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le에 대한 사용자 기여
보이기
2024년 3월 3일 (일)
- 02:132024년 3월 3일 (일) 02:13 차이 역사 +375 잔글 유두정맥염 →원인
- 02:122024년 3월 3일 (일) 02:12 차이 역사 +489 잔글 유두정맥염 →원인
- 02:102024년 3월 3일 (일) 02:10 차이 역사 +60 잔글 유두정맥염 →역학
- 02:092024년 3월 3일 (일) 02:09 차이 역사 +11 잔글 유두정맥염 편집 요약 없음
- 02:092024년 3월 3일 (일) 02:09 차이 역사 +1,658 새글 유두정맥염 새 문서: '''유두정맥염 (papillophlebitis)''' 은 시신경 기능에 이상이 없으며 편측 시신경에 부분적인 부종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정확한 발병 기전과 체계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이를 다룬 국내외 소수의 보고가 있었다<ref name=r1>Güngör İ et al. Papillophlebitis : Treatment of Vision Loss Due To SRF w Intravitreal Ranibizumab. ''Neuroophthalmology''. 2014 Oct 9;38(6)...
2024년 3월 2일 (토)
- 14:362024년 3월 2일 (토) 14:36 차이 역사 +613 잔글 안와 감압술 →방법 최신
- 14:352024년 3월 2일 (토) 14:35 차이 역사 +3,241 잔글 안와 감압술 편집 요약 없음
- 14:302024년 3월 2일 (토) 14:30 차이 역사 +1,200 새글 안와 감압술 새 문서: '''안와 감압술 (orbital decompression)'''{{성형안과}} == 적응증 == * 압박 시신경병증으로 인한 시력 감소 * 노출 각막염 * 심한 안구 돌출로 인해 얼굴의 모습이 심하게 변형된 경우 등이다. 수술 기법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근래에는 미용적인 목적으로도 많이 시술되고 있다. == 종류 == 보통 안와 하벽과 내벽의 감압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외벽의 감압술이 복시와...
2024년 1월 30일 (화)
- 15:132024년 1월 30일 (화) 15:13 차이 역사 −231 잔글 외상성 근시 →원인 최신
- 15:132024년 1월 30일 (화) 15:13 차이 역사 +9 잔글 외상성 근시 →역학
- 15:122024년 1월 30일 (화) 15:12 차이 역사 +948 잔글 외상성 근시 →원인
- 15:022024년 1월 30일 (화) 15:02 차이 역사 +326 잔글 브롬페낙 →종류 최신
- 14:582024년 1월 30일 (화) 14:58 차이 역사 +70 잔글 브롬페낙 →효과
- 14:542024년 1월 30일 (화) 14:54 차이 역사 −6 잔글 브롬페낙 편집 요약 없음
- 14:542024년 1월 30일 (화) 14:54 차이 역사 +565 잔글 브롬페낙 편집 요약 없음
- 08:262024년 1월 30일 (화) 08:26 차이 역사 +1,302 새글 브롬페낙 새 문서: '''브롬페낙 (bromfenac)'''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의 하나이다. == 효과 == NSAID 점안제 중에서도 유리체 내 침투력이 높으며, 당뇨 황반부종 (DME), 포도막염에 의한 황반부종 (ME) 등 망막 질환에서 브롬페낙의 점안이 부종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14-16 또한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 (wAMD) 환자에서 유리체 내 주사 없이 브롬페낙 점안액 단독...
- 08:222024년 1월 30일 (화) 08:22 차이 역사 −481 잔글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브롬페낙 (bromfenac) 최신
- 08:202024년 1월 30일 (화) 08:20 차이 역사 +14 잔글 인공수정체 공식 →인공 지능을 이용한 공식 최신
- 08:192024년 1월 30일 (화) 08:19 차이 역사 +333 새글 Kane 새 문서: '''Kane''' 공식은 인공 지능의 회귀 분석과 이론적인 광학을 기반으로 한 요소를 이용한 새로운 공식이다<ref>Szalai E et al. Comparison of various IOL formulas using a new high-resolution SS OCT. ''JCRS''. 2020 Aug;46(8):1138-1141. [https://pubmed.ncbi.nlm.nih.gov/32818329/ 연결]</ref>. {{참고}} 최신
- 08:172024년 1월 30일 (화) 08:17 차이 역사 +361 새글 EVO 새 문서: '''EVO (emmetropia verifying optical)'''{{백내장}} 공식은 정시화 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두꺼운 렌즈 공식으로 최근 개발되었다<ref>Zhao J et al. Accuracy of 8 IOL power calculation formulas for segmented MF IOL. ''Int J Ophthalmol''. 2020 Sep 18;13(9):1378-1384. [https://pubmed.ncbi.nlm.nih.gov/32953575/ 연결]</ref>. {{참고}} 최신
- 08:132024년 1월 30일 (화) 08:13 차이 역사 +469 잔글 Hill-RBF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8:082024년 1월 30일 (화) 08:08 차이 역사 +225 잔글 카보머 →장점 최신
- 08:072024년 1월 30일 (화) 08:07 차이 역사 +531 잔글 카보머 편집 요약 없음
- 08:012024년 1월 30일 (화) 08:01 차이 역사 +12 잔글 카보머 →효과
2024년 1월 29일 (월)
- 16:482024년 1월 29일 (월) 16:48 차이 역사 +11 잔글 외상성 근시 편집 요약 없음
- 16:472024년 1월 29일 (월) 16:47 차이 역사 +2,247 새글 외상성 근시 새 문서: '''외상성 근시 (traumatic myopia)''' 는 안구 외상 후 발생하는 안구의 가변적 근시성 변화를 말하며, 1870년 Kugel이 외상 후 발생하는 근시에 대해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 이후 외상 후 가변적 근시에 대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 역학 == 수상안에 주로 발생하고 종종 양안에 관찰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1.0~-6.0 D 까지 굴절률의 변화는 다양하고 갑자기 발생하여 가변적...
