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10월 30일 (금) 07: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핵 (lens nucleus) 은 수정체의 가장 안쪽의 단단한 부분이며, 섬유세포에 의해 싸여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 분류 == * 중앙 핵 (center n...)
- 2020년 10월 30일 (금) 0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피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정체의 피질 (lens cortex)</b> 은 수정체 섬유세포들이 밀집되어 있는 부분으로 수정체 핵을 싸고 있다. Kuszak 외 연구자들은 사람의 수정...)
- 2020년 10월 30일 (금) 06: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정체낭 (lens capsule)</b> 은 수정체 전체를 감싸고 상피세포의 기저막 역할을 한다. 발생 중에 수정체 안의 세포들은 앞쪽과 뒤쪽으로 나...)
- 2020년 10월 29일 (목)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핵 백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핵 백내장 (nuclear cataract)</b> {{참고|백내장}})
- 2020년 10월 26일 (월) 08: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면근 파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면근 파동 (facial myokymia)</b> == 감별 진단 == * 말초 신경병증 * 뇌간 종양 * 교뇌 결핵종 * 소뇌 교각부 종양 * 암종 수막염 * 사르코이드...)
- 2020년 10월 26일 (월) 08: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둘레근 파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둘레근 파동 (ocular myokymia)</b>은 근육 경련이 편측에서 눈둘레근 일부 근섬유에 국한된 채 잔떨림 양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하며, [...)
- 2020년 10월 26일 (월)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사 눈꺼풀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반사 눈꺼풀 연축 (reflex blepharospasm)</b> 은 안구 표면 질환, 빛 산란, 약물로 인한 삼차신경 자극 등으로 불편감이 초래되면서 발생하는...)
- 2020년 10월 23일 (금) 0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IP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IPL (intense pulsed light; 강화 펄스 광선)</b> == 효과 == IPL은 건성안과 마이봄샘 기능 장애를 호전시킨다. 기전은 명확하지 않지만, 다...)
- 2020년 10월 23일 (금) 0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집중 펄스 광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집중 펄스 광선 (intense pulsed light; IPL)</b>".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10월 22일 (목)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집중 펄스 광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집중 펄스 광선 (intense pulsed light; IPL)</b>)
- 2020년 8월 22일 (토) 01:47 Smile 토론 기여님이 Using UVA substantially underestimates the impact of visual impairment on QOL compared with BV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Using uniocular visual acuity substantially underestimates the impact of visual impairment on quality of life compared with binocular visual acuity |단안 시력은 양안...)
- 2020년 8월 20일 (목)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Association of weight-adjusted caffeine and BB use with ophthalmology fellow performance during simulated VRM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Association of weight-adjusted caffeine and β-blocker use with ophthalmology fellow performance during simulated vitreoretinal microsurgery |체중에 따라 조정된 카...)
- 2020년 8월 19일 (수) 06: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IOV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IOVS))
- 2020년 8월 19일 (수)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Accommodation and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ie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논문IOVS)
- 2020년 8월 17일 (월) 1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Risk of SAEs following intravitreal bevacizumab, ranibizumab, and aflibercept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망막분류:논문분류:Ophthalmology)
- 2020년 8월 17일 (월) 1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목차숨김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onlyinclude><div class="toclimit-{{{1|3}}}">__TOC__</div></onlyinclude>".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8월 17일 (월) 15: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목차숨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nlyinclude><div class="toclimit-{{{1|3}}}">__TOC__</div></onlyinclude>)
- 2020년 8월 17일 (월) 0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BJ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BJO))
- 2020년 8월 17일 (월) 04:19 Smile 토론 기여님이 Outcomes of GATT in PXG : 24-month F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Outcomes of gonioscopy-assisted transluminal trabeculotomy in pseudoexfoliation glaucoma : 24-month follow-up |가성 비늘 녹내장에서 전방각경을 이용한 혈관...)
- 2020년 8월 17일 (월)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난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난시 (astigmatism)</b> == 소아에서의 난시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 |- !||1세 미만||1~2...)
- 2020년 8월 17일 (월) 00: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원시 (hypermetropia)</b> == 소아에서의 원시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굴절 교정 지침 |- !||1세 미만||1~...)
- 2020년 8월 14일 (금)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Predictors of lost to FU in patients being treated for PD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Predictors of lost to follow-up in patients being treated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증식 당뇨 망막병증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추적 탈락의...)
- 2020년 8월 13일 (목)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colspan="2"|{{{1|없음}}} |- |제품명||{{{2|없음}}} |- |성분 및 함량||{{{3|없음}}} |- |제품 코드||{{{4|없음}}} |- |효과||{{{5|없음}}} |- |...)
- 2020년 8월 13일 (목)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스타시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레스타시스 (Restasis)</b>)
- 2020년 8월 10일 (월) 08:25 Smile 토론 기여님이 Effect of refractive astigmatism on all-distance VA in eyes with a trifocal I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Effect of refractive astigmatism on all-distance visual acuity in eyes with a trifocal intraocular lens |삼중 초점 인공수정체로 수술한 눈에서 모든 거리...)
- 2020년 8월 10일 (월) 08:20 Smile 토론 기여님이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논문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고원 홍채와 원발 폐쇄각 녹내장의 중증도 |{{AJO}} |Monisha E Nongpiur, Sushma Verma, Tin A Tun, Tina T Wong, Shamira A Perera, Tin Aung |2020 Jul 28 |32735788 |10.1016/j.ajo.2020.07.033 }} == 목적 == 표준화된 초음파 생체 현미경 (UBM) 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도의 원발 폐쇄각...".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8월 10일 (월) 08:19 Smile 토론 기여님이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AC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고원 홍채와 원발 폐쇄각 녹내장의 중증도 |{{AJO}} |Monisha E Nongpiur, Sushma Verma, Tin A Tun,...)
