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4일 (토) 1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전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전방 (central anterior chamber; CAC))
- 2020년 3월 14일 (토) 1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맥 정맥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상공맥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EV...)
- 2020년 3월 14일 (토)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 (trabecular meshwork; TM) 유출되는 방수의 70~95%는 섬유주를 거쳐서 쉴렘관과 집결로를 지나 공막내 정막총으로 들어가서 상공막 정맥...)
- 2020년 3월 14일 (토) 1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ciliary body) 는 포도막의 일부분으로서 홍채와 맥락막 사이에 위치한다. 섬모체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태를 보인다. 섬모체는...)
- 2020년 3월 14일 (토) 1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transpupillary cyclophotocoagulation; TPCPC) == 역사 == 1971년 Lee와 Pomerantzeff가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하여 처음 시도하였...)
- 2020년 3월 14일 (토) 1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 부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부전 (superior segment optic hypoplasia; SSOH) 은 "선천 시신경 이상으로 1989년 Kim et al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이후 Landau e...)
- 2020년 3월 14일 (토) 1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물 (foreign body; FB))
- 2020년 3월 14일 (토) 15: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모양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모양 각막 (keratoglobus) 은 양측으로 발생하는 각막확장질환으로, 대개 비진행성이거나 매우 천천히 진행한다. == 유전 == 보통 유전되지...)
- 2020년 3월 14일 (토) 15: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심장 침출 배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뇌심장 침출 배지 (brain-heart infusion broth; BHI) 는 사상 진균(filamentous fungi)과 효모(yeast)의 검출을 증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 2020년 3월 14일 (토) 1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보로드 한천 배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보로드 한천 배지 (sabouraud agar plate) 는 실온에서 배양하며, 진균이나 노카르디아를 동정하는 데 이용된다.)
- 2020년 3월 14일 (토) 1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티오글리콜산 배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티오글리콜산 배지 (thioglycolate broth) 는 액체 배지이며, 산소성 및 무산소성 세균을 동정하기 위해 35℃에서 배양한다.)
- 2020년 3월 14일 (토) 1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초콜릿 한천 배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초콜릿 한천 배지 (chocolate agar) 는 "조건(facultative) 세균을 동정하기 위하여 35℃에서 10% 이산화탄소와 함께 배양한다. 이 배지는 혈액을 열...)
- 2020년 3월 14일 (토) 1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액 한천 배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액 한천 배지 (blood agar plate) 는 산소성 세균(aerobe)을 35℃에서 배양할 때 사용하는 표준 배지이며, 부생(saprophytic) 진균과 노르카디아를...)
- 2020년 3월 14일 (토) 1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쪽 얼굴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쪽 얼굴 연축 (hemifacial spasm; HFS) 은 얼굴 신경의 지배를 한 쪽의 모든 안면 근육이 동시에 빠르고 확연하게 실룩거리거나 지속적인 연축...)
- 2020년 3월 14일 (토) 15: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본태 눈꺼풀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본태 눈꺼풀 연축 (essential blepharospasm; EBS) 은 눈꺼풀 연축(blepharospasm)이 특발성으로 눈 주변에만 국한하여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양안의...)
- 2020년 3월 14일 (토) 1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퇴행 눈꺼풀 속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퇴행 눈꺼풀 속말림 (involutional entropion) == 역학 == 아랫눈꺼풀에서만 발생하며, 나이 든 환자에서 주로 관찰된다. == 원인 == * <span style='color:...)
- 2020년 3월 14일 (토) 1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눈꺼풀 속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눈꺼풀 속말림 (congenital entropion) 은 드문 질환으로 위, 아랫눈꺼풀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다. == 원인 == - 아랫눈꺼풀 : 아래눈꺼풀 당...)
- 2020년 3월 14일 (토) 1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속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속말림 (entropion) 은 <span style='color:blue;'>눈꺼풀테가 눈쪽으로 말려들어간 상태</span>이며, 피부나 속눈썹이 각막과 결막에 닿아 눈...)
- 2020년 3월 14일 (토) 14:07 Smile 토론 기여님이 덧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덧눈꺼풀 (epiblepharon) 은 선천적인 눈꺼풀 이상으로 속눈썹 주위의 과도한 피부주름과 눈둘레근이 눈꺼풀테 위로 겹쳐짐으로써 속눈썹이...)
- 2020년 3월 14일 (토) 14:06 Smile 토론 기여님이 판스워스 패널 D-15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판스워스 패널 D-15 검사 (Farnsworth panel D-15 test) 는 15개의 색패만을 이용하여 빠르게 색각 이상을 알아낼 수 있으나 심한 색각이상이 있어야...)
- 2020년 3월 14일 (토) 1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판스워스-문셀 100 색조 검사 (Farnsworth-Munsel 100 hue test) 는 색각 이상의 초기 발견과 정도 판정에 감수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가...)
- 2020년 3월 14일 (토) 14: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디-랜드-리틀러 색각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디-랜드-리틀러 색각 검사 (Hardy-Rand-Rittler color vision test; HRR) 는 설명용 4장, 검출용 6장, 분류 및 정도 구분용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색...)
