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결막 결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역학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결막 결석 (conjunctival concretion)'''{{각막}} 은 눈꺼풀 결막에서 발견되는 하얗거나 노란 점 모양의 병변으로, 종종 투명한 낭포에 싸여 있다.
'''결막 결석 (conjunctival concretion)'''{{각막}} 은 눈꺼풀 결막에서 발견되는 하얗거나 노란 점 모양의 병변으로, 종종 투명한 낭포에 싸여 있다.
== 병인 ==
== 역학 ==
결석은 나이 든 사람에서, 혹은 염증에 대한 이차성 반응으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변성은 트라코마 감염의 후기에 가장 흔히 나타나며, 트라코마 감염에서 Herbert씨 함몰과 상부 눈꺼풀판의 결막 결석이 동시에 발생했다고 보고되기도 했다<ref>Chumbley LC. Herbert's pits and lid concretions : an important association. ''Eye (Lond)''. 1988;2 (Pt 5):476-7. [https://pubmed.ncbi.nlm.nih.gov/3256485/ 연결]</ref>.
대부분 노인에서 발견되지만, 만성 염증으로 인한 이차성 결석은 10~20대에서도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한 연구<ref>Haicl P et al. Prevalence spojivkových konkrementů [Prevalance of conjunctival concretions]. ''Cesk Slov Oftalmol''. 2005 Jul;61(4):260-4. Czech. [https://pubmed.ncbi.nlm.nih.gov/16164094/ 연결]</ref>에서는 40~50%의 피험자에서 결석이 발견되었다고 하였다. 성별, 우/좌안, 상/하측에 대한 경향성은 없었다.
 
== 원인 ==
결석은 대부분 특발성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이다.
 
염증에 대한 이차성 반응으로도 생길 수 있는데, 가능한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 결막 표면을 침범하는 알러지 또는 만성 감염성 질환 : 트라코마, 알러지 각결막염, 아토피 각결막염 등 - 트라코마 감염의 경우 후기에 가장 흔히 나타나며, 트라코마 감염에서 Herbert씨 함몰과 상부 눈꺼풀판의 결막 결석이 동시에 발생했다고 보고되기도 했다<ref>Chumbley LC. Herbert's pits and lid concretions : an important association. ''Eye (Lond)''. 1988;2 (Pt 5):476-7. [https://pubmed.ncbi.nlm.nih.gov/3256485/ 연결]</ref>.
* 약한 정도의 염증이 동반된 안구 건조증<ref>Haicl P et al. Syndrom suchého oka u nemocných se spojivkovými konkrementy [Dry eye syndrome in patients with conjunctival concretions]. ''Cesk Slov Oftalmol''. 2006 Nov;62(6):415-22. Czech. [https://pubmed.ncbi.nlm.nih.gov/17319173/ 연결]</ref> : 만성 마이봄샘염
* 특정 점안액의 재결정화 : 설파디아진 (sulphadiazine)<ref>Boettner EA et al. Conjunctival concretions of sulfadiazine. An unusual clinical problem solved w modern analytical techniques. ''Arch Ophthalmol''. 1974 Nov;92(5):446-8. [https://pubmed.ncbi.nlm.nih.gov/4429475/ 연결]</ref>
 
== 병리 소견 ==
== 병리 소견 ==
결석은 점액다당류, 점액으로 이루어진 무정형 물질을 포함하며, 변성된 세포 기관과 상피세포핵도 발견되었다. 만성적인 염증이 과형성과 결막 상피의 함입을 일으킨다는 것이 가설이다. 이러한 새로운 거짓분비선 (pseudogland) 은 입구를 막을 수 있는데, 만약 이것이 결막 고유질 속으로 터지면 염증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결석은 점액다당류, 점액으로 이루어진 무정형 물질을 포함하며, 변성된 세포 기관과 상피세포핵도 발견되었다. 만성적인 염증이 과형성과 결막 상피의 함입을 일으킨다는 것이 가설이다. 이러한 새로운 거짓분비선 (pseudogland) 은 입구를 막을 수 있는데, 만약 이것이 결막 고유질 속으로 터지면 염증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 증상 ==
== 증상 ==
변성된 물질인 결석은 일반적 검사에서 발견되는데, 이것들이 표면으로 이동하고 이물감을 일으킬 수 있다.
변성된 물질인 결석은 일반적 검사에서 발견되는데, 이것들이 표면으로 이동하고 이물감을 일으킬 수 있다.
== 합병증 ==
결막 결석은 거의 합병증이 없다. 도드라진 (노출된) 결석으로 인한 각막 찰과상은 자극, 통증, 눈부심, 충혈, 흐려 보임 또는 각막 궤양,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ref>Singhal D et al. Vernal Keratoconjunctivitis. ''Surv Ophthalmol''. 2019 May-Jun;64(3):289-311. [https://pubmed.ncbi.nlm.nih.gov/30550738/ 연결]</ref>.
== 감별 진단 ==
* 결막 이물 : 이물이 작고 결막에 묻혀 있으면서 부분적으로 튀어나온 경우, 결석과 비슷할 수 있다.
* 표피 봉입 낭종 :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일 수 있으며, 상피하 공간에 낭성 병변이 있지만, 단단하고 각질로 채워진 결석과 다르게 투명한 액체를 포함한다<ref>Suimon Y et al.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cystic lesions in the eyelid. ''Biomed Rep''. 2019 Feb;10(2):92-96. [https://pubmed.ncbi.nlm.nih.gov/30675351/ 연결]</ref>.
* 림프 모낭 : 역시 상피하에서 발견되지만, 일반적으로 흩어져 있으며 다발성이다. 조직학적으로 중심의 미성숙 림프구와 주변의 성숙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ref>Chodosh J et al. The conjunctival lymphoid follicle in mucosal immunology. ''DNA Cell Biol''. 2002 May-Jun;21(5-6):421-33. [https://pubmed.ncbi.nlm.nih.gov/12167245/ 연결]</ref>.
* [[결절 안염]] : 결석과 달리 이물 주위에 더 많은 염증과 육아종성 반응을 보인다.
== 예후 ==
결막 결석은 양성 질환이며, 증상이 있는 병변을 치료하면 된다. 염증 또는 알러지와 관련된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상태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무증상의 결석은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 치료 ==
== 치료 ==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한다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증상이 없고 우연히 발견되었다면, 제거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증상이 있을 경우, 특정 결석을 제거할 수 있다.
 
# 마취 점안제 (proparcaine HCl 0.5%) 를 점안한다. 마취약으로 적신 Q-tip 으로 결석에 바르면 국소 마취에 더 효과적이다.
# 안검 결막의 표면을 노출하기 위해 눈꺼풀을 뒤집는다.
# 결석은 26 G 또는 30 G 바늘로 제거한다. 이때 주사기의 사면은 안검판으로부터 먼 쪽으로 하고, 결석의 한쪽 끝을 살짝 찔러 결막으로부터 결석을 들어올린다. 끝이 뾰족한 겸자 (forceps) 를 이용할 수도 있다.
# 가벼운 진물이 나올 수 있으며, 국소 압박으로 멈출 수 있다.
# 국소 항생제 점안약이나 연고를 사용한다. 각막 표면이 손상된 경우, 며칠간 항생제 점안약이나 연고를 처방한다.
 
{{참고}}
{{참고}}
{{각결막 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