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4일 (토) 1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vitreomacular traction syndrome; VMTS) 은 황반부를 제외한 주변부 망막은 뒤유리체 박리가 있으나 황반부는 유리체가 비...)
- 2020년 3월 14일 (토) 1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허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허혈 증후군 (ocular ischemic syndrome; OIS) 은 안구로 가는 장기간의 혈류 감소에 의해 전안부나 후안부의 허혈로 인한 폭넓은 임상 소견을 나...)
- 2020년 3월 14일 (토) 1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HELLP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ELLP 증후군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 low platelets; HELLP syndrome) 은 심한 전자간증 또는 자간증 환자에서 용혈성 빈혈, 간효소치의 증가 및...)
- 2020년 3월 14일 (토) 12: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경계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경계막 (external limiting membrane; ELM) 은 실제 막이 아니고 <span style='color:blue;'>뮬러세포 사이 또는 뮬러세포와 시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 2020년 3월 13일 (금) 07: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과립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과립층 (outer nuclear layer; ONL) 에는 <span style='color:blue;'>시세포의 핵이 7~8층으로 존재</span>하면서 망막의 한 층을 이룬다. 막대세포의 핵은...)
- 2020년 3월 13일 (금) 07: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망상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망상층 (outer plexiform layer; OPL) 은 시세포와 두극세포 및 수평세포의 수상 돌기가 접하는 부위이다. 막대세포의 종족부는 공 모양으로 팽...)
- 2020년 3월 13일 (금) 07: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두극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두극 세포 (bipolar cell) 는 내외망상층 양쪽으로 돌기를 내는 두극성의 세포로 내과립층의 바깥쪽 반에 주로 위치한다. 핵 주변의 맑은 세포...)
- 2020년 3월 13일 (금) 07: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과립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과립층 (inner nuclear layer; INL) 에는 4종의 신경세포와 교세포인 뮬러세포가 있다. 수평 세포가 가장 바깥쪽에, 무축삭 세포가 가장 안쪽에...)
- 2020년 3월 13일 (금) 07: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망상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망상층 (inner plexiform layer; IPL)은 인접와층 쪽의 두극 세포 축삭 및 무축삭 세포의 돌기가 내층의 신경절세포의 수상돌기와 신경 접...)
- 2020년 3월 13일 (금) 07: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절 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 GC) == 분류 == * 형태애 따른 분류 :- midget :- parasol :- shrub :- small diffuse :- garland :- giant * 수상 돌기의 형태에 따른 분...)
- 2020년 3월 13일 (금) 07: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절 세포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절 세포층 (ganglion cell layer; GCL))
- 2020년 3월 13일 (금)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종판 전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세 종판 전위 (miniature endplate potentials; MEPP))
- 2020년 3월 13일 (금)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억제성 방출 뉴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억제성 방출 뉴런 (inhibitory burst neuron; IBN))
- 2020년 3월 13일 (금)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두엽 안운동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두엽 안운동야 (frontal eye field; FEF))
- 2020년 3월 13일 (금) 07:40 Smile 토론 기여님이 흥분성 방출 뉴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흥분성 방출 뉴런 (excitatory burst neuron; EBN))
- 2020년 3월 13일 (금) 07: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외측 교뇌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외측 교뇌핵 (dorsolateral pontine nucleus; DLPN))
- 2020년 3월 13일 (금) 07: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이터스 상행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이터스 상행로 (ascending tract of Deiters; ATD))
- 2020년 3월 13일 (금) 07: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설하 신경전위치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설하 신경전위치핵 (nucleus prepositus hypoglossi; NPH))
- 2020년 3월 13일 (금) 07: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상전근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상전근 마비 (double elevator palsy; DEP) 는 상전근인 상직근과 하사근이 모두 마비되어 <span style='color:blue;'>제일 눈위치, 내전, 외전 위치에서...)
- 2020년 3월 13일 (금) 07: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기울임 반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기울임 반응 (ocular tilt reaction; OTR) 은 한쪽으로의 머리 기울임, 기울인 쪽 안구의 하사시(스큐 편위), 기울인 쪽 방향으로의 두 눈...)
- 2020년 3월 13일 (금) 07: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음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얼음 검사 (ice test) 눈 근육무력증 환자에서 눈꺼풀 처짐이나 눈운동 장애가 있는 눈을 감고 눈꺼풀 위에 얼음을 5분간 올려 놓으면 눈꺼...)
- 2020년 3월 13일 (금) 07: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라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라운 증후군 (Brown syndrome) 선천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항상 혹은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사근 건초 증후군으로 불리기...)
- 2020년 3월 13일 (금) 07: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뫼비우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뫼비우스 증후군 (Mobius syndrome) 은 1888년 Mobius가 기술하였다.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 선천 * 임신 초기에 저산소에 의한...)
- 2020년 3월 13일 (금) 07: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듀안 안구 후퇴 증후군 (Duane retraction syndrome; DRS) 은 심한 외전장애, 다양한 정도의 내전장애, 내전할 때 안구 후퇴와 눈꺼풀틈새의 축소,...)
