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2일 (목) 05: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섬유층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섬유층 결손 (nerve fiber layer defect; NFLD))
- 2020년 3월 12일 (목) 0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다발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다발 결손 (nerve fiber bundle defect; NFBD))
- 2020년 3월 12일 (목)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네오디움 야그 레이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네오디움 야그 (neodium-yttrium aluminum garnet; Nd:YAG) 레이저)
- 2020년 3월 12일 (목)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치실린 내성 포도구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치실린 내성 포도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 2020년 3월 12일 (목) 0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기 공명 영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병태 생리 ==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를 전자장에 두고 여기에 전자파를 주...)
- 2020년 3월 12일 (목) 0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각막 반사 거리 (margin reflex distance; MRD))
- 2020년 3월 12일 (목) 05: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증 근무력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증 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MG) 은 신경-근 이음부 전달 장애가 있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근육 약화와 피로가 특징적이다. 눈과 관련되어...)
- 2020년 3월 12일 (목)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초점 망막 전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초점 망막 전위도 (multifocal electroretinography; mfERG) == 검사 과정 == # 동공을 확대시킨 후 점안 마취하여 전용의 콘택트렌즈 전극을 장착하...)
- 2020년 3월 12일 (목) 0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혈관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세혈관류 (microaneurysm; MA) 는 모세혈관의 부분적인 원형 확장을 일컫는 말로 당뇨망막병증에서 <span style='color:blue;'>가장 먼저 관찰할 수...)
- 2020년 3월 12일 (목) 0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광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광각 (non-light perception; NLP))
- 2020년 3월 12일 (목) 0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각 (light perception; LP))
- 2020년 3월 12일 (목)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층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층 각막 이식 (lamellar keratoplasty; LKP))
- 2020년 3월 12일 (목)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르곤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르곤 레이저 주변 홍채 성형술 (argon laser peripheral iridoplasty; ALPI))
- 2020년 3월 12일 (목) 04: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홍채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홍채 절개술 (laser iridotomy; LI) 은 동공 차단으로 인한 모든 폐쇄각 혹은 폐쇄각 녹내장의 일차적인 시술 방법이다. 안전하고 효율적...)
- 2020년 3월 12일 (목)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버 유전 시신경병증 (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LHON) " == 역학 ==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많으며 대개 15~35세에 많이 발병하는데, 분자유...)
- 2020년 3월 12일 (목)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식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 2020년 3월 12일 (목)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섹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 2020년 3월 12일 (목)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이식 (keratoplasty; KP))
- 2020년 3월 12일 (목)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후면 침착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후면 침착물 (keratic precipitate; KP))
- 2020년 3월 12일 (목) 0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건성 각결막염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
- 2020년 3월 12일 (목) 0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intra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RMA) 은 망막 내에서 모세혈관이 부분적으로 구불거리며 확장되어 보이는 모습을...)
- 2020년 3월 12일 (목) 0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압 (intraocular pressure; IOP) 은 녹내장 발병과 관련이 있는 여러 위험 요인들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밝혀진 위험 요인이며 녹내장의 치료...)
- 2020년 3월 12일 (목) 03:3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핵간 안근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핵간 안근 마비 (핵사이 눈근육 마비) (internuclear ophthalmoplegia; INO) 는 교뇌 중간과 동안신경핵 사이의 안쪽 세로 다발 병변이다. == 원인 == *...)
- 2020년 3월 12일 (목)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경계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경계막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은 망막 가장 내측의 있는 PAS 양성의 얇은 막으로 두께는 부위에 따라 달라 <span style='color:blue;'>후극부...)
- 2020년 3월 12일 (목)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기질내 고리 삽입술 (intrastromal corneal ring segment; ICRS) 은 각막의 앞쪽 표면의 만곡도를 변화시켜 시력을 최적화하고 동시에 근시를 교...)
- 2020년 3월 12일 (목) 03: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 조영술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ICGA) 은 인도시아닌 그린 색소의 여러 화학적, 광학적 특성으로 망막색소상피층...)
- 2020년 3월 12일 (목)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도시아닌 그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도시아닌 그린 (indocyanine green; ICG) == 광학적 특징 == ICG 색소는 혈중에서 <span style='color:blue;'>근적외선 파장</span>의 광선에 자극 받으면...)
- 2020년 3월 12일 (목)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현성 굴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현성 굴절 검사 (manifest refraction; MR))
- 2020년 3월 12일 (목)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직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직근 (medial rectus muscle; MR) 은 총건륜 안쪽에서 시작하여 안와 안쪽벽을 따라 수평으로 전진하여 안구 부착부로부터 후방 12mm 떨어진 부...)
- 2020년 3월 12일 (목) 0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직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직근 (lateral rectus muscle; LR) 외직근은 총견륜 바깥쪽에서 시작하여 안와 바깥벽을 따라 앞으로 전진하여 안구 부착부로부터 후방 15mm 떨...)
- 2020년 3월 12일 (목)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사근 (superior oblique muscle; SO) 은 시신경공의 바로 상내측, 총건륜 상내측에서 시작하여 안와 내벽 위쪽을 따라 앞쪽으로 주행하여 안와...)
- 2020년 3월 12일 (목) 03: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사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사근 (inferior oblique muscle; IO) 은 안와 내벽 안와가장자리에 근접한 눈물주머니가 있는 눈물주머니 오목(lacrimal fossa)의 하외측에서 시작하...)
- 2020년 3월 12일 (목)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각막 내피 증후군 (iridocorneal endothelial syndrome; ICE syndrome) 은 "비정상적인 각막 내피가 전방각과 홍채로 과성장한 후 수축함으로써 안...)
- 2020년 3월 12일 (목)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사시 (hypertropia; HT))
- 2020년 3월 12일 (목)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 2020년 3월 12일 (목)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산화 단층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 장점 == 뼈 조직 뿐만 아니라 연부 조직의 병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검사할 수 있고 환자에게...)
- 2020년 3월 12일 (목)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 시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 시력 (두눈 시력) (binocular visual acuity; BVA))
- 2020년 3월 12일 (목)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최대 교정 시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대 교정 시력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 2020년 3월 12일 (목)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포진 각막염 (herpes simplex keratitis; HSK))
- 2020년 3월 12일 (목)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 포진 바이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 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HSV))
- 2020년 3월 12일 (목)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신경 섬유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신경 섬유층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 2020년 3월 12일 (목)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 출혈 (vitreous hemorrhage; VH))
- 2020년 3월 12일 (목)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하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하 출혈 (subconjuntival hemorrhage; SCH))
- 2020년 3월 12일 (목)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부 표층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부 표층 각막 이식 (deep anterior lamellar keratoplasty; DALK) == 장점 == * 각막 전 실질을 제거하므로 어떠한 실질 내 병변에도 시행이 가능하다. *...)
- 2020년 3월 12일 (목) 0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 박리 내피 층판 이식술 (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은 수용 각막의 기질층판 박리 과정을 생략하고 데스메막과 각막...)
- 2020년 3월 12일 (목)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자동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 박리 자동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은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중 기증 각막편 제작...)
- 2020년 3월 12일 (목)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잘못된 내용)
- 2020년 3월 12일 (목) 0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 박리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각막 내피 층판 이식술 중 기증 각막편 제작 또한 수...)
- 2020년 3월 12일 (목)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층 각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층 각막 이식 (penetrating keratoplasty; PKP) 은 수용 각막의 전층을 기증 각막으로 대치하여 이식하는 술기이다.)
- 2020년 3월 12일 (목) 0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광응고술 (cyclophotocoagulation; CPC) 은 섬모체 돌기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섬모체를 파괴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