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콕시디오이데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콕시디오이데스 안내염 (Coccidioides endophthalmitis) == 역학 == Coccidioidomycosis가 풍토병으로 나타나는 지역은 미국의 남서부 지역, 멕시코 북부,...)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크립토코쿠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크립토코쿠스 안내염 (Cryptococcus endophthalmitis) == 원인 == Cryptococcus 종은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i>C. neoformans</i> 만이 인체에 병을 일으킨다....)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스퍼질루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스퍼질루스 안내염 (Aspergillus endophthalmitis) Aspergillus는 진균 중 가장 흔하며 900종 이상이 존재하지만, 안내 감염으로 보고된 것은 5 종류...)
- 2020년 3월 17일 (화)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칸디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칸디다 안내염 (Candida endophthalmitis) == 역학 == Candida 전신 감염증의 3~44%에서 발병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낮은 균력을 가지지만, 칸디다혈...)
- 2020년 3월 17일 (화)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균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진균 안내염 (fungal endophthalmitis) 자연계에는 많은 종류의 진균이 있으나 건강한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많지 않다. == 역학 == 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행성 외망막 괴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진행성 외망막 괴사 (progressive outer retinal necrosis; PORN) 는 AIDS를 포함한 면역억제 환자에서 보이는 심각한 망막 감염으로 CD4+ 림프구 수가 50/...)
- 2020년 3월 17일 (화)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회복 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면역 회복 포도막염 (immune recovery uveitis) 은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HAART 치료 후 환자의 면역 기능이 좋아지면서...)
- 2020년 3월 17일 (화)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낭미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낭미충증 (ocular cysticercosis) == 역학 ==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멕시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동유럽, 중남미 등이 풍토 지역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개회충증 (ocular toxocariasis) 은 유충이 혈액을 따라 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환자의 연령은 보고에 따라 6.4~5*7세에...)
- 2020년 3월 17일 (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신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신 개회충증 (systemic toxocariasis) 은 내장 유충 이행증(visceral larva migrans)이라고도 불린다. == 병태 생리 == 충란에서 나온 유충이 소장의 벽...)
- 2020년 3월 17일 (화)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회충증 (toxocariasis) 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인수공통 기생충증 중 하나이자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으로, 안구에 침범할 경우 심한...)
- 2020년 3월 17일 (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톡소플라즈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톡소플라즈마 (Toxoplasma gondii; T. gondii) 는 세포 내에서만 존재하는 기생충으로 인간과 포유류 혹은 조류를 감염시킨다. 이 유기체는 빠른...)
- 2020년 3월 17일 (화)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 안내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 안내 증식 (epithelial ingrowth) == 역학 == 수술 후 수 주 내에 나타나지만, 수술 후 4일부터 38년 후까지도 보고되었다. 미세한 것까지 포함...)
- 2020년 3월 17일 (화)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 안내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 안내 증식 (fibrous ingrowth) 은 "수술 부위 주위에서 섬유 조직이 증식하고 안내로 침범하는 것이다. == 원인 == 가장 많은 원인은 각막 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식 거부 반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현재 각막 이식은 수술 술기의 발달, 기증 조직 관리의 향상, 임상 양상의 평가 및 약물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식편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
- 2020년 3월 17일 (화)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복합 연속 단순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복합 연속 단순 봉합 (combined continuous and interrupted suture; CCIS) 은 "단속 봉합을 한 후 연속 봉합을 하는 것으로, 난시 조절을 위해 단속 봉합...)
- 2020년 3월 17일 (화)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헐러-샤이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헐러-샤이에 증후군 (Hurler-Scheie syndrome; MPS I-HS) 은 헐러 증후군과 샤이에 증후군의 중간 정도의 표현형을 나타내는 증후군이다. == 유...)
- 2020년 3월 17일 (화)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물고기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물고기눈 증후군 (fish eye syndrome) == 유전 ==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LCAT 효소 기능에 부분적으로 장애가 생겨 콜레스테...)