- 2020년 3월 13일 (금) 07:22 Smile 토론 기여님이 X형 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X형 사시 (X pattern strabismus) 는 제일 눈위치에 비해 상, 하방 주시 때 모두 눈이 벌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 2020년 3월 13일 (금) 07: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약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약시 (amblyopia) 는 시력 저하가 있으면서 안경 교정으로 정상 시력이 되지 않고,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가 나며, 눈...)
- 2020년 3월 13일 (금) 07: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파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부분 사람에서 주시점과 망막 중심오목을 연결한 시축과 각막에서 동공 중심을 연결하는 동공축이 일치하지 않는데 이 두 축 사이각을...)
- 2020년 3월 13일 (금) 07: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르크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르크너 검사 (Bruckner test) 는 "1962년 Bruckner가 발표한 방법으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나 미세 사시에서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
- 2020년 3월 13일 (금) 07: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시 프리즘 가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시 프리즘 가림 검사 (simultaneous prism and cover test; SPCT) 는 주시안을 가리개로 가리는 동시에 사시안에 프리즘을 대며 사시안에 움직임이...)
- 2020년 3월 13일 (금) 07: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직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직근 (inferior rectus muscle; IR) 은 총건륜 하부에서 시작하여 하외방으로 전진하고 안구 부착부에서 15mm 후방에서 테논 주머니를 관통한 후...)
- 2020년 3월 13일 (금) 07: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직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직근 (superior rectus muscle; SR) 은 시신경 공위 바깥쪽의 총건륜에서 시작하여 상외측으로 전진하고 안구 부착부로부터 후방으로 15mm 떨어...)
- 2020년 3월 13일 (금) 07: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푹스 각막 내피 이상증 (Fuchs' endothelial dystrophy; FED) == 역학 == <span style='color:blue;'>40~50대</span>에 발병하여 천천히 진행하는 질환으로, 주로...)
- 2020년 3월 13일 (금) 07:00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자가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자가 이식 (conjunctival autograft) 은 익상편 제거 후 노출된 공막 부위에 상이측 결막을 떼어낸 후 자가 이식하는 방법이다.)
- 2020년 3월 13일 (금) 06: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간-리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간-리스 증후군 (Cogan-Reese syndrome) == 임상 소견 == 홍채의 색소 결절이 가장 큰 특징이며 그 외에 광범위한 각막 및 홍채의 이상을 동반한...)
- 2020년 3월 13일 (금) 0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찬들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찬들러 증후군 (Chandler's syndrome) == 임상 소견 == 홍채의 이상은 경미하거나 없으며 각막 내피의 기능 장애와 안압은 별로 높지 않더라도 각...)
- 2020년 3월 13일 (금) 0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봄샘 기능 장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이봄샘 기능 장애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은 실제로 매우 흔한 뒤눈꺼풀의 만성 질환 (posterior blepharitis) 이다. 눈물 분비 부족과 피부...)
- 2020년 3월 13일 (금) 06: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면 현미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면 현미경 (specular microscopy; SM) 은 사물에 빛을 통과시켜 상을 얻는 다른 현미경과 달리 광학적인 경계면에서 반사된 빛으로 상을 얻는다...)
- 2020년 3월 13일 (금) 0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부 다형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부 다형 각막 이상증 (posterior polymorphous corneal dystrophy; PPCD) 은 "양측성이나, 비대칭적일 수 있고 대부분 무증상이며 비진행성이다. == 역...)
- 2020년 3월 13일 (금) 0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버 선천 흑암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버 선천 흑암시 (Leber congenital amaurosis; LCA) 는 단일 질환이 아니라, 영아기 때부터 심각한 시력 저하를 보이는 일종의 질환군이다. 1869년 T...)
- 2020년 3월 13일 (금) 0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추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추 각막 (keratoconus) 은 각막이 얇아지고 돌출하여 원뿔 모양이 상태를 가리키는 임상적 명칭이다. 그 과정은 비염증성이며, 세포 침윤과...)
- 2020년 3월 13일 (금) 06: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균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균 각막염 (bacterial keratitis) 은 동반된 염증과 각막 조직의 손상이 시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정상안에...)
- 2020년 3월 13일 (금)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OFD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ptical frequency domain imaging (OFDI))
- 2020년 3월 13일 (금)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장 가변 빛간섭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장 가변 빛간섭 단층 촬영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 2020년 3월 13일 (금) 04: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 2020년 3월 13일 (금) 04: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푸리에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푸리에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Fourier-domain OCT; FD-OCT))
- 2020년 3월 13일 (금) 04: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간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간 영역 빛간섭 단층 촬영 (time-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D-OCT))
- 2020년 3월 13일 (금) 04:48 Smile 토론 기여님이 CMT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nfocal microscopy through-focusing (CMTF) 은 각막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수집하고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서, Wiegand 등은 고속으로 각막...)
- 2020년 3월 13일 (금) 0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각막 두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각막 두께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 2020년 3월 13일 (금) 0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일 초점 현미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일 초점 현미경 (confocal microscopy) == 역사 == 동일 초점 현미경의 광학적 디자인은 Lukosz의 법칙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해상도는 시야 범...)
- 2020년 3월 13일 (금) 0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주름 거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주름 거리 (margin crease distance; MCD) 은 아래로 보게 한 뒤 검사자의 손으로 윗눈꺼풀을 위로 들어올린 상태로 자를 이용해 윗눈꺼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