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3일 (금)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H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ighest rate of steepening (HRS) 은 각막 정점으로부터 각막 주변부까지의 거리당 디옵터의 변화율을 말한다.)
- 2020년 3월 13일 (금) 00: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독수리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독수리딘 (idoxuridine; IDU))
- 2020년 3월 13일 (금)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LAT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잠복 관련 전사 (latency-associated transcripts; LATS))
- 2020년 3월 13일 (금)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격자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격자 각막 이상증 (lattice corneal dystrophy; LCD) == 분류 == * 1형 : 처음 발견된 고전형으로 10세 이전 유년기에 시작한다. 초기에 특징적인 격자...)
- 2020년 3월 13일 (금) 0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LCA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티신 콜레스테롤 아세틸기 전이 효소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LCAT))
- 2020년 3월 13일 (금) 00:45 Smile 토론 기여님이 PHM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 는 세균의 세포막과 상호작용하여 막을 파괴하고 투과성을 감소시켜 살균 효과를 나타내며, 세균의 DNA에 부착...)
- 2020년 3월 13일 (금)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MM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코페놀레이트 모페틸 (mycophenolate mofetil; MMF))
- 2020년 3월 13일 (금)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막 증발 건성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막 증발 건성안 (evaporative dry eye; EDE))
- 2020년 3월 13일 (금)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성 눈물 부족 건성안 (aqueous tear-deficiency dry eye; ADDE) == 원인 == * 쇼그렌 증후군 * 원발 눈물샘 결핍 * 속발 눈물샘 결핍 * 눈물관 폐쇄 * 반...)
- 2020년 3월 13일 (금) 00:41 Smile 토론 기여님이 M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포외 기질 금속 단백 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 2020년 3월 13일 (금) 00: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기능 단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 기능 단위 (lacrimal functional unit; LFU) 은 눈물샘, 눈물막, 안구 표면 상피(각막, 결막, 마이봄선), 눈꺼풀, 서로 연결된 감각 신경과 운동...)
- 2020년 3월 13일 (금)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조직 적합 복합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조직 적합 복합체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은 "사람의 게놈에서 가장 유전자가 조밀한 염색체 6p2*31 영역에 있으며, class I, II, III의...)
- 2020년 3월 13일 (금)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성장 인자 (nerve growth factor; NGF) 는 말초 신경 섬유의 재생을 촉진하여 각막 상피의 재생과 항상성 유지에 중요하다. 각막 상피에서 상...)
- 2020년 3월 13일 (금)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깜빡임 사이 시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깜빡임 사이 시간 (inter-blink interval; IBI))
- 2020년 3월 13일 (금)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보호 지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보호 지수 (ocular protection index; OPI) 는 눈물막 파괴 시간을 깜빡임 사이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1 이하면 눈물막이 불안정하다고...)
- 2020년 3월 13일 (금)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부속 기관 림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부속 기관 림프종 (ocular adnexal lymphoma; OAL))
- 2020년 3월 13일 (금)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폴리염화 바이페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폴리염화 바이페닐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의 독성은 마이봄선 내 관의 과각질화를 유발하고, 마이봄선 기능장애에서 볼 수 있는 치약 같...)
- 2020년 3월 13일 (금) 00: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형 아밀로이드 각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형 아밀로이드 각막 변성 (polymorphic amyloid degeneration; PAD) == 역학 == 보통 50세 이하에 발생하고, 침착물은 일반적으로 양측성이며 무증상...)
- 2020년 3월 13일 (금)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투명 각막 가장자리 변성 (pellucid marginal degeneration; PMD) 은 양측성 주변 각막 확장 질환으로서, 하측 각막 윤부로부터 각막 중심쪽으로 1~2mm...)
- 2020년 3월 13일 (금)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이스-뷔클러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이스-뷔클러 각막 이상증 (Reis-Bucklers' corneal dystrophy; RBCD) 은 막대 모양의 혼탁이 주로 보우만막 및 상피 아래에 존재하는 질환으로, 보우...)
- 2020년 3월 13일 (금)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곱 평균 제곱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곱 평균 제곱근 (root mean square; RMS))
- 2020년 3월 13일 (금)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부 전층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층부 전층 각막 이식 (superficial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SALK) == 장점 == 수술 술기가 비교적 쉽다. == 단점 == 이식 접합부의 혼탁으로 시력...)
- 2020년 3월 13일 (금)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연속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연속 봉합 (single continuous suture; SCS) 단속 봉합보다 술기가 어렵고, 불규칙하게 시행된 경우 경계면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부분적으로...)
- 2020년 3월 13일 (금)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속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속 봉합 (interrupted suture; IS) 은 가장 기본적인 봉합으로서 부분적으로 봉합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소아 각막이식, 수용 각막에 혈관이...)
