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목록
등록된 사용자 숨기기 | 봇을 숨기기 | 넘겨주기를 보이기
  • 2025년 8월 13일 (수) 04:29멜라닌 세포 (역사 | 편집) ‎[1,488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멜라닌 세포 (melanocyte)''' 는 복합 단백인 멜라닌을 생산할 수 있는 특수한 세포이며 정상적으로 결막 상피에 존재하는 세포이다. == 구조 == 결막 상피세포층 기저부에 위치하고 색소를 함유하지 않으며,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에서는 구분하기 쉽지 않고 특수한 면역조직화학 염색(S-100, HMB-45, melanin A 등) 이 필요하다<ref>Jakobiec FA et al. IHC studies of conjunctival nevi and mel...)
  • 2025년 8월 13일 (수) 04:25멜라닌세포 병변 (결막) (역사 | 편집) ‎[820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결막의 '''멜라닌세포 병변''' == 역학 == 전체 결막 병변의 대부분인 대략 53%를 차지하는 질환이다<ref>Shields CL et al. Clinical survey of 1643 melanocytic and nonmelanocytic conjunctival tumors. ''Ophthalmology''. 2004 Sep;111(9):1747-54. [https://pubmed.ncbi.nlm.nih.gov/15350332/ 연결]</ref><ref>Dalvin LA et al. Population-based incidence of conjunctival tumours in Olmsted County, Minnesota. ''BJO''. 2018 Dec;102(12):1728-1...)
  • 2025년 8월 6일 (수) 06:30안구 지압 (역사 | 편집) ‎[924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구 지압''' (digital ocular massage){{녹내장}}{{성형안과}} == 녹내장 수술 후 == 방수 유출 기능이 충분하지 않아 안압이 높아질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술기로써 주로 섬유주절제술 후 초기에 안압이 상승하는 경우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며 아메드 밸브 삽입술 후에도 추가적인 안압 조절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ref>Buys YM et al. Massage : techniques and complications. In: Trope GE, ed....)
  • 2025년 8월 6일 (수) 06:26주사침 여과포 복원술 (역사 | 편집) ‎[1,35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주사침 여과포 복원술 (bleb needle revision)'''{{녹내장}} == 적응증 == 여과포에 발생하는 섬유성 피막으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안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술이다. == 효과 == 효과는 60~95%로 보고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반복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ref>Erdem B et al. Needling with 5-FU for encapsulated blebs after AGV implantation. ''Cutan Ocul Toxicol''. 2019...)
  • 2025년 8월 5일 (화) 07:32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역사 | 편집) ‎[3,731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중추성 항콜린 증후군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CAS)''' 1966년 Longo<ref>Longo VG. Behavior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effects of atropine and related compounds. ''Pharmacol Rev''. 1966 Jun;18(2):965-96. [https://pubmed.ncbi.nlm.nih.gov/5328390/ 연결]</ref>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 원인 == * 아트로핀 * 스코폴라민 * hyoscine * 항히스타민제 * 삼환계 항우울제 * benzodiazepine * opiates * ketamine 등 다양한...)
  • 2025년 8월 4일 (월) 09:30자가 혈소판 농축액 (역사 | 편집) ‎[4,991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자가 혈소판 농축액 (autologous platelet concentration)''' == 기전 == 유리체 내 주입하면 황반 원공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는 기존의 연구들이 있는데, 여러 가지 성장 인자들을 가지고 있어 원공의 세포 재생 및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9 또한 주입한 혈소판 농축액이 응고되면서 원공을 기계적으로 폐쇄하고 원공을 유발하는 접선방향 힘에 대항력으...)
  • 2025년 8월 2일 (토) 15:21프레보텔라 (역사 | 편집) ‎[1,810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프레보텔라 (Prevotellla)''' 종은 그람 음성 편성 혐기성 균이다. == 관련 질환 == 일반적으로 숙주 내에서 무해한 공생물이나, 만성 골수염, 물림 관련 감염, 류마티스 관절염,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장 질환뿐만 아니라 충치 및 치주염과 같은 구강 감염과 관련이 있다<ref>Sharma G et al. Prevotella : An insight into its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virulence factors. ''Microb Pathog''. 2022 Aug;1...)
  • 2025년 8월 2일 (토) 14:40신경내분비 암종/소세포 (역사 | 편집) ‎[1,976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신경내분비 암종 (NEC) : 소세포 == 부위 == 가장 흔한 원발 병소는 폐이며 폐 외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약 2.5%로,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 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에서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2>Kim KO et al. Clinical overview of extrapulmonary SCC. ''J Korean Med Sci''. 2006 Oct;21(5):833-7. [https://pubmed.ncbi.nlm.nih.gov/17043415/ 연결]</ref>....)
