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3일 (금)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2 (margin reflex distance 2; MRD2) 는 "검사자와 환자의 눈높이를 같게 하고 제일 안위에서 각막 반사와 아랫 눈꺼풀까지의...)
- 2020년 3월 13일 (금) 04: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1 (margin reflex distance 1; MRD1) 은 제일 안위에서 각막 반사로부터 윗눈꺼풀 중앙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정상이...)
- 2020년 3월 13일 (금) 04: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LPI) 은 "동공 차단으로 생긴 페쇄각 녹내장에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을 곧바로 시행할...)
- 2020년 3월 13일 (금) 04:39 Smile 토론 기여님이 IOND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schemic Optic Neuropathy Decompensation Trial (IONDT))
- 2020년 3월 13일 (금) 04:39 Smile 토론 기여님이 OFFI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ptical fiber-free intravitreal surgery system (OFFISS), Topcon)
- 2020년 3월 13일 (금)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EIB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ected image binocular ophthalmoscope system (EIBOS) (Moller-Wedel, Wedel, Germany))
- 2020년 3월 13일 (금) 0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스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스칼 (Pattern scan laser system; PASCAL) 은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subthreshold micropulse 광응고술과 532nm double-frequency Nd: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 2020년 3월 13일 (금) 0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과불화 탄소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과불화탄소액 (perfluorocarbon liquid; PFCL) 은 탁월한 산소 운반능력과 생체 내 불활성으로 인해 처음에는 혈액 대용물의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2020년 3월 13일 (금) 03: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이델베르그 망막 혈류 측정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이델베르그 망막 혈류 측정기 (Heidelberg retinal flowmetry; HRF))
- 2020년 3월 13일 (금) 03: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초점 주사 레이저 검안경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cSLO) 는 "표적인 시신경유두 영상분석기법 중의 하나로 1990년대에 급속도로 발...)
- 2020년 3월 13일 (금)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역학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광응고술은 병소 부위만 아니라 병소 주변의 정상 신경망막에도 손상을 주므로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생 혈관...)
- 2020년 3월 13일 (금)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합 효소 반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합 효소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
- 2020년 3월 13일 (금)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s; FGF) 예전에 망막 신생혈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이 되던 인자이다. 산...)
- 2020년 3월 13일 (금) 0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슐린양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슐린양 성장 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인슐린양 성장 인자는 과거 레이저 광응고술이 도입되기 전 시상하부절제술이 당뇨망막병...)
- 2020년 3월 13일 (금) 03: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상피 유래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상피 유래 인자 (pigment epithelial-derived factor; PEDF) 는 다른 인자에 비해 비교적 최근에 소개되었으며, VEGF와 함께 망막의 혈관 성장과 신...)
- 2020년 3월 13일 (금)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최종 당화 산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종 당화 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
- 2020년 3월 13일 (금)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최종 당화 산물의 수용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종 당화 산물의 수용체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RAGE))
- 2020년 3월 13일 (금) 0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TL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oll-like receptor (TLR) 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 항원의 분자 패턴을 인식하는 수용체이다.)
- 2020년 3월 13일 (금)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TRAI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NF-related apotosis-inducing ligand (TRAIL))
- 2020년 3월 13일 (금)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ID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doleamine dioxygenase (IDO))
- 2020년 3월 13일 (금) 03:23 Smile 토론 기여님이 MI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 2020년 3월 13일 (금)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동공 온열 요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동공 온열 요법 (transpupillary thermotherapy; TTT) 은 810㎛의 비교적 긴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가진 다이오드 레이저(diode laser)의 변형된 형태를...)
- 2020년 3월 13일 (금)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초광각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초광각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 (ultra wide-field fluorescein angiography; UWFA) 는 Optos와 같이 200˚까지 한 사진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이다. 가장...)
- 2020년 3월 13일 (금) 0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후낭 원형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후낭 원형 절개 (posterior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tomy; PCCC) == 적응증 == * 백내장 수술 도중 후낭이 작은 크기로 파열되었을 때 * 후낭...)
- 2020년 3월 13일 (금)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낭 원형 절개를 위한 개방형 고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낭 원형 절개를 위한 개방형 고리 (open ring guider for CCC; ORGC) 는 전낭 위에 올려놓고 그 내경을 따라 전낭 절개를 하도록 도와준다. 투...)
- 2020년 3월 13일 (금)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간섭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간섭계 (laser interferometer; LI) 은 단색광의 헬륨-네온 레이저 빛을 2개의 광원으로 배열하여 망막에 조사하여, 망막 표면에 회절에 의...)
- 2020년 3월 13일 (금) 0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잠재 시력 측정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잠재 시력 측정기 ((Guyton-Minkowski) potential acuity meter; PAM) 는 "백내장이 있는 수정체에서 혼탁이 없는 투명한 부분을 찾아 내어 이 부분을 통...)
