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1월 1일 (월) 16: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설로덱시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설로덱시드 (sulodexide)''' 는 혈관벽의 구성 요소중 하나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glycosaminoglycan, GAG) 으로, 당뇨 망막병증에서 사용되고 있다<ref>Song JH et al; DRESS Research Group. Effect of sulodexide in patients with NPDR : diabetic retinopathy sulodexide study (DRES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5 Jun;253(6):829-37. [https://pubmed.ncbi.nlm.nih.gov/25112845/ 연결]</ref><ref>Gericke A et al. Sulodexide reduces g...)
- 2024년 1월 1일 (월) 1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시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시력 (low vision)''' 은 충분한 치료나 굴절이상을 교정한 이후에도 시력에 장애가 남은 상태를 이른다<ref>WHO. Developing an action plan to prevent blindness at national, provincial and district levels, 2nd ed. Geneva : WHO and International Agency for the prevention of blindness, 2004;43-4.</ref>.)
- 2024년 1월 1일 (월)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명 (blindness)''' {{참고}})
- 2024년 1월 1일 (월)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장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장애 (visual impairment)''' 란 실명과 저시력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참고}})
- 2023년 12월 29일 (금) 1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골막하 혈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골막하 혈종 (orbital subperiosteal hematoma)''' 은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 외상성 (대부분) : 주로 안면부나 두부의 외상 후 바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ref>Pope-Pegram LD et al. Post-traumatic subgaleal hematoma w subperiosteal orbital extension. ''Surv Ophthalmol''. 1986 Jan-Feb;30(4):258-62. [https://pubmed.ncbi.nlm.nih.gov/3952648/ 연결]</ref>. 특히 남성 소아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원인이...)
- 2023년 12월 29일 (금) 14:50 Smile 토론 기여님이 PD-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D-1 (programmed death-1)''' 은 T세포 또는 B세포표면에 붙어 있는 수용체로 암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리간드인 PD-L1과 상호작용을 한다. PD-1과 PD-L1이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인식하지 못하여 공격하지 못하게 된다. {{참고}})
- 2023년 12월 29일 (금) 14: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브롤리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브롤리주맙 (pembrolizumab)'''은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의 한 종류로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 및 흑색종에서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단클론 면역글로불린G (immunoglobulin G, IgG) 항체이다. == 기전 == 단클론 IgG 항체는 T세포를 활성화하고 항종양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세포독성 T세포의 programmed death-1 (PD-1) 수용체를 차단한다<ref>Gangadhar TC et al. Clinical applicat...)
- 2023년 12월 12일 (화) 0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경색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경색 증후군 (orbital infarction syndrome)'''{{성형안과}} 은 안와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들에서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눈속 구조와 안와 구조물에 광범위한 허혈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Borruat 등<ref name=r2>Borruat FX et al. Orbital infarction syndrome. ''Ophthalmology''. 1993 Apr;100(4):562-8. [https://pubmed.ncbi.nlm.nih.gov/8479716/ 연결]</ref>은 세 명의 환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 2023년 12월 12일 (화) 0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구 탐식 림프조직구증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은 조직구 증식 증후군 (histiocytosis syndrome) 에 속하는 질환군이다. == 역학 == 주로 소아에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인의 발생률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과거 고열을 동반한 다발성 장기부전 양상을 보인 원인 불명의 중증 환자들 중 상당수가 HLH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ref>Is...)
- 2023년 12월 12일 (화) 0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덴스트룀 거대글로불린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발덴스트룀 거대글로불린혈증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WM)''' 은 림프구 증식성 B세포 장애로 단클론성항체 면역글로불린 M (IgM) 의 과생성을 보이는 질환이다<ref>Gertz MA.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 a review of therapy. ''Am J Hematol''. 2005 Jun;79(2):147-57. [https://pubmed.ncbi.nlm.nih.gov/15929102/ 연결]</ref>.)