  • 2025년 8월 2일 (토) 05:01신경내분비 암종 (역사 | 편집) ‎[2,32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신경내분비 암종 (neuroendocrine carcinoma, NEC)''' 은 드문 형태의 악성 종양이다. == 부위 == 폐,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경부, 비뇨생식기계, 임파선 그리고 피부 등 전신의 신경내분비계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다. 1 가장 흔한 원발 병소는 폐이며 폐 외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약 2.5%로, 뇌, 위장관계, 췌장, 갑상선, 가슴샘, 난소, 자궁, 자궁...)
  • 2025년 8월 2일 (토) 04:39포비돈-아이오딘 (역사 | 편집) ‎[2,215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포비돈-아이오딘 (povidone-iodine, PVI)''' 은 수술 전 살균 목적과 감염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약제이다. == 효과 ==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광범위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다.4 PVI는 포비돈과 아이오딘의 복합체로 되어있고 물에 들어갔을 때 아이오딘이 포비돈으로부터 분리되어 미생물의 세포막을 투과해 세포 내에 있는 DNA 등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여 살균...)
  • 2025년 8월 2일 (토) 03:00자가 안구 적출 (역사 | 편집) ‎[6,235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자가 안구 적출 (self-enucleation)''' == 관련 질환 == 정신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서 드물게 발생한다. 환각 증상이나 망상을 특징으로 하는 조현병, 양극성 장애<ref>Castro HM et al. A Case of Attempted Bilateral Self-Enucleation in a Patient w Bipolar Disorder. ''Ment Illn''. 2017 Jun 26;9(1):7141. [https://pubmed.ncbi.nlm.nih.gov/28748060/ 연결]</ref>, 약물로 인한 정신증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자가...)
  • 2025년 8월 2일 (토) 01:28눈물길 내시경 (역사 | 편집) ‎[518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눈물길 내시경 (lacrimal endoscopy)'''{{성형안과}} 은 눈물길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병변을 찾아 치료할 수 있는 장치이다. == 역사 == 1979년 Cohen 등<ref>Cohen SW et al. Dacryoscopy. ''Ophthalmic Surg''. 1979 Nov;10(11):57-63. [https://pubmed.ncbi.nlm.nih.gov/523061/ 연결]</ref>의 연구를 시작으로 눈물길 수술에서 눈물길 미세 내시경이 등장하였고 미세현미경 기술의 발달과 함께 현재는 상용화...)
  • 2025년 8월 2일 (토) 00:05백신 (역사 | 편집) ‎[441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백신 (Vaccine)''' == 부작용 == === [포도막염 === 백신은 분자 모방, 직접 항원 매개세포/체액 면역 반응 또는 보조제 매개 면역 반응을 통해 포도막염을 초래하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Cunningham ET Jr et al. Vaccine-Associated Posterior Uveitis. ''Retina''. 2020 Apr;40(4):595-598. [https://pubmed.ncbi.nlm.nih.gov/32221173/ 연결]</ref>. {{참고}})
  • 2025년 8월 1일 (금) 23:58COVID-19 (역사 | 편집) ‎[1,60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2019 (COVID-19)''' == 역학 ==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부터 전 세계적으로 전파되어, 세계 보건기구 (WHO) 는 2020년 3월 11일에 대유행을 선언하였다. == 백신 == COVID-19/백신 {{참고}})
  • 2025년 7월 30일 (수) 06:13안와 지방 탈출 (역사 | 편집) ‎[2,09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안와 지방 탈출 (orbital fat prolapse)''' 은 안와에 위치해 있던 지방 조직이 외상, 수술 등에 의한 테논낭의 약해짐으로 인해 또는 외상이 없어도 연령 증가로 인해 안와 앞쪽의 결막 밑으로 탈출된 것이다<ref>Glover AT et al. Subconjunctival orbital fat prolapse.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1987;3(2):83-6. [https://pubmed.ncbi.nlm.nih.gov/3154584/ 연결]</ref>. {{참고}})
  • 2025년 7월 30일 (수) 06:01분리종 (역사 | 편집) ‎[10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분리종 (choristoma)''' 은 해부학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부위에 있는 정상 조직이다.)