- 2020년 3월 17일 (화)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탄지에르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탄지에르병 (Tangier disease) 은 가족성 고밀도 지질 단백 결핍 (familial high-density lipoprotein deficiency) 이라고도 부르며, HDL이 완전히 결핍되어 있...)
- 2020년 3월 17일 (화)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LCAT 결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CAT 결핍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deficiency; LCAT deficiency) 은 "혈장 cholesterol ester와 lysolecithin이 감소하고, unesterified cholsterol과 triglyceride...)
- 2020년 3월 17일 (화)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지질 단백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지질 단백혈증 (hypolipoproteinemia) 는 "비정상적으로 혈장 지질단백의 수치가 감소하여 발생한다. == 분류 == * LCAT 결핍 * 탄지에르 병...)
- 2020년 3월 17일 (화) 0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상 지질 단백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 지질 단백혈증 (dyslipoproteinemia) 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조기에 심혈관 질환 및 말초 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 2020년 3월 17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브리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브리병 (Fabry disease) " == 유전 == 성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α-galactosidase A의 장애로 인해 spingomyelin이 여러 조직과 혈관...)
- 2020년 3월 17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갈락토시알리도시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갈락토시알리도시스 (galactosialidosis) == 유전 ==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sialidase와 β-galactosidase가 함께 결핍을 보인다. =...)
- 2020년 3월 17일 (화)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샤이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샤이에 증후군 (Scheie's syndrome; MPS I-S) 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α-1-iduronidase이 결핍되어 나타나며, 심한 각막 혼탁, 손 기형, 그리고 대동맥관...)
- 2020년 3월 17일 (화)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헐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헐러 증후군 (Hurler's syndrome; MPS I-H) == 임상 소견 == 6~12개월까지는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다가, 이후에 조악한 얼굴 모습, 기형적이 골격, 그...)
- 2020년 3월 17일 (화) 00:14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 2020년 3월 17일 (화)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공막염 (episcleritis) 은 눈의 바깥쪽 표면에 일어나는 질환으로, 비교적 경하고 자연 치유된다. == 역학 == 자연치유되고 증상이 없는 경우...)
- 2020년 3월 17일 (화) 00: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체트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베체트 병 (Behcet's disease) 은 피부 점막, 눈, 장, 관절, 혈관, 비뇨생식계와 신경계 등의 다양하 장기에 초래되는 만성적이고 반복적이며 원...)
- 2020년 3월 17일 (화) 00: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앞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앞포도막염 (anterior uveitis) 은 홍채, 섬모체 혹은 둘 모두에 생기는 염증에 국한된 용어이다. 비교적 쉽게 진단되지만, 대부분 전신 상태에...)
- 2020년 3월 17일 (화)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라운-맥린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라운-맥린 증후군 (Brown-McLean syndrome) Brown과 McLean은 1969년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는 주변부 각막 부종에 대해 보고했다. == 역학 =...)
- 2020년 3월 17일 (화) 00:07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인 고랑 각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인 고랑 각막 변성 (senile furrow) 은 희귀한 변성으로, 주변부의 얇아짐을 노인환과 각막 윤부 혈관망 사이의 무혈관 영역에서 관찰할 수...)
- 2020년 3월 17일 (화) 00: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어 가죽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어 가죽반 (crocodile shagreen) == 분류 == * 전면형 : 노화 현상 때문으로 생각되어 왔지만,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원추 각막 환자들에서...)
- 2020년 3월 16일 (월) 16: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교 모양 물방울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교 모양 물방울 이상증 (gelatinous droplike dystrophy; GDLD) 은 어릴 때부터 양안의 상피 세포와 기질 표층에 우윳빛 오디 모양의 융기된 병변이...)
