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16: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교 모양 물방울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교 모양 물방울 이상증 (gelatinous droplike dystrophy; GDLD) 은 어릴 때부터 양안의 상피 세포와 기질 표층에 우윳빛 오디 모양의 융기된 병변이...)
- 2020년 3월 16일 (월)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하 점액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하 점액 각막 이상증 (subepithelial mucinous corneal dystrophy; SMCD) 은 양안에 전반적으로 균일한 상피하 혼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각막 중심...)
- 2020년 3월 16일 (월)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쉬 각막 상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쉬 각막 상피 이상증 (Lisch epithelial corneal dystrophy) == 임상 소견 == 띠 모양과 소용돌이 모양의 미세 낭포가 상피에만 존재하며 반복 각막...)
- 2020년 3월 16일 (월) 1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눈물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눈물샘 (main lacrimal gland) 은 안와내 위쪽가의 약간 움푹 패인 눈물샘 오목에 위치하며 무게는 약 80g이고 크기는 17×10×5mm이다. 인접한 안...)
- 2020년 3월 16일 (월) 1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샘 (lacrimal gland; LG) 은 "눈물층 중 수성층(aqueous layer)의 형성을 담당한다. == 분류 == * 주눈물샘 * 부눈물샘 : 볼프링샘 (Wolfring's gla...)
- 2020년 3월 16일 (월) 16: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모덱스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모덱스 눈꺼풀염 (Demodex blepharitis) Demodex는 사람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외부 기생충 중 하나이다. == 역학 ==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연...)
- 2020년 3월 16일 (월) 16:54 Smile 토론 기여님이 허리케인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허리케인 각막염 (Hurricane keratitis) 은 각막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국소 사용 약물의 독성으로 인해 일어난다. == 병태 생리 == 각막 이...)
- 2020년 3월 16일 (월) 1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영양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영양 각막염 (neurotrophic keratitis) 은 어떤 원인에 의해 각막 상피가 더 이상 재생되지 않는 질환이다. 각막 지각 소실이 이 질환의 뚜렷...)
- 2020년 3월 16일 (월) 16:48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hygeson'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TSPK) 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각막 상피병증으로, 다른 안과/전신 질환...)
- 2020년 3월 16일 (월) 1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모양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을 통칭하며, 치료가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다. 임상적으로 흔...)
- 2020년 3월 16일 (월) 1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복 각막 진무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복 각막 진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RCE) 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각막 상피의 벗겨짐과 재상피화를...)
- 2020년 3월 16일 (월) 1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렌 각막 궤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렌 각막 궤양 (Mooren's ulcer) 은 심한 통증을 수반하면서 각막 윤부를 따라 평행하게, 그리고 동시에 각막 중심부 방향으로도 진행하는 주...)
- 2020년 3월 16일 (월) 1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또아리모양 각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또아리모양 각막병증 (vortex keratopathy) 은 축적된 지질의 양에 비례하여 나타나고 신기능의 손상 가능성을 시사한다. == 원인 == * chloroquine *...)
- 2020년 3월 16일 (월) 16: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 (staphylococcal marginal keratitis; SMK) 은 카타르 침윤(catarrhal infiltrates) 또는 카타르 궤양이라고도 하며 주변 각막 질...)
- 2020년 3월 16일 (월) 1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릭텐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
- 2020년 3월 16일 (월) 1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긴장성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긴장성 동공 (tonic pupil) == 원인 == 섬모체 신경절이나 짧은 섬모체 신경의 손상이 원인이다. == 분류 == * 국소 긴장성 동공 * 신경병증성...)
- 2020년 3월 16일 (월) 1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접 반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접 반사 (near reflex) 는 근거리 주시 때 동공이 줄어들고 조절이 증가하며 눈모음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근접 반응이라고도 부른다. 연...)