  • 2025년 7월 30일 (수) 05:53유피 낭종 (역사 | 편집) ‎[1,076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유피 낭종 (dermoid cyst)''' == 구조 == 발생 과정에서 표피가 진피 영역으로 이동하여 각질화된 상피가 낭벽을 이루면서 내부에 피지샘, 모낭 등의 진피 부속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ref name=r1>Shields JA et al. Orbital dermoid cyst of conjunctival origin. ''AJO''. 1986 Jun 15;101(6):726-9. [https://pubmed.ncbi.nlm.nih.gov/3717258/ 연결]</ref><ref name=r2>이승희 등, 안와에 발생한 결막 유피낭종 1예,...)
  • 2025년 7월 30일 (수) 04:45유피 지방종 (역사 | 편집) ‎[2,644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유피 지방종 (dermolipoma)''' 은 선천성 분리종이다. == 임상 소견 == 주로 외안각에 가까운 눈알 결막의 이측에 노란 빛을 띄는 종괴로 관찰된다. == 감별 진단 == 노화에 의한 안와 지방 탈출증과 모양이 유사하여 감별이 필요하다<ref>Kim E et al. SC fat prolapse and dermolipoma of the orbit : differentiation on CT and MR imaging. ''AJNR Am J Neuroradiol''. 2011 Mar;32(3):465-7. [https://pubmed.ncbi.nlm.nih.gov...)
  • 2025년 7월 30일 (수) 00:11유피종 (역사 | 편집) ‎[910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유피종 (dermoid)''' 은 외배엽과 중배엽에서 기원한 조직으로 구성된 선천성 양성 종양이다. == 분류 == 위치에 따라 분류한다. * 윤부 유피종 * 유피 지방종 * 유피 낭종)
  • 2025년 7월 26일 (토) 05:45Myopia Master (역사 | 편집) ‎[48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Myopia Master''' (Oculus, Wetzlar, Germany) 는 안축장, 각막곡률, 구면도수, 난시도수, 난시축 등 다양한 안구 계측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 원리 == 880 nm 파장의 빛을 이용한 부분 결합 간섭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의 원리로 안축장을 측정한다. == 장점 == 협조도가 떨어지고 여러 번의 검사가 어려운 소아 환자에서 비교적 수월하게 검사가 가능하다. {{참...)
  • 2025년 7월 26일 (토) 04:58KR-1 (역사 | 편집) ‎[164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KR-1''' 자동 굴절 검사기 (Topcon corporation, Tokyo, Japan) == 원리 ==)
  • 2025년 7월 26일 (토) 04:44항생제 내성균 (역사 | 편집) ‎[65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항생제 내성균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 종류 == * 메티실린 내성 포도알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MRS) * 다제 내성 녹농균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 2025년 7월 26일 (토) 03:30노카르디아 각막염 (역사 | 편집) ‎[4,13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노카르디아 각막염 (Nocardia keratitis)''' == 위험 인자 == * 눈 외상 (가장 흔함) * 이전의 눈 수술 : 백내장 수술, 레이저 각막 절삭 성형술,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PKP, DSEK, DMEK) * 콘택트렌즈 착용 * 스테로이드 점안제 사용 후 {{참고}})
  • 2025년 7월 26일 (토) 02:39노카르디아 (역사 | 편집) ‎[2,236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노카르디아 (''Nocardia'')''' 는 방선균목 (바퀴살균목, Actinomycetales order) 에 속하는 그람 양성균이다. == 역사 == 나뭇가지 모양으로 분지하는 균사체 (mycelium) 를 보여 최초에는 진균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1888년 이 속에 속하는 균이 소의 화농성 폐질환 및 피부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힌 프랑스 동물학자 Edmond Nocard을 기려 명명되었다<ref>Soleimani M et al....)
  • 2025년 7월 26일 (토) 02:21CCT-HD (역사 | 편집) ‎[615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ColorDx cone contrast test HD® (CCT-HD)''' (Konan Medical, Inc., Irvine, CA, USA) 는 2017년에 출시되었으며 이는 RCCT에서 발전된 장비로 고정밀 디스플레이 및 란돌트 C를 시표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해당 장비는 미공군 지원자의 색각이상 선별 검사로 사용되고 있다<ref>Gaska J et al. Operational based vision assessment cone contrast test : descript...)
  • 2025년 7월 26일 (토) 01:18RCCT (역사 | 편집) ‎[52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Rabin Cone Contrast test (RCCT)''' (Provideo CCT Plus system; Innova Systems Inc., Burr Ridge, IL, USA) 는 단, 중 및 장파장 원뿔세포 각각 기능의 점수를 부여하는 원뿔세포별 대비감도 검사이며 2016년도에 미공군 지원자 중 선천 색각 이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전산화 색각 검사이다<ref>Rabin J et al. Rapid quantification of color vision : the cone contrast test. ''IOVS''. 2011 Feb 9;52(2):816-20. [https://pubmed.ncbi.n...)
