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면부 부분 유리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면부 부분 유리체 절제술 (partial pars plana vitrectomy; pPPV))
- 2020년 3월 16일 (월)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경유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경유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TSV))
- 2020년 3월 16일 (월)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면부 유리체 절제술 (pars plana vitrectomy; PPV))
- 2020년 3월 16일 (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성 견인 황반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성 견인 황반증 (myopic tractional maculopathy; MTM))
- 2020년 3월 16일 (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난시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난시 교정 레이저 각막 절제 (photoastigmatic refractive keratectomy; PARK))
- 2020년 3월 16일 (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래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래끼 (맥립종; hordeolum) 는 마이봄샘이나 짜이스샘에 발생한 급성 세균감염이다. == 원인 == 가장 흔한 김염균은 포도알균이다. == 분류 == *...)
- 2020년 3월 16일 (월)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지샘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지샘 증식 (sebaceous hyperplasia) 은 피지샘이 단단하게 증식한 것으로 노란색 구진(papule)으로 나타난다. == 임상 소견 == 수 년에 걸쳐 서서히...)
- 2020년 3월 16일 (월)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땀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땀관종 (syringoma) 은 에크린 땀샘의 상피 세포가 증식하여 작은 구진(papule)을 형성한 것이다. == 역학 == 주로 여성에서 사춘기 때 아래 눈꺼...)
- 2020년 3월 15일 (일) 1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크린 땀샘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크린 땀샘 낭종 (eccrine hidrocystoma) 은 아래 눈꺼풀에 다수의 낭종이 생기며 열, 습기, 발한 등에 유발된다. == 수술적 치료 == 절개하면 맑...)
- 2020년 3월 15일 (일) 1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포크린 땀샘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포크린 땀샘 낭종 (apocrine hidrocystoma) 눈꺼풀에 있는 아포크린 땀샘은 몰샘(Moll's gland)으로 눈꺼풀테를 따라 속눈썹 주위에 있다. == 임...)
- 2020년 3월 15일 (일) 1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황색종 (xanthelasma) 은 진피의 표층에 지방을 포함하는 큰 포식세포(lipid-laden macrophage)가 모여서 생긴다. == 위험 인자 == 대개는 정상인에서...)
- 2020년 3월 15일 (일) 1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반 세포성 모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반 세포성 모반 (nevocellular nevus; melanocytic nevus) == 분류 == * 이음부 (junctional) 모반 :표피와 진피의 경계에 위치한다. * 복합 (compound) 모반 :...)
- 2020년 3월 15일 (일) 13: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성 모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성 모반 (congenital nevus) == 임상 소견 == 크기는 매우 다양하며 대개 균일한 짙은 색을 띠고 털이 나 있다. == 수술적 치료 == 미용적, 기능...)
- 2020년 3월 15일 (일)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흑색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흑색점 (lentigines) 은 후천성 갈색반이며 국소적으로 피부에 멜라닌 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생긴 것이다. == 분류 == * 단순 흑색점 (lentigo s...)
- 2020년 3월 15일 (일)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인 흑색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인 흑색점 (lentigo senilis) 은 햇볕 노출 부위에 밝은 갈색반으로 나타나 계속 커진다. == 역학 == 대개 40대 이후에 발생한다. == 예후 및 합...)
- 2020년 3월 15일 (일)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이츠 제거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이츠 제거스 증후군 (Peutz-Jeghers syndrome; PJS) 은 매우 드물게 눈 주위와 입 주위에 다수의 단순 흑색점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상염색체...)
- 2020년 3월 15일 (일)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흑색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흑색점 (lentigo simplex) 은 "작고 경계가 분명하며 주근깨와 달리 햇볕 노출에 더 짙어지지 않는다. 매우 드물게 눈 주위와 입 주위에 다...)
- 2020년 3월 15일 (일)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근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근깨 (freckles) 는 경계가 분명한 붉은 갈색반으로 햇볕 노출에 의해 여름에 색이 짙어지는데 이는 멜라닌 세포의 수는 변하지 않고 바닥...)
