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5년 3월 21일 (금) 0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소판 풍부 혈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소판 풍부 혈장 (platelet-rich plasma, PRP)'''{{각막}} 은 각결막 상피의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다양한 성장인자들을 포함하기 때분에 효과적으로 상처 치유를 유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무작위 비교 연구에서 PRP가 자가 혈청에 비해 섬유결합소 등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건성안의 증상 및 소견 개선에 있 서 비열등하다는 보고도 있었다<ref>Meth...)
- 2025년 1월 23일 (목) 03:2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균 각막염의 치료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세균 각막염/치료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1월 6일 (월)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헤르페스 상피 각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감염 상피 각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1월 4일 (토) 00: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시아-태평양 녹내장 학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시아-태평양 녹내장 학회 (asia-pacific glaucoma society, APGS)'''{{녹내장}})
- 2025년 1월 3일 (금) 08: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도포비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도포비르 (cidofovir)'''{{망막}} 는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의 치료제로 유리 체강내 주사나 정맥 주입으로 사용된다. == 부작용 == 앞포도막염이나 저안압, 전방 축농, 시력 감소와 관련이 있다<ref>Davis JL et al. Iritis and hypotony after treatment w intravenous cidofovir for CMVR. ''Arch Ophthalmol''. 1997 Jun;115(6):733-7. [https://pubmed.ncbi.nlm.nih.gov/9194724/ 연결]</ref>. 이러한 포도...)
- 2025년 1월 3일 (금) 08: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톡시플루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톡시플루란 (methoxyflurane)'''{{망막}} 은 널리 사용되는 흡입 마취제이다. == 부작용 == 장시간 사용하면 신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한 경우 요독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메톡시플루란은 간에서 변성 과정을 거쳐 옥살산 (oxalic acid) 과 불소 이온으로 되고 옥살산은 칼슘 이온과 반응하여 침전되어 칼슘 옥살산 (calcium oxalate) 을 형성하며, 이 결정체가 전신에 침착...)
- 2025년 1월 2일 (목) 12: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칸타잔틴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칸타잔틴 망막병증 (canthaxantine retinopathy)'''{{망막}} ==)
- 2025년 1월 2일 (목) 12: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칸타잔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칸타잔틴 (canthaxantine)'''{{망막}} 은 광과민성 질환의 치료로 경구용 제제로 사용되는 카로티노이드이다. == 부작용 == * 칸타잔틴 망막병증 {{참고}})
- 2025년 1월 2일 (목) 1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목시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목시펜 (tamoxifen)'''{{망막}} 은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에스트로겐 약제이다. == 부작용 == * 타목시펜 망막병증 {{참고}})
- 2024년 12월 16일 (월)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중심정맥 폐쇄/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RVO에 대한 치료'''{{망막}}는 황반 부종이나 신생혈관 증식과 같은 합병증에 대한 것으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는 아직 없다. CVOS에서는 NVI나 NVA가 보일 경우 지체 없이 PRP를 시행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나 동반된 황반 부종에 있어서는 격자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최...)
- 2024년 12월 16일 (월)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중심정맥 폐쇄/치료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비우기 전의 내용: "== 전신 질환 치료 ==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전신혈관 위험인자의 확인 및 치료가 CRVO 환자에서 중요하다.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등 전신 항응고제의 사용은 자연 경과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입증한 바가 없다.48 치료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와파린 복용 환자에서 CRVO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항응고제의 사용은 전신혈관질환이 있는...")
