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7월 20일 (월)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요오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요오드 (iodide)</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디쿠아포솔의 병 제제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
- 2020년 7월 20일 (월)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레녹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피레녹신 (pirenoxine)</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피레녹신의 병 제제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 2020년 7월 17일 (금) 08: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정체 (lens)</b> == 해부학적 구조 == === 낭 (capsule) === === 상피세포 === === 피질 === 수정체의 피질 (cortex) 은 수정체 섬유세포들이 밀집되어...)
- 2020년 7월 17일 (금) 05: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동안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동안신경 마비 (congenital oculomotor nerve palsy)</b> 는 후천 마비보다 드물지만 소아 마비 사시의 거의 절반을 차...)
- 2020년 7월 17일 (금)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안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동안신경 마비 (oculomotor nerve palsy; 3번 뇌신경 마비)</b> 는 체근 (somatic muscles; 상, 하직근, 내직근, 하사근, 눈꺼풀 올림근) 과 자율근 (auton...)
- 2020년 7월 16일 (목) 0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활차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활차 신경 마비 (acquired trochlear nerve palsy)</b> == 회복 == 회복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허혈 또는 탈수초로 인한 경우에는 몇 주 지나...)
- 2020년 7월 16일 (목) 0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후천 활차 신경 마비 (acquired trochlear nerve palsy)</b> == 회복 == 회복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허혈 또는 탈수초로 인한 경우에는 몇 주 지나 개선되며, 흔히 완전히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수술을 포함한 외상에 의한 마비는 많은 경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자연 회복되므로 수술적 교정을 고려하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활차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활차신경 마비 (congenital trochlear nerve palsy)</b> 는 드물지 않다.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활차 신경과 핵의 무형성,...)
- 2020년 7월 16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선천 활차 신경 마비 (congenital trochlear nerve palsy) 는 드물지 않다.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활차 신경과 핵의 무형성, 무발생 또는 형성 부전이 원인이다. == 역학 ==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가끔 보통 염색체 우성 유전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임상 양상 == 환자의 대부분은 신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활차 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IV palsy)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의 부분 또는 완전 마비를 일으키며, 대개 시간이 흐르면서 같은 쪽 하사근 기능 항진이 나타난다. == 분류 == * 선천 활차 신경 마비 * 후천 활차 신경 마비".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6일 (목) 08: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활차 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IV palsy)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
- 2020년 7월 13일 (월) 04:18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활차신경 (trochlear nerve; 4번 뇌신경)</b> == 핵 == == 해부학적 구조 == 동안신경과 마찬가지로 거미막밑 공간으로 들어와 뒤대뇌동맥과...)
- 2020년 7월 13일 (월) 04: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향신경 (abducens nerve; 6번 뇌신경)</b> == 핵 == == 해부학적 구조 == 운동 신경인 외향신경은 거미막밑 공간에 들어온 후 비스듬틀 (clivus)...)
- 2020년 7월 13일 (월) 04: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외향 신경 마비 (abducens nerve palsy; 6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VI palsy) 는 단독 눈운동 신경 마비 중 가장 흔하다. 그 중에서도 허혈이 원인인 단독 마비가 가장 많고, 선천 마비는 대부분 다른 신경 이상을 동반한다. == 후천 외향 신경 마비 == === 핵 병변 === === 다발 병변 === === 거미막밑 공간 병변 === ==...".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13일 (월) 0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외향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외향신경 마비 (acquired abducens nerve palsy)</b> == 어린이에서의 마비 == 외향신경 마비는 후두개와 (post. cranial fossa) 종양의 첫 임상 소견...)
- 2020년 7월 13일 (월)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향 신경 마비 (abducens nerve palsy; 6번 뇌신경 마비)</b> 는 단독 눈운동 신경 마비 중 가장 흔하다. 그 중에서도 허혈이 원인인 단독 마비...)
- 2020년 7월 13일 (월)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외향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외향신경 마비 (congenital abducens nerve palsy)</b> 외향 신경의 핵이 손상되면 같은 쪽의 외전이 약해지는 것이 아니라 두 눈에서 병변...)