- 2020년 3월 15일 (일)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머니 형성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머니 형성술 (marsupialization) 은 "낭종의 일부를 잘라 내어 내용물이 저절로 배출되도록 한 후 <span style='color:blue;'>봉합하지 않고</span> 그...)
- 2020년 3월 15일 (일)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좁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좁쌀종 (milia) 은 1~3mm의 작은 표재성 흰색 낭종으로서 일종의 미세한 표피 봉입 낭종 (epidermal inclusion cyst) 이다. 피부의 솜털 모낭에서 생기...)
- 2020년 3월 15일 (일)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피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피 낭종 (epidermal cyst) 은 3~8mm의 둥글고 융기된 낭종으로 주로 모낭 주위에 생긴다. 과거에 피지 낭종(sebaceous cyst)이라고도 불리었으나 낭...)
- 2020년 3월 15일 (일)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부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부뿔 (cutaneous horn) 은 "병변을 단순히 기술하는 설명 용어이며 진단적 의미를 포함하는 용어는 아니다. 피부 표면에 각질이 모이고 뭉쳐...)
- 2020년 3월 15일 (일) 13: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루 각화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루 각화증 (seborrheic keratosis) 은 정상 상피 세포의 양성 증식으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서 흔히 관찰되어 저승꽃이라고 불리우는 매우 흔한...)
- 2020년 3월 15일 (일) 13: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평 세포 유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평세포 유두종 (squamous papilloma) 은 임상적으로 폴립 모양의 유두종 병변을 단순히 기술하는 설명 용어이며 진단적 의미를 포함하는 용어...)
- 2020년 3월 15일 (일) 1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 상피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 상피종 (achondrodon; fibroepithelioma; skin tag) 은 주로 목, 겨드랑이, 서혜부, 눈꺼풀에 생기는 폴립 모양의 피부색을 띄는 병변이다. 조직...)
- 2020년 3월 15일 (일) 1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르켈 세포암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르켈 세포암종 (Merkel cell carcinoma) 은 특징적인 미세 구조와 면역 조직화학적 특징을 가지는 신경 내분비종이다. == 임상 소견 == 주로 <span...)
- 2020년 3월 15일 (일) 1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성 흑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절성 흑색종 (nodular melanoma) 은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의 결절로 나타나며 다른 유형이 방사상으로 커지는 데 비해 결절성 흑색종은 수직...)
- 2020년 3월 15일 (일) 1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흑색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흑색점 (lentigo maligna) 은 색소 세포가 표피 내에 국한된 병변으로 주로 40대 이후의 사람에서 햇빛 노출 부위(주로 이마나 뺨)에 나타...)
- 2020년 3월 15일 (일)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재성 확산 흑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재성 확산 흑색종 (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은 불규칙한 경계와 색을 띠는 갈색반으로 안면에는 비교적 드물다.)
- 2020년 3월 15일 (일)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흑자 흑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흑자 흑색종 (lentigo maligna melanoma) 은 악성 흑색점이 진피로 침윤되어 병변이 융기되고 색이 더 짙어지는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 2020년 3월 15일 (일) 13: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흑색종 (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흑색종 (눈꺼풀) (malignant melanoma (eyelid), MM) == 분류 == * 악성 흑자 흑색종 * 표재성 확산 흑색종 * 결절성 흑색종 종양의 유형은 예후와...)
- 2020년 3월 15일 (일) 1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지샘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지샘암 (sebaceous cell carcinoma) 은 눈꺼풀 피부 부속 기관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악성 종양으로 눈꺼풀 피지샘에서 발생한다. 눈 주위에는...)
- 2020년 3월 15일 (일) 13: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평 세포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편평 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SCC) == 역학 == 노년층에서 이전에 햇빛에 의한 손상을 많이 받은 피부에서 흔히 발생하며 아래눈꺼풀에 더...)
- 2020년 3월 15일 (일) 1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스 종양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스 종양 절제술 (Mohs' microscopic technique) == 장점 ==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면서 동시에 정상 조직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어 눈꺼풀 종양의...)