- 2024년 12월 15일 (일)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대 구심 동공 운동 장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상대 구심 동공운동 장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14일 (토)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맥락막 혈관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14일 (토)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12일 (목) 08: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 조영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인도시아닌 그린 혈관조영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12일 (목)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특발성 포도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12일 (목) 00: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막염 (uveitis)''' == 분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해부학적 위치||앞||중간||뒤||전체 |- |발병||서서히||중등도||심함|| |})
- 2024년 12월 11일 (수) 01: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 소아 관절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소아 특발 관절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2월 5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퓨라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퓨라이트 (Purite®)''' (Abbvie) 는 99.5% 의 아염소산 (chlorite) 과 0.5% 의 염소산염 (chlorate), 미량의 이산화염소를 포함한 안정화된 옥시클로로 복합체이다. 눈물막과 접촉하면 나트륨, 염화 이온, 산소, 물로 전환된다. == 기전 == 용액에 이산화염소 자유 라디칼이 있기 때문에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다. {{참고}})
- 2024년 12월 5일 (목) 06: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폴리쿼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폴리쿼드 (Polyquad)''' 는 Polyquaternium-1 성분의 방부제로 BAK의 친수성, 양이온성 4급 암모늄 중합체 유도체 이며, BAK보다 27배 크다. == 효과 == 크기가 크고 소수성 영역이 없어 포유류 세포에 들어가지는 못하지만, 세균의 세포막을 손상시키고 용해를 유도할 수 있다. {{참고}})
- 2024년 12월 5일 (목) 01: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부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부제 (preservatives)''' 화합물은 항균 작용을 하여 무균 상태를 유지하고 유통 기한을 연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종류 == * 염화 벤잘코늄 * 퓨라이트 (Purite®) * 소프지아 (SofZia®) * 폴리쿼드 * 솔베이트 {{참고}})
- 2024년 11월 20일 (수) 00:56 Smile 토론 기여님이 ABA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BAK®''' 장치는 세균 여과 효과를 위한 0.2㎛의 세공을 지닌 여과막과, 보존제 등을 흡수하기 위한 나일론 섬유 카트리지가 함께 장착된 구조로 되어있다. {{외부사진 |1=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0212662/figure/fig1/AS:643904189767705@1530530130357/The-ABAK-system-A-The-filtering-membrane-02-m-micropore-filter-bacteria-B-The.png |2= |3=A. 0.2㎛ 세공막, B. 나일론 섬유 카트리지 }})
- 2024년 10월 25일 (금) 1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치료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치료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25일 (금)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25일 (금)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24일 (목)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체 H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체 H인자 (Complement factor H, CFH)'''{{망막}} == 기능 == 보체의 활성 경로에서 대체 경로와 다른 경로들을 통하여 보체계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C3가 활성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런 작용을 통하여 과도하게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염색체 위치 == 이 CFH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
- 2024년 10월 23일 (수)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2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2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23일 (수)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1형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1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14일 (월) 15: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성 산소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활성 산소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14일 (월)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고정 인공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홍채 고정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14일 (월) 01:33 Smile 토론 기여님이 IC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ICL (implantable collamer lens) #REDIRECT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 2024년 10월 14일 (월) 01: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방 인공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10월 14일 (월) 01: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굴절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굴절 수술 (bioptics)'''{{각막}} 굴절교정수숨과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결합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유수정체 인공수정체를 삽입하고 PRK나 라식을 고려해볼 수 있고, 이 경우 내피세포 손상이나 인공수정체 탈구가 더 증가하지 않는다<ref>Meltendorf C et al. LASIK following the implantation of iris-fixated pIOL. ''Ophthalmologica''. 2008;2...)
- 2024년 8월 22일 (목)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히알루론산 (인공눈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HA)''' 점안제는 안구 윤활제의 최적 표준으로 받아들여지며, 건성안의 중증도와 관계 없이 일차 약제로 권고된다<ref>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ent and Therapy Report. ''Ocul Surf''. 2017 Jul;15(3):575-628. [https://pubmed.ncbi.nlm.nih.gov/28736343/ 연결]</ref><ref>김진우 등, 히알루론산의 특성 및 건성안을 포함한 안구 표면 질환에서의 사용, ''한안지'' 2023;64(2):17...)
- 2024년 8월 20일 (화) 1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두 (varicella, chickenpox)''' 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원발 감염을 말한다. == 임상 소견 == 수두 발진은 작고 부푼 구진 (papule) 무리에서 시작해 홍반성 기저 위의 투명한 수포로 진행한다. 이 수포는 터지면서 딱지를 형성한다. 수포 무리는 3~4일 정도 지속되며 주로 몸통, 얼굴, 두피, 사지의 근위부를 침범한다. === 안과 소견 === 수두는 일반적으로 경미...)
- 2024년 8월 20일 (화) 12: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합 효소 반응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중합효소 사슬 반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8월 15일 (목) 09: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보그래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이보그래피 (meibography)'''{{각막}} 는 뒤집은 눈꺼풀을 투과하는 적외선 사진79 이나 비디오 촬영80 을 통해 마이봄샘을 관찰하는 기술이다. 정상 마이봄샘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봄샘 기능 장애 (MGD) 환자에서 마이봄샘 (MG) 구멍의 좁아짐이나 막힘, MG의 뒤틀림이나 확장을 확인할 수 있다. 생체 공초점 현미경으로도 MG를 관찰할 수 있다81. 마이보...)
- 2024년 7월 24일 (수) 1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건성안/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건성안 : 치료'''{{각막}} == 4단계 == === 영구적 눈물점 폐쇄 === 영구적 눈물점 폐쇄는 눈물점 마개를 유지할 수 없거나 순응도가 좋지 못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열 소작 (thermal cauterization), 눈물점 마개 봉합, 눈물소관의 완전 파괴, 눈물소관 결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열 소작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ref name=>Jones L et al. TFOS DEWS II Managem...)