- 2020년 7월 11일 (토) 1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허혈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허혈 시신경병증 (ischemic optic neuropathy)</b> == 분류 == 손상 위치나 원인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앞허혈 시신경병증 (AION) : 시신경 허...)
- 2020년 7월 11일 (토) 00: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측 연수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측 연수 증후군 (lateral medullary syndrome; LMS)</b> 은 왈렌버그 증후군 (Wallenberg syndrome) 이라고도 한다. == 병인 == 외측 연수의 경색은 허혈...)
- 2020년 7월 10일 (금) 09:12 Smile 토론 기여님이 ONT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ONTT (Optic Neuritis Treatment Trial)</b> {{참고}} #)
- 2020년 7월 9일 (목)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동안 신경 마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후천 동안 신경 마비 (acquired oculomotor nerve palsy)</b> == 핵 병변 == 양안의 눈꺼풀 처짐과 완전 동안신경 마비, 양안 내직근 마비, 윗눈꺼풀 올림근과 상직근 이외의 단일 외안근 침범 등의 양상이 나타날 때는 핵 병변이라고 할 수 있다. 한쪽의 동안신경 마비를 동반한 반대쪽의 상직근 마비 및 양쪽...".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9일 (목)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동안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동안 신경 마비 (acquired oculomotor nerve palsy)</b> == 핵 병변 == 양안의 눈꺼풀 처짐과 완전 동안신경 마비, 양안 내직근 마비, 윗눈꺼풀...)
- 2020년 7월 9일 (목) 05: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안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3번 뇌신경은 <b>동안신경 (oculomotor nerve)</b> 이라고도 부른다. == 해부학 == 동안신경의 핵 복합체는 중뇌의 상구 높이, 실비우스 수도관의...)
- 2020년 7월 8일 (수) 14: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색각경 (anomaloscope)</b> 은 피검자로 하여금 세 가지의 기본색을 조합하여 특정 색을 만들게 함으로써 색각 이상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색...)
- 2020년 7월 8일 (수)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각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색각 검사 (color vision test)</b> == 거짓 동색표 (pseudoisochromatic color plates) == 거짓 동색표란 동일 색점으로 구성된 글씨나 숫자와 같은 형...)
- 2020년 7월 8일 (수) 14: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색각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색각 이상 (acquired color blindenss)</b> 은 망막, 시신경, 대뇌 피질에 생기는 다양한 질병에 의해 발생한다. 후천적 색각 이상을 일으키...)
- 2020년 7월 6일 (월) 2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눈물 주머니염 (dacryocystitis)</b> == 분류 == * 급성 눈물주머니염 * 만성 눈물 주머니염 : 급성과 달리 통증과 팽대가 없을 수 있으며, 한쪽 눈에 만성적인 결막염이나 눈물 흘림 등의 증상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참고|성형안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6일 (월) 2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주머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주머니염 (dacryocystitis)</b> == 분류 == * 급성 눈물주머니염 * 만성 눈물 주머니염 : 급성과 달리 통증과 팽대가 없을 수 있으며, 한...)
- 2020년 7월 6일 (월) 2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급성 눈물주머니염 (acute dacryocystitis)</b> == 원인 == 눈물 주머니나 코눈물관의 폐쇄로 정상적인 눈물 흘림이 막혀 정체가 생기고 여기에 감염이 되는 것인데, 가장 흔한 원인균은 <i>pneumococci</i> 이며, 이외에 <i>streptococci</i>, <i>diphtheroids</i>, <i>Klepsiella pneumoniae</i>, <i>Haemophilus influenzae</i>, <i>Pseudomonas ae...".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7월 6일 (월) 2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눈물주머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급성 눈물주머니염 (acute dacryocystitis)</b> == 원인 == 눈물 주머니나 코눈물관의 폐쇄로 정상적인 눈물 흘림이 막혀 정체가 생기고 여기에...)
- 2020년 7월 6일 (월) 2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 주머니염 (dacryocystitis)</b> == 분류 == * 급성 눈물 주머니염 * 만성 눈물 주머니염 : 급성과 달리 통증과 팽대가 없을 수 있으며, 한...)
