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작용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안근이 수축을 하면 각각 고유의 눈운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외안근을 <b>작용근 (agonist muscle)</b> 이라 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스팅 법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리스팅 법칙 (Listing's law)</b> 에서 제일 눈 위치에서 눈 운동은 눈의 적도면에 위치하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이...)
- 2020년 3월 19일 (목) 12: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스팅 반각 법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리스팅 반각 법칙 (Listing's half-angle rule)</b> 은 눈 운동이 이루어질 때 눈 회전의 각도는 눈의 처음 위치와 최종 위치가 이루는 각도의 1/2...)
- 2020년 3월 19일 (목) 12: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돈더스 법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돈더스 법칙 (Donders' law) 1848년 Donders는 눈 운동은 수평과 수직 운동에 의해 최종적인 위치가 결정된다고 하였다. 즉 눈의 위치는 눈의 상...)
- 2020년 3월 19일 (목) 12: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계추 시소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계추 시소 눈떨림 (pendular seasaw nystagmus) == 원인 == 시신경 교차와 간뇌 부근에 큰 종양 병변이 있을 때 발생하는데, 종양이 간뇌를 누르거...)
- 2020년 3월 19일 (목) 1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소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소 눈떨림 (seasaw nystagmus) 은 한쪽 눈의 상전과 내회선, 반대쪽 눈의 동기성 하전과 외회선이 일어나고 남은 주기에는 그 반대의 움직임...)
- 2020년 3월 19일 (목) 12: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시소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반시소 눈떨림 (hemiseasaw nystagmus)</b> " == 원인 == 카할 간질핵이나 주위에 병변이 있을 때 발생하는데, 이 때 눈기울임 반응이 나타날 수도...)
- 2020년 3월 19일 (목) 1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기 교대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주기 교대 눈떨림 (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 PAN)</b> 은 "정면을 볼 때 약 1~2분간 한쪽 방향으로 고속기가 있다가 10~20초간 정지기가 있고,...)
- 2020년 3월 19일 (목) 1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룬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룬 눈떨림 (Brun's nystagmus) 은 전정 눈떨림과 주시 유발 눈떨림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 원인 == 소교뇌각 (cerebellopontine...)
- 2020년 3월 19일 (목) 12: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후퇴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모음 후퇴 눈떨림 (convergence retraction nystagmus) == 원인 == <span style='color:blue;'>뒤맞교차를 손상하는 중뇌의 병변</span>, 예를 들면 송과체종...)
- 2020년 3월 19일 (목) 12: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끄덕임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끄덕임 연축 (spasmus nutans) " == 역학 == 대개 <span style='color:blue;'>출생 후 첫 해</span>에 많이 발생하지만, 3~4세에 발견되기도 한다. == 유전 ==...)
- 2020년 3월 19일 (목) 1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찌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구 찌운동 (ocular bobbing)</b> 은 간헐적이고 동향성인 아래쪽으로의 빠른 눈운동 후 서서히 제일 안위로 돌아오며 반사로 유발되는 수평...)
- 2020년 3월 19일 (목) 1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핑퐁 주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핑퐁 주시 (ping-pong gaze)</b> 는 눈의 느린 동향성 수평 편위로 몇 초 간격으로 좌우측이 번갈아가며 일어난다. == 원인 == 양측 대뇌 반구나...)
- 2020년 3월 19일 (목) 12: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기 교대 주시 이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기 교대 주시 이탈 (periodic alternating gaze deviation) 은 동향성 이탈이 대개 2분 간격으로 좌우로 일어나는 것이다. == 원인 == 간성 뇌병증이...)
- 2020년 3월 19일 (목) 1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개 근경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개 근경련 (oculopalatal myoclonus) == 원인 == 뇌간이나 소뇌 경색이 나타난지 몇 개월 후에 발생하며 변성 상황에서도 올 수 있다. == 병태...)
- 2020년 3월 19일 (목) 08: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문양 망막 전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문양 망막 전위도 (pattern electroretinography; pattern ERG) 는 반전되는 바둑판 또는 격자 패턴에 대한 망막의 반응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반응...)