- 2023년 12월 11일 (월) 14: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Mobile.j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기의 자바스크립트는 모바일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로드됩니다: mw.loader.using('mobile.site.styles'))
- 2023년 12월 5일 (화) 07:1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킨슨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은 흔한 진행하는 신경병성 질환이다. == 임상 소견<ref>Jankovic J. Parkinson's disease :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8 Apr;79(4):368-76. [https://pubmed.ncbi.nlm.nih.gov/18344392/ 연결]</ref><ref>Armstrong MJ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rkinson Disease : A Review. ''JAMA''. 2020 Feb 11;323(6):548-560. [https://pubmed.ncbi.nlm.nih.gov/32044947/ 연결]</ref> == 운동성...)
- 2023년 11월 27일 (월) 08:57 Smile 토론 기여님이 SIL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ILK (Smooth Incision Lenticular Keratomileusis))
- 2023년 11월 27일 (월) 03:04 Smile 토론 기여님이 PTA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조직 변형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11월 27일 (월)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PT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TA (percentage tissue altered) PTA = (FT + AD) ÷ CCT ※ FT : 절편 두께 (flap thickness), AD : 절삭량 (ablation depth), CCT : 술 전 중심 각막 두께 40% 이하이...)
- 2023년 11월 13일 (월) 0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퀴놀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퀴놀론 (quinolone)''' == 작용 기전 == 세균의 국소 이성질화 효소 (topoisomerase, DNA gyrase) IV 와 II의 두 가지 효소를 억제하여 광범위한 세균의...)
- 2023년 10월 26일 (목) 08:06 Smile 토론 기여님이 YOSEMITE, RHINE (202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1=Efficacy, durability, and safety of intravitreal faricimab w extended dosing up to every 16w in patients w DME (YOSEMITE and RHINE) : 2 randomised, double-masked, P3, tria...)
- 2023년 10월 26일 (목) 07:36 Smile 토론 기여님이 TENAYA, LUCERNE (202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1=Efficacy, durability, and safety of intravitreal faricimab up to every 16w for nAMD (TENAYA and LUCERNE) : 2 randomised, double-masked, P3, non-inferiority trials<ref>Heie...)
- 2023년 10월 24일 (화) 09: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리시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리시맙 (faricimab)''' (Vabysmo™, Genentech, San Francisco, CA) 은 혈관내피 성장인자 A (VEGF-A) 와 angiopoietin-2 (Ang-2) 에 동시에, 독립적으로 작용하...)
- 2023년 10월 23일 (월) 1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FILL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
- 2023년 10월 23일 (월)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MAHAL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결론 == 이 연구는 지도모양 위축 환자에서 잠재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고, AMD 병인을 치료하기 위한 대체 보체 경로의 치료적 표...)
- 2023년 10월 20일 (금) 02: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독성 각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독성 각막병증 (central toxic keratopathy, CTK)'''{{각막}} == 광범위 절편 사이 각막염 (DLK) 과의 연관성 == 두 질환은 독립적으로 발생하...)
- 2023년 10월 17일 (화) 16:24 Smile 토론 기여님이 LAMP (P2) (202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2y Clinical Trial of Low-Concentration Atropine for Myopia Progression (LAMP) Study : P2 Report<ref>Yam JC et al. 2y Clinical Trial of the LAMP Study : P2 Report. ''Ophthalm...)
- 2023년 10월 17일 (화) 15:53 Smile 토론 기여님이 LAMP (P3) (202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3y Clinical Trial of Low-Concentration Atropine for Myopia Progression (LAMP) Study : Continued vs Washout : P3 Report<ref>Yam JC et al. 3y Clinical Trial of LAMP Study : Co...)
- 2023년 10월 17일 (화) 1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STAM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TAMP (STudy of Atropine therapeutics effect on Myopic Progression)'''{{소아}} == 연구 목적 == 근시 환아에서 저농도 아트로핀 (LPTAT) 의 효과 및 안전성을...)