- 2024년 7월 23일 (화) 14: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 (tear)''' 눈물막 참고)
- 2024년 7월 22일 (월) 08: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슈마니아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리슈만 편모충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7월 22일 (월) 08: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깥 눈구더기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바깥 눈구더기증 (ophthalmomyiasis externa)'''{{각막}} == 원인 == 가장 흔한 종은 미국에서는 양코 파리 (''Oestrus ovis'') 이며 중남미에서는 남미종말 파리 (''Dermatobia hominis'') 이다. 양코 파리의 암컷이 모기 등 곤충에 알을 부착하면 곤충이 사람 피부에 알을 옮기게 되고,피부의 온기가 알을 부화시켜 유충이 모기 물린 자리나 모낭 등을 통해 피부로 침투한다. 피부 내 유...)
- 2024년 7월 22일 (월) 08:1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구더기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더기증 (myiasis)'''{{각막}} 은 시류 파리 유충에 의한 감염증으로, 몸의 여러 부분에 감염될 수 있으나 특히 피부 조직을 흔히 침범한다. == 눈 침범 == * 바깥 눈구더기증 (ophthalmomyiasis externa) : 유충이 눈의 외부에 존재 * 속 눈구더기증 (ophthalmomyiasis interna) : 유충이 눈 안으로 침투. 이 경우 실명에까지 이를 수 있는 심한 감염증이 된다. {{참고}})
- 2024년 7월 20일 (토) 0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 홍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 홍채'''{{각막}} == 급여 인정 기준 == * 적응증 : 무홍채증, 홍채 결손 * 인정 횟수 ** 최초 시행하는 경우 1회만 인정함 ** 위치 이탈 등 이상 소견으로 인공 홍채 제거 후 재삽입 시 추가 1회에 한하여 인정함 * 삽입된 인공 홍채를 제거만 하는 경우 자503-2 인공 홍채 삽입술의 소정 점수를 산정함. * 인공 홍채를 수정체낭에 삽입할 경우 수정체낭의 염색을 위해 사...)
- 2024년 7월 12일 (금) 0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약시/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약시 : 치료''' == 목적 == 주목적은 약시안의 시력 회복 또는 개선에 있으며,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사시 약시의 경우 사시가 사위 혹은 간헐 사시로 바뀌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ref>Campos E. Amblyopia. ''Surv Ophthalmol''. 1995 Jul-Aug;40(1):23-39. [https://pubmed.ncbi.nlm.nih.gov/8545799/ 연결]</ref>. 또 정상안이 불의의 사고로 장애가 생길 경우에 대비하여 예비안 보존이란 이유...)
- 2024년 7월 11일 (목) 08: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닥세포암 (눈꺼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바닥세포암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4년 7월 10일 (수) 08: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탐부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탐부톨 (ethambutol)'''{{신경안과}} 경구용 항결핵 화학요법 제제로써 아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와 함께 결핵의 1차 치료 약제로 1960년대부터 이용되었다. == 기전 == 마이코박테리움의 세포벽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으로 결핵균의 사멸을 유도한다. == 장점 == 기존의 항결핵제의 내성균의 치료에 있어서도 효과가 있어서 결핵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 2024년 7월 10일 (수)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Orbsc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Orbscan''' (Technolas, Bausch & Lomb) == 원리 == === Orbscan === 기본적인 원리는 각막에 연속적으로 비춘 좌우 20개의 slit 빔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를 토대로 삼각 측정법을 이용하여 각막 전면, 후면의 3차원적인 형상을 얻는 것이다. 측정원리를 보면 양쪽 45˚ 각도로 비춰진 slit 빔은 각막에서 확산 반사광 (refracted slit beam) 이 생기는데 이 확산 반사광을 CCD 카메라로 촬영한...)
- 2024년 7월 10일 (수) 01: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Top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Corneal Topography w Wavefront & AS-OCT, 2024 (이도형, 정인권 등, 군자 출판사)</ref>)
- 2024년 7월 6일 (토)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상포진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상포진 결막염 (varicella-zoster virus conjunctivitis, VZV conjunctivitis))'''{{각막}} == 임상 소견 ==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결막에 잘 이환되지 않으며, 작고 궤양이 있는 플릭텐 병변이 윤부에 나타난다. == 치료 == 각막 병변이 없는 경우 특별히 치료하지 않거나, 단순포진 결막염에 준해 항바이러스제를 점안한다. 바이러스가 감각 신경절에 침투하고 잠복기에 들어간...)
- 2024년 7월 6일 (토)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포진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단순포진 결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