- 2020년 3월 16일 (월) 1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대 수축 동공 부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교대 수축 동공 부동 (alternating contraction anisocoria) 은 동공 반응은 아주 경미하지만 직접 반응이 간접 반응보다 크다. 그래서 한쪽 동공만을...)
- 2020년 3월 16일 (월) 1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동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 동요 (hippus) 는 정상인에게 오랫동안 광자극을 주면 양안의 동공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어두운 곳에서는 수축과...)
- 2020년 3월 16일 (월) 1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투르네 현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투르네 현상 (Tournay phenomenon) 은 과도하게 옆쪽을 주시하면 주시 방향쪽 눈의 동공이 반대쪽 동공보다 커지는 현상으로, 비교적 드물고 임...)
- 2020년 3월 16일 (월) 1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교대성 동공 부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교대성 동공 부동 (benign alternating anisocoria) 은 양안에서 동공의 크기가 수시로 변하여 한쪽이 크고 반대쪽이 작은데 나중에 다시 측정...)
- 2020년 3월 16일 (월) 16: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동공 부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인의 동공 크기는 양안이 같지만, 그 크기가 다를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태는 단순 동공 부동 (simple anisocoria) 또는 중추성 동공 부동 (c...)
- 2020년 3월 16일 (월) 1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부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 부동 (anisocoria) 은 양안 동공의 크기가 0.3mm 이상 차이가 나는 상태를 말한다.)
- 2020년 3월 16일 (월) 16: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톤 증후군 (Anton syndrome) 은 피질 시각 상실 또는 대뇌 시각 상실 환자가 보지 못하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 원인 =...)
- 2020년 3월 16일 (월) 16: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스트만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스트만 증후군 (Gerstmann syndrome) == 원인 == 모이랑을 포함한 우성 두정엽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 == 임상 소견 == 손가락 인식 불능증, 쓰...)
- 2020년 3월 16일 (월) 16: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토피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토피 각결막염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KC) 은 결막과 눈꺼풀의 양안성 만성 염증 질환이며 아토피 피부염과도 연관이 있다. == 역학 == 인...)
- 2020년 3월 16일 (월) 16: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perennial allergic conjunctivitis; PAC) 은 1년 내내 지속되는, 계절 알레르기 결막염의 변종이다. == 역학 == 유병률은 계절...)
- 2020년 3월 16일 (월) 16: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레르기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레르기 결막염 (allergic conjunctivitis) == 역학 == 선진국의 알레르기 발병률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노출 감소, 유전적 영향, 산업화, 공해...)
- 2020년 3월 16일 (월) 16: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생아 안염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생아 안염증 (ophthalmia neonatorum) 은 신생아 결막염이라고도 부르며, 생후 1개월 안에 생기는 결막의 염증으로 정의한다. == 역학 == 신생아...)
- 2020년 3월 16일 (월) 1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라코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트라코마 (trachoma) 는 전 세계적으로 예방 가능한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백내장과 녹내장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실명의 원인이다. ==...)
- 2020년 3월 16일 (월) 16: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라미디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라미디아 (chlamydia) 은 세포내 편성 세균으로 생활주기가 특이하다. == 병태 생리 == 두가지 형태인 망상체와 기본 소체로 존재한다. 망상...)
- 2020년 3월 16일 (월)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RNA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NA 바이러스 결막염 (ribonucleic acid viral conjunctivitis; RNA viral conjunctivitis) 은 picornavirus, paramyxovirus, togavirus, flavivirus 등이 있다. == 원인 == * picor...)
- 2020년 3월 16일 (월)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세포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 세포 바이러스 결막염 (cytomegaloviral conjunctivits; CMV conjunctivitis) == 임상 소견 == 여포 결막염을 일으키며, 결막염보다는 면역 기능 저하...)
- 2020년 3월 16일 (월) 16: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결막염 (Ebstein-Barr viral conjunctivitis; EBV conjunctivitis) 는 공기나 상기도로 감염되며, 감염 단핵구증 증후군 (infectious mono...)