- 2023년 9월 23일 (토) 0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감신경 억제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교감신경 억제제''' {{녹내장}} == 분류 == * 베타 차단제 * 알파 교감 길항제 {{참고}})
- 2023년 9월 16일 (토)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교감 신경 흥분제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교감신경 흥분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9월 11일 (월) 1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안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안약 (eyedrops)''' == 약리역동학 == 투여된 약의 흡수, 분포 및 배설을 다루는 약리 역동학을 고려해야 한다<ref>Shell JW. Pharmacokinetics of topi...)
- 2023년 8월 21일 (월) 15: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틸페니데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틸페니데이트 염산염 (methylphenidate HCl)'''{{녹내장}} 은 단기 작용 중추신경계 자극제로, 정신과에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
- 2023년 8월 9일 (수) 02: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옵티뉴린 유전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옵티뉴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8월 9일 (수) 0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오실린 유전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마이오실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8월 9일 (수) 02:31 Smile 토론 기여님이 CYP39A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P39A1 유전자'''{{녹내장}} 는 최근에 거짓비늘 증후군 (PXS) 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며<ref>Genetics of Exfoliation Syndrome Partnership; Li Z e...)
- 2023년 8월 9일 (수) 01: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남일 연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남일 연구 (2011-2013)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8월 8일 (화) 09: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8월 8일 (화) 09: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폐쇄각 녹내장 (angle closure glaucoma, ACG)'''{{녹내장}} == 역학 == 유병률은 눈의 안구계측치(ocular biometry)와 관계가 있으며,좁은 전방각을 폐...)
- 2023년 7월 20일 (목) 14: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정중 교뇌 망상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정중옆 교뇌 망상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7월 17일 (월)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 낭포 황반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백내장 수술 후 낭포 황반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7월 11일 (화) 08: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속발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속발 내사시 (consecutive esotropia)''' == 원인 == 거의 모든 경우에 외사시 수술의 과교정으로 발생한다. 드물게 아무런 이유 없이 외사시가...)
- 2023년 7월 11일 (화) 08: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감각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감각 내사시 (sensory esotropia)'''{{사시}})
- 2023년 7월 11일 (화) 08:11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내사시 (pseudoesotropia)''' 는 실제 내사시가 없는데도 외관상 내사시처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 원인 == 동양 어린이는 미간이 넓...)
- 2023년 7월 9일 (일) 1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성 산동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산동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7월 9일 (일) 1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성 축동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축동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7월 9일 (일) 1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막 잔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막 잔존 (persistent pupillary membrane remnants)'''{{신경안과}} 은 배아기 동공막의 흔적으로 동공을 가로지르는 실 같은 구조물이다. 수정체...)
- 2023년 7월 4일 (화) 05: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독성 망막병증 (toxic retinopathy) == 원인 약물 및 임상 양상 == === 망막과 망막 색소상피 손상 === === 혈관 손상 === * quinine sulfate * Cisplatin and BCNU...)
- 2023년 6월 27일 (화) 1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원발 단순포진 바이러스 눈감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6월 27일 (화) 15: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단순포진 바이러스 눈감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6월 27일 (화)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순포진 바이러스 눈감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순포진 바이러스 눈감염 (herpes simple ophthalmicus, HSO)''' == 역학 == HSO에 대한 중요한 초기 역학연구들은 Liesegang ,Wilhelmus 등이 진행했다...)
- 2023년 6월 27일 (화) 04: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상포진 눈감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상포진 눈감염''' 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VZV) 의 3차 신경절을 통한 재활성화를 가리킨다. == 병인 == 5번 뇌신경의...)
- 2023년 6월 26일 (월) 14: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활 추종 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활 추종 운동 (smooth pursuit)'''{{신경안과}} 은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 봄으로써 물체상이 망막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속도를 줄여 망막 중...)
- 2023년 6월 26일 (월) 07: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 부챗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각 부챗살 (optic radiation)''' 은 외슬상체에서 일차 시피질 (Brodmann 영역 17, V1) 로 연결되며 양쪽 대뇌 반구 사이에 교차는 없고, 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