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편위

외편위 (exodeviation)[1]

원인

1897년 Duane[2]은 외편위의 원인으로 신경 분포의 불균형에 의해 능동적인 눈모음과 눈벌림 운동의 상호 작용이 깨져서 외편위가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Bielschowsky[3]는 해부학적, 기계적 인자를 외편위의 원인으로 생각하였는데, 휴식 상태에서 나타나는 안구의 비정상적인 외편위가 외사시를 일으키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정상인에 비해 간헐 외사시 환자에서 안와축이 더 벌어져 있다는 증거는 없다.

외편위의 원인으로 외안근의 비정상적인 부착이나 외안근 유착 등 기계적 인자도 주장되었으나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니며, 최근에는 여러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4]. 그 외 Crouzon 증후군,사두증 (plagiocephaly) 과 같은 안와 이상, 교정하지 않은 근시나 고도 원시 등의 굴절 이상, 외안근 이상, 중추신경계 이상, 약물에 의한 선천 이상 등도 외사시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5], 미숙아에서 사시 발병률이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유전

쌍둥이의 사시 발현 양상을 조사한 연구에서,일란성에서는 82.4%, 이란성에서는 47.6%의 일치율을 보였으며, 특히 조절 내사시와 간헐 외사시에서 높은 일치율을 보여 이 두 사시에서의 유전적 요인을 추정해 볼 수 있다[6].

국내[7]에서도 일란성 쌍둥이 39쌍을 대상으로 사시 유형별 일치율을 조사하였는데, 간헐 외사시는 21쌍 중 15쌍 (71%) 에서 일치하였다. 일란성 쌍둥이에서 모두 발현된 경우, 형태 뿐만 아니라 발현 시기, 사시각, 입체시, 수술 결과와 재발 성향도 흡사하였다. 그러나 일란성 쌍둥이에서도 사시 발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시 발현에 유전적 요인 외에 다른 요인도 복합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다.

분류

참고

  1. 최신 사시학 5판, 2024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Duane A. A new classification ofthe motor anomalies of the eyes based upon physiological principles, together with their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Ann Ophthalmol Otolaryngol 1896;5:969.
  3. Bielschowsky A. Divergence excess. Arch Ophthalmol 1934;157:12
  4. Burian HM. Pathophysiology ofExodeviations. St Louis:Mosby-Year Book, 1971;119.
  5. Donders FC. An Essay on the Nature and the Consequences of Anomalies of Refraction. Philadelphia: P Blakiston’s Son & Co, 1899;59.
  6. Matsuo T et al. Concordance of strabismic phenotypes in monozygotic vs multizygotic twins and other multiple births. Jpn J Ophthalmol. 2002 Jan-Feb;46(1):59-64. 연결
  7. 조명진 등, 일란성 쌍둥이에서 발생한 사시의 임상적 고찰, JKOS 2007;48(9):1263-126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