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7일 (화) 14: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타가르트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타가르트병 (Stargardt disease) == 역학 == 호발 연령은 6~20세이다.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 양식을 보이는 스타가르트병에서 1번 염색체...)
- 2020년 3월 17일 (화) 1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뿔 세포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뿔 세포 이상증 (cone dystrophy) 은 진행성 원뿔 세포 이상증과 전반적인 원뿔-막대세포 이상증 사이에 명확한 구분이 힘들다는 것이 밝혀...)
- 2020년 3월 17일 (화) 14: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정맥옆 맥락망막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정맥옆 맥락망막 위축 (pigmented paravenous retinochoroidal atrophy; PPRCA) 은 Brown이 1937년 retinochoroiditis radiata로 보고한 이래 paravenous retinal degene...)
- 2020년 3월 17일 (화) 14: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안압 황반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안압 황반병증 (hypotony maculopathy) 은 1954년 Dellaporta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질환으로 대부분 5mmHg 이하에서 증상이 나타나지만 8~10 mmHg의...)
- 2020년 3월 17일 (화) 14: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 낭포 황반 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수정체 낭포 황반 부종 (pseudophakic cystoid macular edema; pseudophakic CME) == 역학 == 발생 빈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백내장 수술 방법...)
- 2020년 3월 17일 (화) 14: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중심와 견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 중심와 견인 증후군 (vitreofoveal traction syndrome; VFTS) 은 지속적인 유리체의 유착이 중심와에만 있을 때를 말하며 유리체 황반 견인...)
- 2020년 3월 17일 (화) 1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반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황반 주름 (macular pucker) 은 열공 망막 박리의 치료를 위한 망막 재유착술 후에 발생한 막을 말한다. == 역학 == 망막 박리의 수술 후 4~8%에...)
- 2020년 3월 17일 (화) 14: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성 황반 원공 (pseudohole) == 병태 생리 == 중심와를 덮지 않는 주변부 망막앞막의 구심성 수축으로 발생한다. == 검사 및 진단 == * OCT :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14: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석회질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석회질 변성 (calcareous degeneration) 은 칼슘화 변성의 이차적 형태이다. == 위험 인자 == 안구 위축, 괴사성 안내 신생물, 여러 차례의 안구 수...)
- 2020년 3월 17일 (화) 14: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우츠 각막 백색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우츠 각막 백색환 (Coats' white ring) Coats는, 각막 하부에 위치하며 직경 1mm 이하인 불완전하고 흰 타원형 고리를 처음 서술했다. 보우만막...)
- 2020년 3월 17일 (화) 1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윤부띠 (limbal girdle) == 역학 ==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20세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발병률은 40~60세에서 대략 55%, 80세 이상에서 100%이다....)
- 2020년 3월 17일 (화) 14: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잘쯔만 결절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잘쯔만 결절 변성 (Salzmann's nodular degeneration) 은 1925년 이상증으로 처음 기술되었으며, 이후 각막염에서 발생하는 변성 과정으로 정의되었...)
- 2020년 3월 17일 (화) 14: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슈나이더 결정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슈나이더 결정 이상증 (Schnyder's crystalline dystrophy)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1번 염색체(1p36)에 위치하는 UBIAD1 (UbiA prenyltransferas...)
- 2020년 3월 17일 (화) 14: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점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점 각막 이상증 (macular corneal dystrophy; MCD) 은 Groenouw 각막 이상증 2형, Fehr spotted dystrophy로도 불리며, 세 가지의 각막 이상증 중 가장 드물...)
- 2020년 3월 17일 (화) 14: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벨리노 각막 이상증 (Avellino corneal dystrophy; GCD2) 은 제 2형 과립 각막 이상증으로, 이탈리아 Avellino 지역 출신의 환자군에서 처음 발견되어...)
- 2020년 3월 17일 (화) 1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 1형 과립 각막 이상증 (g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GCD1) " == 역학 == 10세 이전에 발생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며, 전환 성...)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전막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앞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앞막 (망막전막) (epiretinal membrane; ERM) 은 망막 표면에 혈관이 없는 반투명의 막조직이 형성되어 다양한 정도의 황반 기능 이상을 일으...)
- 2020년 3월 17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분층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분층 황반 원공 (lamellar macular hole; lamellar MH) == 병태 생리 == Gass는 낭포 황반 부종의 낭포가 파열되면서 생성된다고 하였다. 근래에는...)
- 2020년 3월 17일 (화) 13: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특발성 황반 원공 (idiopathic macular hole; idiopathic MH) == 병태 생리 == * 중심와의 낭포 : Kuhnt는 망막 혈관의 노화에 따라 망막의 수포성 변성이...)
- 2020년 3월 17일 (화)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차성 황반 원공 (secondary macular hole; secondary MH) == 원인 == 외상, 고도 근시, 낭포 황반 부종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외...)
- 2020년 3월 17일 (화)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HORIZ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n Open-Label Extension Trial of Ranibizumab fo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Secondary to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ORIZON) == 연구의 목적 == 장기간 라니비주...)
- 2020년 3월 17일 (화) 13:53 Smile 토론 기여님이 PrONT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rospective OCT Imaging of Patients with Neovascular AMD Treated with intraOcular Ranibizumab (PrONTO) == 연구의 목적 == OCT를 바탕으로 한 재치료 기준을 제시하였...)