- 2020년 8월 3일 (월) 0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AJ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AJO))
- 2020년 8월 3일 (월) 04:0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논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영문 제목||{{1}} |- |한글 제목||{{2}} |})
- 2020년 8월 3일 (월)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Plateau iris and severity of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목적 == 표준화된 초음파 생체 현미경 (UBM) 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도의 원발 폐쇄각 녹내장 (PACG) 이 있는 눈에서 고원 홍채의 분포...)
- 2020년 7월 31일 (금)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성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만성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chronic adenoviral conjunctivits)</b><ref name="ref1">{{각막}}</ref> 은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드문 형태이다....)
- 2020년 7월 31일 (금)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Adenoviral conjunctivitis)</b><ref name="ref1">{{각막}}</ref> <i>Adenovirus</i>는 바이러스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원인 == 51가지의 인간 <i>Adenovirus</i> 혈청형이 있으며, A에서 F까지의 아종이 발견되었다. 그 중 32가지가 아속 D에 속한다. == 분류 == * 인두 결막열 * 유행 각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31일 (금)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Adenoviral conjunctivitis)</b><ref name="ref1">{{각막}}</ref> <i>Adenovirus</i>는 바이러스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원...)
- 2020년 7월 30일 (목) 0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균 각막염의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세균 각막염의 치료 (treatment of infectious keratitis)</b> 목적은 감염과 동반된 염증을 치유하고 각막 구조의 완전성과 시기능을 회복하는 것...)
- 2020년 7월 30일 (목) 0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리메토프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트리메토프림 (trimethoprim)</b> 은 2,4-diamino-pyrimidine 으로 세균의 엽산 합성을 억제한다. 설폰아마이드와 병용할 때 상승 작용을 나타내...)
- 2020년 7월 30일 (목) 05: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설폰아마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설폰아마이드 (sulfonamide)</b> 는 PABA (para-aminobenzoic acid) 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균의 엽산 합성을 경쟁적으로 저해하여 정균...)
- 2020년 7월 29일 (수) 0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충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충혈 (hyperemia; conjunctival injection)</b> 은 다양한 질환에서 결막 혈관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 2020년 7월 29일 (수)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부종 (chemosis)</b> 은 비정상적인 투과성 모세혈관으로부터의 삼출물에 의한다. {{참고|각막}})
- 2020년 7월 25일 (토)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펜타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펜타캠 (pentacam) {{참고|각막|안과검사}} # Hashemi H, et al. Pentacam top indices for diagnosing subclinical and definite keratoconus. J Curr Ophthalmol. 2016;28(1):21-26)
- 2020년 7월 24일 (금) 0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생 혈관 녹내장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신생 혈관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NVG) 은 홍채와 전방각의 표면에 생기는 섬유혈관막에 의하여 발생한다. 처음에는 그 막이 단순히 전방각을 막다가 후에는 수축하여 주변 홍채앞 유착이 일어난다. 일차 질환에 의하지 않고 대부분 허혈성 변화가 오는 다른 질환들과 동반하여 나타난다.<BR /> &n...".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24일 (금) 03: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생혈관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생 혈관 녹내장 (neovascular glaucoma; NVG) 은 홍채와 전방각의 표면에 생기는 섬유혈관막에 의하여 발생한다. 처음에는 그 막이 단순히 전방...)
- 2020년 7월 22일 (수) 07: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막 자극 징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막 자극 징후 (meningeal irritation sign)</b> 는 수막염이나 거미막밑 출혈 같은 질환에서 수막이 자극되어 생기는 증상이다. == 종류 == * 경...)
- 2020년 7월 22일 (수) 07: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호프만 징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호프만 징후 (Hoffmann sign)</b> == 검사 방법 및 결과 == 먼저 환자에게 손의 긴장을 풀게 하고 손목을 후방 굽힘 (dorsiflexion) 시킨다. 손가락...)
- 2020년 7월 22일 (수) 07: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빈스키 징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바빈스키 징후 (Babinski sign)</b> == 검사 방법 및 결과 == 먼저 발꿈치에서 발바닥의 바깥꽂을 따라서 다섯 번째 중족골 (metatarsal bone) 쪽을...)
- 2020년 7월 22일 (수) 0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부 건반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심부 건반사 (deep tendon reflex)</b> 는 근신장검사 라고도 불리며,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하는 자극에 반응하여 골격근을 수축시키는...)
- 2020년 7월 22일 (수) 06: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설하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12번 뇌신경)</b> 은 순수한 운동 신경으로서, 혀의 모든 내재근과 구개설근을 제외한 외재근ㅇ르 지배한다. 설...)
- 2020년 7월 22일 (수) 06: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부신경 (accessory nerve; 11번 뇌신경)</b> 은 흉쇄유돌근과 등세모근에 분포한다. *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 : 목과 얼굴을 반대로 향하...)
- 2020년 7월 22일 (수) 06: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삼차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삼차 신경 (trigeminal nerve; 5번 뇌신경)</b> == 운동 기능 == 운동신경핵은 교뇌의 외측에 위치하며, Gasserian ganglion을 통과하여 감각신경 중...)
- 2020년 7월 20일 (월) 08: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간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 (indirect carotid cavernous fistula; indirect CCF)</b> 는 경막 동맥 해면정맥굴 샛길 (dural arteriovenous fistula of cavernous sinus)...)
- 2020년 7월 20일 (월)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직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직접 경동맥 해면정맥동루 (direct carotid cavernous fistula)</b> 는 해면정맥굴 부위의 목동맥 파열로 생긴다. == 원인 == * 외상성 : 두개적 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