  • 2025년 7월 23일 (수) 14:30비중격 만곡 (역사 | 편집) ‎[52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중격 만곡 (nasal septal deviation, NSD)''')
  • 2025년 7월 23일 (수) 08:50비스포스포네이트 (역사 | 편집) ‎[2,580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는 전세계의 골다공증 환자에게 널리 처방되고 있는 약이다. == 기전 ==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서 골흡수를 감소시켜 골절 예방 효과를 보인다<ref>Russell RG et al. Mechanisms of action of bisphosphonates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ir potential influence on clinical efficacy. ''Osteoporos Int''. 2008 Jun;19(6):733-59. [https://pubmed.ncbi.nlm.nih.gov/18214569/ 연...)
  • 2025년 7월 23일 (수) 08:41폐경 (역사 | 편집) ‎[2,362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폐경 (menopause)''' == 관련 질환 == === 대사 증후군 === 낮아진 에스트로겐 수치와 관련이 있다. 에스트로겐은 혈관 긴장도에 영향을 주고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는데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이 낮아지면 고혈압의 위험이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대사 증후군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ref name=r1>Mendelsohn ME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basis of cardiovascular gender diffe...)
  • 2025년 7월 23일 (수) 08:12절반 망막 중심정맥 폐쇄 (역사 | 편집) ‎[1,123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절반 망막 중심정맥 폐쇄 (hemi-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HCRVO)''' == 역학 == 해부학적으로 두 줄기의 중심 정맥이 잔류하게 될 가능성이 인구 1/5 정도이다<ref>Chopdar A. Dual trunk central retinal vein incidence in clinical practice. ''Arch Ophthalmol''. 1984 Jan;102(1):85-7. [https://pubmed.ncbi.nlm.nih.gov/6703973/ 연결]</ref>. == 병인 ==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VO) 와 병인론적으로 유사하다. {{참고}})
  • 2025년 7월 23일 (수) 07:03눈물주머니 게실 (역사 | 편집) ‎[3,812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눈물주머니 게실 (lacrimal sac diverticulum)'''{{성형안과}}은 눈물주머니와 연결된 낭성 구조물을 의미한다. == 역학 == 주로 눈물주머니와 코눈물관의 연결부나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에 가깝게 위치한다.2-5 == 원인 == 외상,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눈물주머니의 외상이나 염증의 과거력이 없다면 선천적 원인을 의심해야 한다.1,7,8 == 임상 소견 == 대부분 증...)
  • 2025년 7월 23일 (수) 06:55IDRA (역사 | 편집) ‎[1,05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IDRA® 안구 표면 분석기'''{{각막}} (SBM SISTEMI, Inc., Torino, Italy) == 비교 == 이 등<ref name=r2>Lee JM et al. Ocular surface analysis : A comparison btw the LipiView® II and IDRA®. ''Eur J Ophthalmol''. 2021 Sep;31(5):2300-2306. [https://pubmed.ncbi.nlm.nih.gov/33267698/ 연결]</ref>의 연구에서 LipiView® II와 IDRA® 기기를 비교하여 눈물 지방층의 차이는 없으나 IDRA 기기가 유의미하게 더 낮은 마이봄샘 소실도와 높...)
  • 2025년 7월 23일 (수) 03:02아멜리부 (역사 | 편집) ‎[814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아멜리부 (Amelibu® (SB11))''' (삼성 bioepis, 인천, 대한민국) 는 2021년 미국 FDA의 허가를 획득한 라니비주맙 복제약이다. {{참고}})
  • 2025년 7월 22일 (화) 17:19NR2F1 (역사 | 편집) ‎[3,328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NR2F1''' 은 보존된 고아 핵 수용체 (orphan nuclear receptor) 로, 강력한 전사 조절자 (transcriptional regulator) 로 작용하며, 주로 시신경, 시상, 창백핵 (pallidum) 에서 발현된다<ref name=r1>Yamaguchi H et al. The nuclear orphan receptor COUP-TFI is important for differentiation of oligodendrocytes. ''Dev Biol''. 2004 Feb 15;266(2):238-51. [https://pubmed.ncbi.nlm.nih.gov/14738874/ 연결]</ref>. == 구조 == 2개의 아연 집게 (zinc-fin...)
