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2일 (목) 0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골드만 압평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골드만 압평 안압계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 안압계의 구조 == 이 안압계는 세극등에 부착하여 각막에 접촉시키는 이중 프리즘(bipris...)
- 2020년 3월 12일 (목) 0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steroid-induced glaucoma; SIG)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과 임상 증상이 비슷한 안압의 상승을...)
- 2020년 3월 12일 (목) 0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비늘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비늘 녹내장 (pseudoexfoliation glaucoma; PXG) == 역학 == 거짓 비늘 증후군을 가진 사람에게서 모두 녹내장이 유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발생...)
- 2020년 3월 12일 (목) 0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성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만성 폐쇄각 녹내장 (chronic angle-closure glaucoma; CACG) == 병태 생리 == 처음에 전방각의 접촉성 폐쇄 상태가 차차 기질적 유착 상태로 되면서 안...)
- 2020년 3월 12일 (목) 0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폐쇄각 녹내장 (acute angle-closure glaucoma; AACG) == 증상 == 급성 발작시 눈이 빨갛게 충혈되며, 침침하고, 심한 안통을 호소하면서 불을 볼...)
- 2020년 3월 12일 (목)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광응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광응고 (goniophotocoagulation; GPC) 은 Simmons 등이 신생혈관 녹내장 환자에서 전방각이 비교적 넓은 초기에 시도하였다. 이 시술의 목...)
- 2020년 3월 12일 (목) 0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개방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발 개방각 녹내장 (primary open-angle glaucoma; POAG) 은 특징적인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과 시야 결손이 있으며, 전방각은 개방되어 있고 안압...)
- 2020년 3월 12일 (목) 0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폐쇄각 녹내장 (angle-closure glaucoma; ACG) == 역학 == 폐쇄각 녹내장은 눈의 안조직 치수와 관계가 있으며, 좁은 전방각이 첫째 원인으로 확립되...)
- 2020년 3월 12일 (목) 0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개방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방각 녹내장 (open-angle glaucoma; OAG) == 역학 == 녹내장의 역학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녹내장에 대한 보편적으로 일치된 정...)
- 2020년 3월 12일 (목) 0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유두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 유두 결막염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 "위눈꺼풀판 결막을 침범하는 비감염성 염증 질환으로, 거대 유두(직경 *0mm 이상)가 위눈꺼...)
- 2020년 3월 12일 (목)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야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야 결손 (visual field defect; VFD) == 분류 == * 중심 시야 결손 (central visual field defect) * 주변 시야 결손)
- 2020년 3월 12일 (목)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야 (visual field; VF) Traquair는 정상 시야를 어둠의 바다에 떠 있는 '시력의 섬'으로 정의하였다. 황반이 이 섬의 정상에 해당하고, 사방이...)
- 2020년 3월 12일 (목) 0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성 삼출 유리체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족성 삼출 유리체망막병증 (familial exudative vitreoretinopathy; FEVR) 은 1969년 Criswick과 Schepens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주변 망막의 혈관...)
- 2020년 3월 12일 (목)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 (fluorescein angiography; FA) == 과정 또는 용법 == # 먼저 피검자의 동공을 충분히 산동시킨 후 암실에 앉힌다. # 칼라와...)
- 2020년 3월 12일 (목)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랫눈꺼풀 (하안검) (lower eyelid; LL))
- 2020년 3월 12일 (목)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윗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윗눈꺼풀 (상안검) (upper eyelid; UL))
- 2020년 3월 12일 (목)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사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사위 (exophoria; X))
- 2020년 3월 12일 (목)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사시 (exotropia; XT))
- 2020년 3월 12일 (목)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사시 (esotropia; ET))
- 2020년 3월 12일 (목)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전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전위도 (electroretinography; ERG) == 분류 == - 전체 시야 망막 전위도 (full-field ERG) * 국소 망막 전위도 (focal ERG) * 문양 망막 전위도...)
- 2020년 3월 12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전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전막 (망막앞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은 망막 표면에 혈관이 없는 반투명의 막조직이 형성되어 다양한 정도의 황반 기능 이상을 일으...)
- 2020년 3월 12일 (목) 00: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안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안근 (extraocular muscle; EOM) 은 눈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으로 4개의 직근과 2개의 사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6개의 근육은 공동 작용을...)
- 2020년 3월 12일 (목) 00: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전위도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전위도 검사 (electrooculogram; EOG) "눈은 일종의 배터리처럼 늘 존재하는 전위, 즉 상존 전위를 띠고 있는데, 눈의 앞쪽은 양의 전위 상태,...)