- 2020년 7월 3일 (금) 0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거리 시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근거리 시력 (near visual acuity)</b> 검사 == 대상 == * 노안에 의한 조절 장애 : 근거리 시력 장애의 정도, 환자가 보유한 근거리 안경이 눈에...)
- 2020년 7월 3일 (금)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테로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테로이드 (steroid) == 종류 == === 경구 제제 === === 점안 제제 === * 플루오로메토론 (fluorometholone) * 로테프레드놀 (loteprednol) * 프레드...)
- 2020년 7월 3일 (금)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트로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아트로핀 (atropine)</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아트로핀 약제의 종류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2020년 7월 3일 (금) 00: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근시 (myopia)</b> {{참고|사시|각막}} # Cooper J, Tkatchenko AV. A Review of Current Concepts of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Myopia. Eye Contact Lens. 2018;44(4):231-247.)
- 2020년 7월 2일 (목) 08:5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레드니솔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프레드니솔론 1% (prednisolone acetate 10mg/ml) 약제의 종류 |- !제...)
- 2020년 7월 2일 (목) 08: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로테프레드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로테프레드놀 (loteprednol)</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로테프레드놀 0.5% (5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용량||제...)
- 2020년 7월 1일 (수) 06:12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루오로메토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플루오로메토론 (fluorometholone)</b>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플루오로메토론 0.1% (1mg/ml) 의 병 제제 |- !제품명||용...)
- 2020년 6월 29일 (월) 07: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겉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 겉말림 (eyelid ectropion)</b> 은 눈꺼풀테가 바깥으로 뒤집어진 것을 말한다. == 역학 == 대부분 아랫눈꺼풀에 발생한다. 아래 안와 가...)
- 2020년 6월 29일 (월) 05: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눈물관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코눈물관 폐쇄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b> 는 넓게는 눈물길의 폐쇄를 통칭한다. == 증상 == 눈물 배출 장애 환자들은 눈물 흘림을 주...)
- 2020년 6월 25일 (목)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적인 안구 표면은 <b>눈물막 (tear film)</b> 으로 덮여 있다. 눈물막은 복잡한 합성물로, 구성 요소는 눈물샘, 덧눈물샘, [[마이봄샘]...)
- 2020년 6월 24일 (수) 14: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시 선호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주시 선호 검사 (preferential looking test; PLT)</b> 는 일정 거리에서 다양한 공간 주파수를 가진 줄무늬 격자를 주시하게 하고 검사자가 숨어...)
- 2020년 6월 24일 (수) 1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르크너 검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부르크너 검사 (Bruckner test) 는 "1962년 Bruckner가 발표한 방법으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나 미세 사시에서 일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각막 반사와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 밝기로 사시 유무를 판정한다. == 검사 방법 및 해석 == 반암실 상태에서 직접 검안경으로 두 눈을 동시시에 미출만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24일 (수) 1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루크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브루크너 검사 (Brückner test)</b> 는 희미한 조명 아래 1m 거리에서 직접 검안경으로 빛을 비추어 두 눈의 안저에서 반사되는 빛의 밝기와...)
- 2020년 6월 23일 (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하수체 선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뇌하수체 선종 (pituitary adenoma)</b> == 역학 == 시신경 교차를 압박)
- 2020년 6월 23일 (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두개인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두개인두종 (craniopharyngioma)</b> 은 낭성 종양으로 뇌하수체 주머니 (Rathke's pouch) 에서 기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조직학적으로 양성 종양이...)
- 2020년 6월 22일 (월) 03: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마이봄 (meibum)</b> 은 마이봄샘의 분비물로, 주로 중성 스테롤과 왁스 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극성 지질, diester, triester, 유리 지방...)
- 2020년 6월 22일 (월)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백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백내장 3판, 2014 (카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및 시과학 교실, 일조각))
- 2020년 6월 19일 (금) 0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크롤라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마크롤라이드 (macrolide)</b> == 기전 == 당이 부차가는 macrocyclic lactone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50-S 리보솜 소구조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
- 2020년 6월 19일 (금)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aminoglycoside)</b> 는 세균의 30-S, 50-S 리보솜 소단위 (ribosomal subunit) 에 선택적인 친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