- 2020년 3월 13일 (금) 0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낭 혼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
- 2020년 3월 13일 (금) 0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 간엽 전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 간엽 전이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는 수정체 상피 세포의 섬유아세포(fibroblast)로의 분화를 말한다.)
- 2020년 3월 13일 (금)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각막 이완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 각막 이완 절개 (peripheral corneal relaxing incision; PCRI))
- 2020년 3월 13일 (금) 0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이완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윤부 이완 절개 (limbal relaxing incision; LRI) 는 윤부에서 0.5~0.6mm의 깊이로 4~12mm까지 이완 절개를 시행함으로써 각막 이완 절개에 비해 여러...)
- 2020년 3월 13일 (금) 0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완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이완 절개 (corneal relaxing incision; CRI))
- 2020년 3월 13일 (금)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황반 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당뇨 황반 부종 (diabetic macular edema; DME) 은 당뇨병 환자에서 황반 중심으로부터 1 유두지름 이내의 망막이 국소적으로 또는 미만성으로 두...)
- 2020년 3월 13일 (금)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형된 수정체낭 팽창 고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변형된 수정체낭 팽창 고리 (modified capsular tension ring; MCTR))
- 2020년 3월 13일 (금) 0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부심 검사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부심 검사기 (brightness acuity tester; BAT) 는 작고, 휴대성이 좋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눈부심 장애 측정기...)
- 2020년 3월 13일 (금) 02: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염화 벤잘코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염화 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BAK) 은 안과의 대표적인 보존제로서, 이 보존제가 들어 있는 용액을 사용한 후 심각한 각막 부종과 각막...)
- 2020년 3월 13일 (금)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염 녹내장 출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막염 녹내장 출혈 증후군 (uveitis, glaucoma, and hemorrhage syndrome; UGH) 은 전방 인공 수정체와 관련된 포도막염이 출혈 및 녹내장과 동반되는...)
- 2020년 3월 13일 (금)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True net pow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rue net power (TNP) 는 "Pentacam 검사 상 분석되는 여러가지 수치 중의 하나로, 각 지점에서의 각막 전후면을 고려한 실제 각막 굴절력을 나타낸...)
- 2020년 3월 13일 (금)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탄 물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탄 물질 (ophthalmic viscosurgical devices; OVD) 은 안과 수술 시 각막 내피세포의 손상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데, 백내장 수...)
- 2020년 3월 13일 (금) 02:2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연관 림프형 조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연관 림프형 조직 (conjunctival-associated lymphoid tissue; CALT))
- 2020년 3월 13일 (금) 02: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크레아티닌 인산화 효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크레아티닌 인산화 효소 (creatinine phosphokinase; CK))
- 2020년 3월 13일 (금) 0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육각형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육각형성 (hexagonality; 6A) 은 경면 현미경 검사에서 육각형 세포의 비율로서, 육각형 세포가 50% 미만인 경우는 비정상이며 수술 후 각막 부...)
- 2020년 3월 13일 (금) 02: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연속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연속 봉합 (double continuous suture; DCS) 은 두 개의 연속봉합이 창상의 안정성을 증가시켜주는 장점이 있으나 술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 2020년 3월 13일 (금) 02: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뒤층판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뒤층판 각막 이식 (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PLK) 은 수용 각막의 후부 실질의 일부를 포함한 내피 세포와 데스메막을 이식하는 방법이다.)
- 2020년 3월 13일 (금) 02: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층판 각막 내피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층판 각막 내피 이식 (deep lamellar endothelial keratoplasty; DLEK))
- 2020년 3월 13일 (금) 02: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내피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내피 이식 (endothelial keratoplasty; EK) 은 "표층 각막이식 중 하나로, 각막 내피 세포를 이식하기 위해 시행하는 각막 이식 수술법이다. 각...)
- 2020년 3월 13일 (금) 02:14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성 아밀로이드증 핀란드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족성 아밀로이드증 핀란드형 (familial amyloidosis, Finnish; FAF))
- 2020년 3월 13일 (금) 00: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형광 청소율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형광 청소율 검사 (fluorescein clearance test; FCT) 는 눈물 교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일정량의 형광 염색액을 결막낭에 넣고...)
- 2020년 3월 13일 (금) 00:58 Smile 토론 기여님이 글루코사미노글리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글루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s; GAGs))
- 2020년 3월 13일 (금) 00:56 Smile 토론 기여님이 HED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rpetic Eye Disease Study (HEDS) == 연구의 목적 == * 국소 항바이러스 제제를 사용하는 기질 각막염에서 국소 스테로이드의 치료 효과 * 국소 항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