- 16:352024년 1월 29일 (월) 16:35 차이 역사 +804 잔글 혈누 →원인 최신
- 16:282024년 1월 29일 (월) 16:28 차이 역사 +938 잔글 혈누 →특발성
- 16:262024년 1월 29일 (월) 16:26 차이 역사 +8 잔글 혈누 →원인
- 16:262024년 1월 29일 (월) 16:26 차이 역사 +1,114 잔글 혈누 →특발성
- 16:242024년 1월 29일 (월) 16:24 차이 역사 +1,133 잔글 혈누 편집 요약 없음
- 16:142024년 1월 29일 (월) 16:14 차이 역사 +813 새글 혈누 새 문서: '''혈누 (bloody tears)''', 즉 피눈물을 흘리는 것은 매우 드문 의학적 상태이다. == 원인 ==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부터 혈관 기형, 염증성 육아종, 악성 종양을 포함한 결막 병변<ref>Ho VH et al. Bloody tears of unknown cause : case seri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4 Nov;20(6):442-7. [https://pubmed.ncbi.nlm.nih.gov/15599244/ 연결]</ref>, 코눈물주머니의 악성 종양, 뿐만 아...
- 15:282024년 1월 29일 (월) 15:28 차이 역사 +464 잔글 브롤루시주맙 →단점
- 15:262024년 1월 29일 (월) 15:26 차이 역사 +148 잔글 브롤루시주맙 편집 요약 없음
- 15:242024년 1월 29일 (월) 15:24 차이 역사 −1 잔글 브롤루시주맙 편집 요약 없음
- 15:242024년 1월 29일 (월) 15:24 차이 역사 +10 잔글 브롤루시주맙 편집 요약 없음
- 15:212024년 1월 29일 (월) 15:21 차이 역사 +432 잔글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5:192024년 1월 29일 (월) 15:19 차이 역사 +784 새글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새 문서: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은 중추 신경계의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생성되는 수초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로, 이에 대한 항체가 발현되면 중추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시신경염, 횡단 척수염과 같은 탈수초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ref>Schluesener HJ et al. A monoclonal Ab against a MOG induces relapses and demyelination in CNS...
2024년 1월 27일 (토)
- 04:462024년 1월 27일 (토) 04:46 차이 역사 +570 잔글 카보머 →효과
- 04:292024년 1월 27일 (토) 04:29 차이 역사 −21 잔글 카보머 →단점
- 03:012024년 1월 27일 (토) 03:01 차이 역사 +459 잔글 카보머 →단점
- 03:002024년 1월 27일 (토) 03:00 차이 역사 +264 잔글 카보머 →효과
- 02:262024년 1월 27일 (토) 02:26 차이 역사 +783 잔글 카보머 편집 요약 없음
2024년 1월 26일 (금)
- 04:072024년 1월 26일 (금) 04:07 차이 역사 +363 잔글 아트로핀 (저농도) →LAMP P3Yam JC et al. 3y Clinical Trial of LAMP Study : Continued vs Washout : P3 Report. Ophthalmology. 2022 Mar;129(3):308-321. 연결 (2022, 홍콩) 최신
- 04:052024년 1월 26일 (금) 04:05 차이 역사 +181 잔글 아트로핀 (저농도) →LAMP P2Yam JC et al. 2y Clinical Trial of the LAMP Study : P2 Report. Ophthalmology. 2020 Jul;127(7):910-919. 연결 (2020, 홍콩)
- 04:032024년 1월 26일 (금) 04:03 차이 역사 +324 잔글 아트로핀 (저농도) →LAMPYam JC et al. Low-Concentration Atropine for Myopia Progression (LAMP) Study : A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0.05, 0.025, 0.01% Atropine Eye Drops in Myopia Control. Ophthalmology. 2019 Jan;126(1):113-124. [https://pubmed.ncbi.nlm.nih.gov/30514630/연결] (2019, 홍콩)
2024년 1월 22일 (월)
- 07:172024년 1월 22일 (월) 07:17 차이 역사 +6 잔글 대문 →소개
- 07:172024년 1월 22일 (월) 07:17 차이 역사 +109 잔글 대문 →소개
2024년 1월 17일 (수)
- 08:242024년 1월 17일 (수) 08:24 차이 역사 +1,092 잔글 눈 사르코이드증 →중간 포도막염 최신
- 08:152024년 1월 17일 (수) 08:15 차이 역사 −1 잔글 눈 사르코이드증 →중간 포도막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