- 2020년 3월 19일 (목) 08:08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망막 전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국소 망막 전위도 (focal electroretinography; focal ERG)</b> 는 망막의 작은 부분을 자극하여 관심 있는 망막 영역(대개는 황반)의 기능을 평가하...)
- 2020년 3월 19일 (목) 08: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풀프리히 현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풀프리히 현상 (Pulfrich phenomenon) 은 단안에 필터를 끼워 눈에 들어가는 빛의 강도를 줄이고 양안을 다 뜨고 어깨와 평행하게 시계추처럼 흔...)
- 2020년 3월 19일 (목) 08:07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부하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광부하 검사 (photostress test)</b> 는 망막 색소의 창백 후 광색소의 재생 정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 적응증 == 황반병증과 시신경병증을 감...)
- 2020년 3월 19일 (목) 08:0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울어진 유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울어진 유두 증후군 (tilted disc syndrome) == 역학 == 대부분 양안에서 발생한다. == 유전 == 유전성이 아니다. == 원인 == 배아 눈고랑의 접합 이...)
- 2020년 3월 19일 (목) 08: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체 시야 망막 전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체 시야 망막 전위도 (full-field electroretinography; ffERG) " == 파형 == * a파 : 주로 <span style='color:blue;'>망막 외층의 시세포의 과분극</span>에 의...)
- 2020년 3월 19일 (목) 08:0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감기근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감기근 절제술 (eyelid protractor myectomy) 은 본태 눈꺼풀 연축을 일으키는 눈감기근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 분류 == 보툴리눔 독소 주사...)
- 2020년 3월 19일 (목) 07: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랫눈꺼풀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랫눈꺼풀 성형술 (lower eyelid blepharoplasty) " == 부작용 및 합병증 == * 안와 출혈 * 아랫눈꺼풀 뒤당김 : 눈꺼풀의 중간층판에 흉터 조직이 생...)
- 2020년 3월 19일 (목) 06: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윗눈꺼풀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윗눈꺼풀 성형술 (upper eyelid blepharoplasty) 은 가장 흔한 미용 성형 수술로 20대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노년층에서는 나이...)
- 2020년 3월 19일 (목) 06: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틈새 축소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 틈새 축소 증후군 (blepharophimosis syndrome)</b> == 유전 == 주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 임상 소견 == *...)
- 2020년 3월 19일 (목) 06: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르쿠스-건 턱-윙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르쿠스-건 턱-윙크 증후군 (Marcus-Gunn jaw-winking syndrome) == 원인 == 눈꺼풀 올림근에 분포하는 3번 뇌신경과 음식물을 씹는데 관여하는 날...)
- 2020년 3월 19일 (목)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널힘줄성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널힘줄성 눈꺼풀 처짐 (aponeurogenic ptosis) 은 눈꺼풀 처짐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눈꺼풀 올림근의 널힘줄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발생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처짐 (안검 하수; ptosis) 는 성형 안과 분야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고 치료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워서 교정하기가 까다로운...)
- 2020년 3월 19일 (목) 0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퀴커트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퀴커트 봉합 (Quickert suture) == 단점 == 퇴행 눈꺼풀 속말림의 교정을 위한 일차 수술 방법으로도 사용되며, 장기간의 교정 효과가 있는 경...)
- 2020년 3월 19일 (목)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축 눈꺼풀 속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연축 눈꺼풀 속말림 (spastic entropion)</b> 은 눈꺼풀의 연축이나 찡그림은 눈꺼풀테를 눈쪽으로 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눈꺼풀 찡그림은 눈...)
- 2020년 3월 19일 (목)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테 속말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테 속말림 (marginal entropion)</b> 은 눈꺼풀판 결막에 미미한 정도의 흉터와 수축이 있으면서 속눈썹의 끝이 눈을 향하고 있는 것을...)
- 2020년 3월 19일 (목) 06:4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쪽 눈꺼풀판띠 고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쪽 눈꺼풀판띠 고정술 (lateral tarsal strip; LTS)</b> 은 가쪽 눈구석에서 아랫눈꺼풀의 수평 길이를 줄여주는 방법이다. == 과정 또는 용법 =...)
- 2020년 3월 19일 (목) 0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속눈썹 회전 봉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속눈썹 회전 봉합법 (ciliary rotating suture)</b> 은 속눈썹 아래의 피부와 근육 절제를 시행하기는 하지만 이것보다는 속눈썹의 방향을 바깥...)