  • 2025년 7월 22일 (화) 17:08보쉬-분스트라-샤프 시신경 위축 증후군 (역사 | 편집) ‎[2,691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보쉬-분스트라-샤프 시신경 위축 증후군 (Bosch–Boonstra–Schaaf optic atrophy syndrome, BBSOAS)'''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 == 역학 == 유병률은 1:100,000 ~ 1:250,000 정도로 알려져 있다. == 병인 == 명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5번 염색체 장완 (5q15) 에 위치하여 시신경을 비롯한 중추신경 발생 과정에 관여하는 ''NR2F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병 원인으로 보...)
  • 2025년 7월 22일 (화) 16:54복제약 (역사 | 편집) ‎[1,649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복제약 (biosmililar)''' 은 원 (original) 약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와 안전성에서 동등성을 보이는 의약품이다. == 장점 == 일반적으로 원 약제 (innovator) 에 비해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므로 치료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부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여주어 효율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f>Sharma A et al. Biosimilars in ophthalmology : 'Is there a big change on the horizon?'. ''Cli...)
  • 2025년 7월 22일 (화) 16:40알츠하이머병 (역사 | 편집) ‎[1,035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은 인지 기능 저하, 기억력 상실, 행동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뇌의 진행성 신경 퇴행 질환이다<ref>Hardy JA et al. AD : the amyloid cascade hypothesis. ''Science''. 1992 Apr 10;256(5054):184-5. [https://pubmed.ncbi.nlm.nih.gov/1566067/ 연결]</ref>.)
  • 2025년 7월 22일 (화) 15:44원발 후천 코눈물관 폐쇄 (역사 | 편집) ‎[2,387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원발 후천 코눈물관 폐쇄 (primary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NDO)'''{{성형안과}} == 역학 == 폐경 전후의 여성에서 잘 발생한다<ref>Ali MJ et al. Etiopathogenesis of PANDO :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9 Sep/Oct;35(5):426-433. [https://pubmed.ncbi.nlm.nih.gov/30730434/ 연결]</ref>. 이는 나이에 따른 자가면역 질환의 증가, 여성호르몬 변화에 따른 염증 증가...)
  • 2025년 7월 22일 (화) 08:00가성 샘종성 증식 (결막) (역사 | 편집) ‎[848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결막의 가성 샘종성 증식 (pseudoglandular hyperplasia of the conjunctiva, PHC)'''{{각막}} == 원인 == 대부분 원인을 찾기 어렵지만, 과립세포 종양, 분아균증 (blastomycosis), 화상, 상피 윤부세포 이식, 콘텍트렌즈 사용, 화학 물질에 노출, 이전 수술력 등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조직학 == 림프구 응집체와 같은 만성염증을 시사하는 세포 변화들이 동반되어 관찰된다. == 예후...)
  • 2025년 7월 22일 (화) 07:52가성 샘종성 증식 (역사 | 편집) ‎[806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가성 샘종성 증식증 (pseudoglandular hyperplasia)'''은 인체 어느 부위에서든 발견될 수 있는 정상 세포의 양성 증식증을 뜻한다<ref>Grunwald MH et al. Pseudocarcinomatous hyperplasia. ''Am J Dermatopathol''. 1988 Apr;10(2):95-103. [https://pubmed.ncbi.nlm.nih.gov/3239723/ 연결]</ref>. == 감별 진단 == 침윤성 암종과 유사하여 오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f>Freeman RG. On the pathogenesis of pseudoepitheliomatous hyper...) 처음에 "가성 샘종성 증식증"라는 제목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2025년 7월 19일 (토) 00:29결절 안염 (역사 | 편집) ‎[806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결절 안염 (ophthalmia nodosa)''' 은 머리카락, 애벌레 가시, 다른 이물에 대한 결막 또는 각막의 염증성 반응이다. == 역사 == Pagenstecher는 1883년 결절 안염의 첫 증례를 설명하며 이 질환을 '애벌레 털 안염' 이라고 불렀다. Wagenmann은 1890년에 증례를 보고하며 이를 가성 결핵 (pseudotuberculosis) 라고 잘못 불렀고, 1904년 Saemisch가 이 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름을 붙였다. 20세기...)
  • 2025년 6월 4일 (수) 06:13섬유 이형성증 (역사 | 편집) ‎[4,708 바이트]Smile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유 이형성증 (fibrous dysplasia)''' 은 정상적인 뼈가 미성숙 뼈와 유골 (osteoid) 로 대치되는 양성 질환이다. == 원인 == 밝혀진 것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