- 2020년 3월 17일 (화)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EXC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fficacy and safety of monthly versus quarterly ranibizumab treatment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EXCITE) == 연구의 목적 == ranibizumab...)
- 2020년 3월 17일 (화)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SUSTA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afety and efficacy of a flexible dosing regimen of ranibizumab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SUSTAIN) == 대상 및 방법 == Off-label, 다기관, 비대조군...)
- 2020년 3월 17일 (화)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SECUR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ong-term safety of ranibizumab 0.5 mg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SECURE) == 연구의 목적 == 반복적으로 시행한 ranibizumab 주사...)
- 2020년 3월 17일 (화) 1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니비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니비주맙 (ranibizumab) 은 높은 친화력으로 세포 밖의 VEGF와 결합하는, VEGF에 대한 인간화 단일 클론 항체로 <span style='color:blue;'>항원 결...)
- 2020년 3월 17일 (화) 1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VIEW 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VEGF Trap-Eye : Investigation of Efficacy and Safety in Wet AMD 2 (VIEW 2) == 대상 및 방법 == 52~96주 기간 동안 다음의 재치료 기준에 따라 protocol을 변경하였...)
- 2020년 3월 17일 (화) 13:45 Smile 토론 기여님이 VIEW 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VEGF Trap-Eye : Investigation of Efficacy and Safety in Wet AMD 1 (VIEW 1) == 연구의 목적 ==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ranibizumab과 [...)
- 2020년 3월 17일 (화) 1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애플리버셉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애플리버셉트 (aflibercept) 는 완전인체, 수용성 재조합 decoy VEGF 수용체로 IgG1의 불변 Fc 부위에 융합된 VEGF 수용체-1,2의 주요 세포외 VEGF 결합...)
- 2020년 3월 17일 (화) 13: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anti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는 VEGF<sub>165</sub> 뿐만 아니라 다양하 다른 아형들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 2020년 3월 17일 (화)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페갑타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페갑타닙 (pegaptanib) 은 "2004년 12월에 FDA에 의해서 첫 번째 anti-VEGF 약물로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pegaptanib의 효과는 시력 안정화에 국한되어...)
- 2020년 3월 17일 (화)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드루젠 (drusen) 은 "안저 검사 상 노랗게 보이는 세포외 물질이 침착된 것으로, 전형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의 바닥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아...)
- 2020년 3월 17일 (화)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도 모양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도 모양 위축 (geographic atrophy; GA) 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위축 형태 중 마지막 단계이며, 망막 색소상피의 저색소 침착 또는 탈색소...)
- 2020년 3월 17일 (화) 1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화 (aging) 는 질병 없이도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물학적 현상으로 각각의 세포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유사 분...)
- 2020년 3월 17일 (화)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 관련 황반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나이 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 2020년 3월 17일 (화)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사선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사선 망막병증 (radiation retinopathy) 은 모세혈과 비관류, 혈관 폐색, 망막 혈관 누출, 신생 혈관을 초래하며 서서히 진행하는 폐색성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1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대동맥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A) 는 주로 큰 망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후천성 혈관 확장이며, 많은...)
- 2020년 3월 17일 (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스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일스병 (Eales disease)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역학...)
- 2020년 3월 17일 (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혈압 망막병증 (hypertensive retinopathy) 고혈압은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키고, 망막 동정맥 폐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계가...)
- 2020년 3월 17일 (화) 01:42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맥락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격한 혈압 상승으로 인한 악성 고혈압은 망막 색소상피와 맥락막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고혈압 맥락막병증 (hypertensive choroido...)
- 2020년 3월 17일 (화)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혈압 시신경병증 (hypertensive optic neuropathy) 악성 고혈압에서는 시신경 유두의 부종과 시신경 모세혈관의 확장을 동반하는 유두 부종도...)
- 2020년 3월 17일 (화)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동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 원인 == 경동맥 질환에 의한 색전이나 혈관염에 의하여 발생한다. 안동맥만 선택적으로 폐쇄되는지...)
- 2020년 3월 17일 (화)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망막 동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
- 2020년 3월 17일 (화)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동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동맥 폐쇄 (retinal artery occlusion; RAO) == 원인 == 대부분 그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색전, 혈전 등에 의해 발생한다. == 분류 == * 망...)
- 2020년 3월 17일 (화) 01: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결손 (optic disc coloboma) 은 시신경 유두에 백색의 둥근 사발 모양의 함몰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 역학 == 아주 드물고, 전체...)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망막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망막 결손 (chorioretinal coloboma) == 병태 생리 == 색소 상피와 망막의 각층이 태아 열구에서 서로 유합을 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전구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신생 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신생 혈관 (new vessel at iris; NVI))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맥 고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맥 고리 (venous looping) 은 정맥이 주행 중 고리 모양을 보이는 것을 말하며, 허혈 부위에서 관찰되어 허혈에 대한 내재적 혈관 변화일 가...)
- 2020년 3월 17일 (화) 01: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염주 정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염주 정맥 (venous beading) 은 "정맥의 심한 확장과 함께 마치 강낭콩 같이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이며, '허혈 지표'라고 불릴 만큼 망막의 허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