- 2020년 3월 12일 (목)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기 눈떨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기 눈떨림 검사 (electronystagmography; ENG) 의 주된 목적은 눈떨림이 있을 때 눈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눈운동을 시간대별로 도식화...)
- 2020년 3월 12일 (목)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 수정체 (intraocular lens; IOL))
- 2020년 3월 12일 (목)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유화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유화술 (phacoemulsification; PE))
- 2020년 3월 12일 (목) 00: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스만 각막 상피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스만 각막 상피 이상증 (Meesmann's epithelial corneal dystrophy; MECD) 은 증상은 경미하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 == 역학 == 드문 질환으로, 양안에...)
- 2020년 3월 11일 (수) 2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 바닥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 바닥막 이상증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dystrophy ; EBMD) 은 지도-점-지문 모양 각막 이상증(map-dot-fingerprint dystrophy), 코간 미세낭포 이상증(...)
- 2020년 3월 11일 (수) 23: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해리 수직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해리 수직 편위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 는 비주시안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눈의 상전, 외회선, 외편위 등으로 구성된 눈운동 이상...)
- 2020년 3월 11일 (수) 2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해리 수평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해리 수평 편위 (dissociated horizontal deviation; DHD) 최근에 해리 수직 편위가 수평 방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1970년 이...)
- 2020년 3월 11일 (수) 1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ogt-Koyanagi-Harada disease; Harada disease; VKH) 은 눈 뿐 아니라 귀, 피부 및 뇌막을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 2020년 3월 11일 (수) 16: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폰 힙펠-린도우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폰 힙펠-린도우 병 (von Hippel-Lindau disease; VHL) 은 망막, 중추신경계 및 췌장, 간, 부신 등의 내장 기관을 침범한다. == 역학 == 36,000명 당 1명의...)
- 2020년 3월 11일 (수) 16: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혈관 신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 혈관 신생 (new vessel elsewhere; NVE))
- 2020년 3월 11일 (수) 16: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신생 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신생 혈관 (new vessel at disc; disc neovascularization; NVD))
- 2020년 3월 11일 (수)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 목적 == 새롭게 진단된 2형 환자 5,102명을 대상으로 엄격한 혈당관리 및 혈압 관리가 당뇨 합병증...)
- 2020년 3월 11일 (수) 16: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유리체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유리체 박리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PVD))
- 2020년 3월 11일 (수) 1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견인 망막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견인 망막 박리 (tractional retinal detachment; TRD))
- 2020년 3월 11일 (수) 1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장액 망막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장액 망막 박리 (serous retinal detachment; SRD))
- 2020년 3월 11일 (수) 1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열공 망막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열공 망막 박리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 는 망막 전층의 열공으로 생기는 망막박리이다. 열공 망막 박리에서는 유리체-망막 견인(vit...)
- 2020년 3월 11일 (수) 1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길 신티그라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길 신티그라피 (dacryoscintigraphy; DSG))
- 2020년 3월 11일 (수) 16: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주머니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 주머니 조영술 (dacryocystography; DCG))
- 2020년 3월 11일 (수) 1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과립 각막 이상증 (granular corneal dystrophy; GCD) == 분류 == * 1형 * 2형 (Avellino 각막 이상증) * 3형 (Reis-Buckler 각막 이상증))
- 2020년 3월 11일 (수) 1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비 감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간에 있는 물체는 어디서나 같은 밝기를 가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밝기의 변화를 대비(contrast)로 표현하는데 대비 감도 (contrast sensitivity;...)
- 2020년 3월 11일 (수) 1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료용 콘택트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치료용 콘택트 렌즈 (therapeutic contact lens; TCL))
- 2020년 3월 11일 (수) 1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성 콘택트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성 (소프트) 콘택트 렌즈 (soft contact lens; SCL))
- 2020년 3월 11일 (수) 16: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 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 RGP lens))
- 2020년 3월 11일 (수) 16: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드 콘택트 렌즈 (hard contact lens; HCL))
- 2020년 3월 11일 (수) 16:06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conjuctivodacryocystorhinostomy; CDCR))
- 2020년 3월 11일 (수) 15: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성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행성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 은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결막염 중 가장 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원인 == <i>아데노...)
- 2020년 3월 11일 (수) 1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세포 바이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세포 바이러스 (cytomegalovirus; CM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