- 2020년 3월 19일 (목) 06: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형 호츠씨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변형 호츠씨 수술 (modified Hotz's operation)</b> 은 속눈썹 아래의 피부와 눈둘레근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 과정 또는 용법 == * 속눈썹 아...)
- 2020년 3월 19일 (목) 06: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안면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특발성 안면 마비 (벨 마비; Bell's palsy)</b> 는 급성 안면 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특발성이므로 다른 모든 원인 질환이 배제된 경우에...)
- 2020년 3월 19일 (목)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면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면 마비 (facial palsy) == 원인 == * 특발성 안면 마비 (Bell's palsy) * 종양 : 얼굴 마비가 서서히 진행하거나, 변동이 있거나, 얼굴의 운동 과...)
- 2020년 3월 19일 (목) 06: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냉동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속눈썹증의 냉동 치료 (cryotherapy) == 장점 == 많은 수의 속눈썹을 한꺼번에 파괴시킬 수 있으면서 술기가 쉽다. == 부작용 및 합병증 == * 재발...)
- 2020년 3월 19일 (목) 06: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두줄 속눈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두줄 속눈썹 (districhiasis)</b> 은 눈꺼풀의 마이봄샘 구멍에서 기시한 비정상적인 속눈썹을 지칭한다. == 분류 == * 선천 두줄 속눈썹 : 마이...)
- 2020년 3월 19일 (목)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속눈썹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속눈썹증 (trichiasis)</b> 은 눈꺼풀테에서 속눈썹이 기시하는 위치는 정상이나 방향 이상으로 속눈썹이 눈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후천 질...)
- 2020년 3월 19일 (목) 06: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후퇴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후퇴 녹내장 (angle recession glaucoma) == 역학 == 비교적 외상 후기에 발생하며, 외상 수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섬유주...)
- 2020년 3월 19일 (목)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택적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b> 1995년 Latina와 Park은 Q-switched, frequency doubled Nd:YAG 레이저가 색소 섬유주 세...)
- 2020년 3월 19일 (목)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아르곤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argon laser trabeculoplasty; ALT)</b> 은 국소 마취제 점안만으로 외래에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후 24시간 내에...)
- 2020년 3월 19일 (목)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optic disc) == 크기 및 면적 == 섬유의 수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과 없다는 주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시신경 유두의 면적이 증가...)
- 2020년 3월 19일 (목)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패스 분류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패스 분류법 (Spaeth classification) 은 섀퍼 분류법 및 샤이에 분류법을 더 확대하여 전방각의 넓이 뿐만 아니라 홍채 부착 부위 및 주...)
- 2020년 3월 19일 (목)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샤이에 분류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샤이에 분류법 (Scheie classification) 은 전방각의 보이는 구조에 따라 구분하는 방법이다. == 분류 == * wide open : 모든 구조가 보이는 경우 * 1˚ :...)
- 2020년 3월 19일 (목) 06: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섀퍼 분류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섀퍼 분류법 (Shaffer classification) 은 전방각 넓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홍채가 섬모체 전면 깊숙히 부착하고 있고...)
- 2020년 3월 19일 (목) 06: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 헤릭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 헤릭 검사 (Van Herick test) 는 주변 전방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span style='color:blue;'>가는 세극등 조명을 귀쪽 윤부 각막에 60˚ 각도로...)
- 2020년 3월 19일 (목) 06: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압박 전방각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압박 전방각경 검사 (compression gonioscopy)</b> 는 함입 전방각경 검사(indentation gonioscopy) 또는 동적 전방각경 검사(dynamic gonioscopy)라고도 하며...)
- 2020년 3월 19일 (목) 06:2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골드만 삼면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골드만 삼면경 (Goldmann 3-mirror lens)</b> 의 세 가지 거울 중에서 반달 모양의 거울이 전방각을 관찰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며 거울은 삼면경...)
- 2020년 3월 19일 (목) 06:2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접 전방각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간접 전방각경 검사 (indirect gonioscopy) 은 골드만 삼면경이나 짜이스 사면경에 들어있는 거울을 통하여 반대편 전방각을 간접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