- 2020년 3월 15일 (일) 1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완 피부 긴장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완 피부 긴장선 (relaxed skin tension line; RSTL) 은 얼굴 근육의 작용 방향에 수직으로 생기는 피부 주름으로서, 이것도 평행하게 절개선을 그...)
- 2020년 3월 15일 (일) 1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푹스 홍채 이색 섬모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푹스 홍채 이색 섬모체염 (Fuchs' heterochromic iridocyclitis; FHI) 1906 년 Fuchs가 처음으로 기술하였으며, 홍채이색으로 특징지어진 만성적인 단안...)
- 2020년 3월 15일 (일)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섬모체염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녹내장 섬모체염발증 (Posner-Schlossman syndrome; glaucomatocyclitic crisis; PSS; GCC) == 역학 == 흔히 20~50세의 젊은층에서 나타난다. 흔히 단안성이며 같...)
- 2020년 3월 15일 (일)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안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안압 (hypotony) 이란 통계적으로 안압의 평균에서 표준편차의 3배를 뺀 6.5mmHg을 가리키는 말이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저안압이란 시력 저...)
- 2020년 3월 15일 (일) 1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견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견인 증후군 (iris retraction syndrome) Cambell은 열공 망막 박리와 저안압 그리고 홍채 견인이 있는 환자들을 보고하였는데 모두 백...)
- 2020년 3월 15일 (일) 1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슈발츠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슈발츠 증후군 (Schwartz's syndrome) 은 망막 박리로 인한 개방각 녹내장을 말한다. Schwartz는 1973년 29~55mmHg 정도로 안압이 상승된 개방각 상태의...)
- 2020년 3월 15일 (일) 1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말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말판 증후군 (Marfan's syndrome) 은 지주증(arachnodactyly), 대동맥, 대동맥판 및 승모판 등의 선천적 이상, 관절 이상, 측만증 및 안구 이상을 동반...)
- 2020년 3월 15일 (일)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낭 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낭 분리 (capsular delamination) 는"강한 열에 노출, 염증, 외상 및 방사선 조사와 같은 원인에 의해 표층부 수정체 전낭층이 심층부 표피...)
- 2020년 3월 15일 (일)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비늘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비늘 증후군 (pseudoexfoliation syndrome; PXS) 은 수정체, 홍채 및 눈의 전안부 여러 부위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축적 혹은 침착을 특징으로...)
- 2020년 3월 15일 (일) 1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일 마르케사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베일 마르케사니 증후군 (Weill-Marchesani syndrome; WMS) 은 공모양 소수정체 외에 작은 키, 짧은 손가락과 발가락(brachydactyly), 단두증(brachycephaly),...)
- 2020년 3월 15일 (일)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태생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태생환 (posterior embryotoxon) 은 악센펠드-리거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각막의 특징적인 이상으로 앞으로 전이된 두드러진 쉬발베선을 말...)
- 2020년 3월 15일 (일)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브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브선 (Haab's striae) 은 선천 녹내장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데스메막은 각막 간질보다 탄력성이 약해 각막이 확장되면 파열을 일으키...)
- 2020년 3월 15일 (일) 1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층간 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층간 분리 (iridoschisis) == 역학 == 양측성의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주로 60~70대에 호발한다. == 임상 소견 == 세극등 검사 상 홍채 실질,...)
- 2020년 3월 15일 (일) 1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크루켄버그 방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크루켄버그 방추 (Krukenberg spindle) 는 색소 녹내장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각막 후면의 중앙부에서 보이는 방추형(spindle-shaped pattern)의 색...)
- 2020년 3월 15일 (일) 1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홍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홍채증 (aniridia) 은 홍채의 흔적이 주변에만 남아 있는 드문 양측성 질환이며, 태생 4개월째 중배엽의 성장 결손으로 나타난다. 이 결손...)
- 2020년 3월 15일 (일) 1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터지 웨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터지-웨버 증후군 (Sturge-Weber syndrome; SWS) 은 "뇌삼차신경 혈관종증(encephalotrigeminal angiomatosis)이라고도 부르며, 안면혈관종, 두개강내 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