 연구되지 않았다.
세부 인정 기준 및 방법[2]
허가 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 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
wAMD
투여 대상
AMD에 의한 황반하 맥락막 신생혈관을 가진 환자. (다만, 반흔화된 경우나 위축이 심한 경우 등은 투여 대상에서 제외함)
투여 방법
- 초기 3회 투여 후에도 치료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애플리버셉트 또는 라니비주맙 또는 브롤루시주맙 주사제에서 동 약제로 교체 (투여 소견서 첨부) 하여 3회 투여 후에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5회 투여부터는 교정시력이 0.1 이하인 경우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단안시의 경우 사례별로 인정)
※ verteporfin (품명 : 비쥬다인) 과의 병용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