- 2020년 3월 14일 (토) 14: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시하라 색각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시하라 색각 검사 (Ishihara color vision test) 는 "전체 25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각 이상 유무만을 검사하며 분류 및 정도의 판정을 해서는...)
- 2020년 3월 14일 (토) 1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관 작용 장 펩티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관 작용 장 펩티드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 2020년 3월 14일 (토) 13: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 2020년 3월 14일 (토) 1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A-MS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lpha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 2020년 3월 14일 (토)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PD-L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rogrammed cell death ligand-1 (PD-L1))
- 2020년 3월 14일 (토) 13: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관련 면역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 관련 면역 편위 (anterior chamber associated immune deviation; ACAID) 는 눈 속에서 항원을 탐식하고 비장 등의 기관으로 이동한 면역 세포들이 일...)
- 2020년 3월 14일 (토) 1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험적 자가 면역 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험적 자가 면역 포도막염 (experimental autoimmune uveitis; EAU))
- 2020년 3월 14일 (토)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이로시나제 결합 단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이로시나제 결합 단백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
- 2020년 3월 14일 (토)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수용체간 레티노이드 결합 단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수용체간 레티노이드 결합 단백 (inter-photoreceptor retinoid binding protein; IRBP) 은 시각 회로에서 레티노이드를 광수용체와 망막 색소 상피...)
- 2020년 3월 14일 (토) 1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면역 조절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가 면역 조절자 (autoimmune regulator; AIRE))
- 2020년 3월 14일 (토) 1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감 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교감 안염 (sympathetic ophthalmia; SO) 은 안구의 천공성 외상이나 안구 수술 후에 양 눈에 생기는 육아종성 전체포도막염을 말한다. 안과 수술...)
- 2020년 3월 14일 (토)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CA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 2020년 3월 14일 (토) 1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HE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ydroxymethyl methacrylate (HEMA))
- 2020년 3월 14일 (토)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대비 검사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대비 검사계 (vision contrast test system; VCTS))
- 2020년 3월 14일 (토)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LogMA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소 시각의 대수 (logarithm of minimal angle resolution; LogMAR))
- 2020년 3월 14일 (토)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구역 잠복 외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구역 잠복 외망막병증 (acute zonal occult outer retinopathy; AZOOR) == 역학 == 젊고 건강한 성인에게 주로 발생하며 남녀의 비는 1:3이다. 보통...)
- 2020년 3월 14일 (토)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발성 소실성 흰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발성 소실성 흰점 증후군 (multiple evanescent white dot syndrome; MEWDS) == 역학 == 주로 <span style='color:blue;'>젊고 건강한 여자에서 단안</span>에 발...)
- 2020년 3월 14일 (토) 13: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상 내측 맥락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상 내측 맥락막병증 (punctate inner choroidopathy; PIC) == 역학 == 근시를 가진 젊고 건강한 여성에서 주로 발병한다. == 증상 == 대부분 검사 상...)
- 2020년 3월 14일 (토) 1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범위 망막하 섬유증 (diffuse subretinal fibrosis; DSF) " == 역학 == <span style='color:blue;'>근시를 가진 젊고 건강한 여자</span>에서 흔히 발생하며 양...)
- 2020년 3월 14일 (토) 1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흰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흰점 증후군 (white dot syndrome; WDS) 은 맥락막, 망막색소상피, 망막에 위치한 여러 개의 황백색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들을 뜻한다. 여러...)
- 2020년 3월 14일 (토)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체 포도막염과 동반된 다초점 맥락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체 포도막염과 동반된 다초점 맥락막염 (multifocal choroiditis with panuveitis; MCP) == 역학 == 30대 중반의 근시인 여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양...)
- 2020년 3월 14일 (토) 13: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간 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간 포도막염 (intermediate uveitis) "일차적으로 유리체를 침범하는 염증을 말한다. 용어는 1987년에 International Uveitis Study Group에서 질환이 위...)
- 2020년 3월 14일 (토) 1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층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층 황반 원공 (full thickness macular hole; FTMH))
- 2020년 3월 14일 (토) 1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황반 원공 (macular hole; MH) 은 황반부 망막 조직의 부분 또는 전층 결손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 2020년 3월 14일 (토) 1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혈광종성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992년 Hartnett 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에 연관된 장액 망막 색소상피 박리에서 망막 혈관 이상이 동반된 경우를 처음으로 관찰하였고,...)
- 2020년 3월 14일 (토) 1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은 과거에는 50~60대 흑인 여자에서, 시신경유두 이측 주변의 맥락막 이상혈관으로부...)
- 2020년 3월 14일 (토) 1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분지 혈관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지 혈관망 (branching vascular network; BVN) 은 방사상 형태로 가지를 치는 선형의 혈관이다.)
- 2020년 3월 14일 (토) 1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모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모세포종 (retinoblastoma; RB) 은 일반적으로 2세 전후의 소아 눈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으로 해외의 보고에 따르면 15,000~20,0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