- 2020년 3월 13일 (금)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추 각막 중증도 지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추 각막 중증도 지표 (keratoconus severity index; KSI))
- 2020년 3월 13일 (금)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추 각막 지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추 각막 지표 (keratoconus index; KCI))
- 2020년 3월 13일 (금)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추 각막 예측 지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추 각막 예측 지표 (keratoconus predictability index; KPI))
- 2020년 3월 13일 (금)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윤부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윤부 각결막염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SLK) 은 "1963년, Frederick Theodore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11명의 환자에서 윗눈꺼풀 결막의 심한...)
- 2020년 3월 13일 (금)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면 규칙 지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면 규칙 지수 (surface regularity index; SRI) 는 각막의 중심부인 동공 부분의 각막형태검사에서 나타난 불규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잠재 시...)
- 2020년 3월 13일 (금)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전안부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독성 전안부 증후군 (toxic anterior segment syndrome; TASS) 은 수술 후에 발생하는 무균 염증반응으로, 다양한 화학 물질이 전방 내로 유입되어 각...)
- 2020년 3월 13일 (금) 0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대칭 방사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대칭 방사축 (skewed radial axis; SRAX))
- 2020년 3월 13일 (금)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과성 빛 과민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일과성 빛 과민 증후군 (transient light sensitivity syndrome; TLSS) 은 라식 수술 후 일시적으로 빛에 민감하게 되는 증상이다.)
- 2020년 3월 13일 (금)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관 내피 성장 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은 혈관 형성 인자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 인자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 2020년 3월 13일 (금) 00: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열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autosomal recessive congenital hereditary endothelial dystrophy 2; CHED2) == 역학 == 생후 1주에서 6개월 내에 간유리...)
- 2020년 3월 13일 (금)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우성 선천 유전 내피 이상증 (autosomal dominant congenital hereditary endothelial dystrophy 1; CHED1)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이다. == 유전 == 20...)
- 2020년 3월 13일 (금) 0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LTBP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잠재 형질 전환 성장 인자 베타 결합 단백 2 (latent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binding protein 2; LTBP2) 는 GLC3D locus와 연관된 유전자로 염색체 14q24...)
- 2020년 3월 13일 (금)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LOXL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ysyl oxidase-like 1 (LOXL1) 은 <span style='color:blue;'>거짓 비늘 증후군 및 거짓 비늘 녹내장</span>과 연관된 유전자로 원발 개방각 녹내장...)
- 2020년 3월 13일 (금) 00: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가능성 점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녹내장 가능성 점수 (glaucoma probability score; GPS))
- 2020년 3월 13일 (금) 00: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로스타글란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 PG) 은 방수 형성 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포도막-공막 유출을 증가시켜 안압을 낮춘다. 이들은 PG F2α 와 유사한...)
- 2020년 3월 13일 (금) 00: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소 개방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소 개방각 녹내장 (juvenile open-angle glaucoma; JOAG) 의 의미는 유년기(childhood)혹은 성년기 초기에 일어나는 모든 녹내장을 말하지만 정확하게...)
- 2020년 3월 12일 (목) 1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최소 절개 유리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소 절개 유리체 절제술 (microincision vitrectomy surgery; MIVS) " == 역사 == 1970년 Machmer에 의해 유리체 절제술이 도입된 후 지난 수십년간 20게이...)
- 2020년 3월 12일 (목) 1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비진행성 야맹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비진행성 야맹증 (congenital stationary night blindness; CSNB) 은 Cunier가 야간의 시력저하 이외에 다른 시기능이 정상인 가족을 보고한 이후 여...)
- 2020년 3월 12일 (목) 1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망막 색소 상피 비대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망막 색소 상피 비대증 (congenital hypertrophy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CHRPE) == 분류 == * 전형적 형태 : 독립적으로 나타남 * 비전형적 형...)
- 2020년 3월 12일 (목) 1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부종양 자가 면역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부종양 자가 면역 망막병증 (non-paraneoplastic autoimmune retinopathy; npAIR))
- 2020년 3월 12일 (목) 1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흑색종 관련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흑색종 관련 망막병증 (melanoma-associated retinopathy; MAR) 악성 흑색종에서도 야맹증과 특징적인 망막 전위도 소견을 보이는 부종양 증후군이...)
- 2020년 3월 12일 (목) 1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암 관련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암 관련 망막병증 (cancer-associated retinopathy; CAR))
- 2020년 3월 12일 (목) 14: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 간접 안저현미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 간접 안저현미경 (binocular indirect ophthalmomicroscope; BIOM) 은 비접촉식 렌즈 시스템의 한 종류로서, Oculus Optikgerate GmBH, Wetzlar-Dutenhofen, German...)
- 2020년 3월 12일 (목) 1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우성 시신경 위축 (autosomal dominant optic atrophy; ADOA))
- 2020년 3월 12일 (목)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호 대 잡음 비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호 대 잡음 비율 (signal to noise ratio; SNR))
- 2020년 3월 12일 (목)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안부 빛간섭 단층 촬영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 OCT) 은 초음파 대신 빛을 이용하여 생체 단면을 측정하며 10~20㎛의 축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