- 2020년 3월 16일 (월)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하 점액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하 점액 각막 이상증 (subepithelial mucinous corneal dystrophy; SMCD) 은 양안에 전반적으로 균일한 상피하 혼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각막 중심...)
- 2020년 3월 16일 (월) 16: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쉬 각막 상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쉬 각막 상피 이상증 (Lisch epithelial corneal dystrophy) == 임상 소견 == 띠 모양과 소용돌이 모양의 미세 낭포가 상피에만 존재하며 반복 각막...)
- 2020년 3월 16일 (월) 1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눈물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눈물샘 (main lacrimal gland) 은 안와내 위쪽가의 약간 움푹 패인 눈물샘 오목에 위치하며 무게는 약 80g이고 크기는 17×10×5mm이다. 인접한 안...)
- 2020년 3월 16일 (월) 16: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샘 (lacrimal gland; LG) 은 "눈물층 중 수성층(aqueous layer)의 형성을 담당한다. == 분류 == * 주눈물샘 * 부눈물샘 : 볼프링샘 (Wolfring's gla...)
- 2020년 3월 16일 (월) 16: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모덱스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모덱스 눈꺼풀염 (Demodex blepharitis) Demodex는 사람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외부 기생충 중 하나이다. == 역학 ==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연...)
- 2020년 3월 16일 (월) 16:54 Smile 토론 기여님이 허리케인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허리케인 각막염 (Hurricane keratitis) 은 각막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국소 사용 약물의 독성으로 인해 일어난다. == 병태 생리 == 각막 이...)
- 2020년 3월 16일 (월) 1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영양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영양 각막염 (neurotrophic keratitis) 은 어떤 원인에 의해 각막 상피가 더 이상 재생되지 않는 질환이다. 각막 지각 소실이 이 질환의 뚜렷...)
- 2020년 3월 16일 (월) 16:48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이거슨 표층 점상 각막염 (Thygeson's superficial punctate keratitis; TSPK) 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각막 상피병증으로, 다른 안과/전신 질환...)
- 2020년 3월 16일 (월) 1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모양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모양 각막염 (filamentary keratitis) 은 각막 표면에 실모양체가 형성되는 질환을 통칭하며, 치료가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다. 임상적으로 흔...)
- 2020년 3월 16일 (월) 1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복 각막 진무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복 각막 진무름 (recurrent corneal erosion; RCE) 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으로,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각막 상피의 벗겨짐과 재상피화를...)
- 2020년 3월 16일 (월) 1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렌 각막 궤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렌 각막 궤양 (Mooren's ulcer) 은 심한 통증을 수반하면서 각막 윤부를 따라 평행하게, 그리고 동시에 각막 중심부 방향으로도 진행하는 주...)
- 2020년 3월 16일 (월) 1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또아리모양 각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또아리모양 각막병증 (vortex keratopathy) 은 축적된 지질의 양에 비례하여 나타나고 신기능의 손상 가능성을 시사한다. == 원인 == * chloroquine *...)
- 2020년 3월 16일 (월) 16: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구균 가장자리 각막염 (staphylococcal marginal keratitis; SMK) 은 카타르 침윤(catarrhal infiltrates) 또는 카타르 궤양이라고도 하며 주변 각막 질...)
- 2020년 3월 16일 (월) 1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릭텐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릭텐 각결막염 (phlyctenular keratoconjunctivitis) 은 <span style='color:blue;'>비감염성 각결막염</span>으로, 이미 민감화된 항원에 다시 노출되어 생...)
- 2020년 3월 16일 (월) 1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긴장성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긴장성 동공 (tonic pupil) == 원인 == 섬모체 신경절이나 짧은 섬모체 신경의 손상이 원인이다. == 분류 == * 국소 긴장성 동공 * 신경병증성...)
- 2020년 3월 16일 (월) 1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접 반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접 반사 (near reflex) 는 근거리 주시 때 동공이 줄어들고 조절이 증가하며 눈모음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근접 반응이라고도 부른다.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