- 2020년 3월 16일 (월) 1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상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상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vricella zoster viral conjunctivitis; VZV conjunctivitis) == 임상 소견 == 결막에 잘 이환되지 않으며, 작고 궤양이 있는 플...)
- 2020년 3월 16일 (월) 1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herpes simplex viral conjunctivits; HSV conjunctivitis) 은 1차성과 재발성이 있다. == 임상 소견 == 결막염만 단독으로 오기...)
- 2020년 3월 16일 (월) 1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성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만성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chronic adenoviral conjunctivits) 은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드문 형태이다. 길게 지속되는데, 심지어 수...)
- 2020년 3월 16일 (월) 1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거짓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거짓막 (conjunctival pseudomembrane) 은 결막 상피 표면에 분비물이 뭉친 것으로, 막과 비슷하나 벗겨도 출혈이 없어 막과 구분된다.)
- 2020년 3월 16일 (월) 1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막 (conjunctival membrane) 은 심한 염증 반응 결과 결막 기질이 파괴되고 섬유소가 응고되어 생기며, 상피 내로 응고되어 벗겨지면 상피가...)
- 2020년 3월 16일 (월) 1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유두 (conjunctival papilla) 는 다형핵 백혈구의 결막 침윤으로 생기며, 주변부 혈관이 있는 비후된 결막 상피의 주름과 돌기를 말한다. 주...)
- 2020년 3월 16일 (월) 16:1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여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여포 (conjunctival follicle) 는 림프 반응으로 생기는 동그란 결막 융기로, 유두와 달리 중심부에 혈관이 없다. 젊은 사람의 위눈꺼풀결막...)
- 2020년 3월 16일 (월) 1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콩다래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콩다래끼 (chalazion) 는 마이봄샘의 입구기 막히면서 피지가 눈꺼풀판과 주위 연부 조직으로 분비되면서 급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비...)
- 2020년 3월 16일 (월) 1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화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면화반 (cotton wool spot; CWS) 은 연성 심출물 (soft exudate) 또는 신경섬유층 경색 등으로도 불리며, 망막 세동맥의 폐쇄에 의해 발생한다. == 원...)
- 2020년 3월 16일 (월) 1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 (cilioretinal artery occlusion) == 분류 == * 단독 섬모체 망막동맥 폐쇄 * 망막 중심정맥 폐쇄와 동반된 섬모체 망막동맥 폐...)
- 2020년 3월 16일 (월) 16: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타노프로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타노프로스트 (latanoprost) 는 "부작용이 적고 하루 한 번 점안으로 안압 하강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녹내장 치료제의 일차 선택 약물로...)
- 2020년 3월 16일 (월) 16: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라보프로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트라보프로스트 (travoprost) 는 라타노프로스트와 같은 PG F2α 유도체 이며 latanoprost처럼 prostanoid FP 수용체와 결합하여 안압 하강 효과를...)
- 2020년 3월 16일 (월) 16: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마토프로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마토프로스트 (bimatoprost) 는 내인성 안압 하강 물질인 prostamide (fatty acid amide) 의 합성 유도체로 PG F2α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다른 약제...)
- 2020년 3월 16일 (월) 16:10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플루프로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플루프로스트 (tafluprost) 는 PG F2α 유도체이며 우노프로스톤을 제외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15번째 hydroxyl이 2개의 fluorine으로...)
- 2020년 3월 16일 (월) 1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우노프로스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우노프로스톤 (unoprostone) 은 라타노프로스트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docosa-hexaenoic acid의 Ω-3 polyunsaturated 지방산 유도체이다. == 병태 생리 =...)
- 2020년 3월 16일 (월) 1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인 봉합체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성인 봉입체 결막염 (adult inclusion conjunctivitis; AIC) == 역학 == 성적으로 왕성한 젊은 성인들에서 흔히 나타나며, 트라코마와 달리 경제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