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5월 30일 (토)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산소 투과 콘택트렌즈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 RGP lens)</b>)
- 2020년 5월 30일 (토)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소 투과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30일 (토) 0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드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드 콘택트렌즈 (hard contact lens; HCL) == 재질 ==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쉽고, 친수성이면서도 표면 전하...)
- 2020년 5월 30일 (토)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드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30일 (토) 0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녹내장 개정 6판, 2017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 2020년 5월 30일 (토)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망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망막 4판, 2015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2020년 5월 30일 (토)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성형안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성형안과학 제 3판, 2015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2020년 5월 30일 (토)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최신 사시학 4판, 2018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2020년 5월 30일 (토) 05: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없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빈 문서를 만듦)
- 2020년 5월 30일 (토) 04: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신 콘택트렌즈 임상학, 2015 (한국 콘택트렌즈 학회, 군자출판사))
- 2020년 5월 29일 (금)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펄스에어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펄스에어 안압계 (Pulsair tonometer)</b> 는 각막에 공기를 분사시켜서 일정한 면적의 각막을 압평시키는데 필요한 공기 압력을 측정해서 안...)
- 2020년 5월 28일 (목) 07: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수 유출율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방수 유출율 검사 (tonography)</b> 는 녹내장의 방수 순환 상태를 알기 위해 시행하며 항녹내장약의 기전을 밝히는 데도 유용한 검사법이다...)
- 2020년 5월 28일 (목) 0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Mainpag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작)
- 2020년 5월 28일 (목)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B-sc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B-scan</b> 은 눈알 단면의 각 지점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반사 정도를 점의 밝기의 강약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이차원적인 검사 방법이다...)
- 2020년 5월 28일 (목) 0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A-sca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scan</b> 은 초음파의 진행 경로에 있는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반사 정도를 파의 높이로 바꾸어 일차원적인 그래프로 나타낸...)
- 2020년 5월 26일 (화) 04: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안과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안과 검사 제 3판, 2013 (엄부섭 외, 도서출판 내외학술))
- 2020년 5월 26일 (화)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브라이드 장애 평가 (McBride disability evaluation) == 중심 시력 == 시력표는 Snellen 원칙에 의한 문자, 숫자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며, 원거리...)
- 2020년 5월 22일 (금) 02: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근 근파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사근 근파동 (superior oblique myokymia)</b> 은 발작적을 회선 및 수직 복시와 한 눈 진동시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 병인 == 한쪽 활차 신경...)
- 2020년 5월 22일 (금) 01: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스텐바움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스텐바움 수술 (Kastenbaum operation)</b> == 역사 == 1953년 Kastenbaum 등은 수평 얼굴 돌림 방향으로 4개의 수평 직근을 각각 후전 및 절제하여 (...)
- 2020년 5월 22일 (금)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성 산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성 산동 (congenital mydriasis)</b> 은 주의 깊게 보아야 무홍채증과 감별할 수 있다. Caccamise 와 Tonwnes 는 73세 여자 환자의 두 눈에 출생...)
- 2020년 5월 22일 (금) 00: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성 축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성 축동 (congenital myosis)</b> 은 대개 양안성이며, 빛에 미약하게 반응하고 교감신경 항진제의 점안에도 잘 사용되지 않는 아주 작은...)
- 2020년 5월 22일 (금)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르니케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교차 부위가 손상되면 양쪽 눈 각각의 비측 반절이 빛에 무감각해지며, 이들이 양이측 반맹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양이측의 동공...)
- 2020년 5월 22일 (금)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생리적 동공 부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임상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동공 부등은 최소 0.3mm 의 차이 부터이다. 어두운 환경에서는 정상인의 20%에서 0.4mm 이상의 동공 부등이 관찰된...)
- 2020년 5월 22일 (금)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올챙이 모양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간혹 환자가 1~2분간 한 눈의 동공이 뒤틀렸다가 좋아진다고 보고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약간 이상한 느낌을 갖게 되며 살짝 흐리게 보...)
- 2020년 5월 22일 (금) 00:22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포 드 프티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포포 드 프티 증후군 (Pourfour du Petit syndrome)</b> 은 호르너 증후군과 반대의 임상 양상을 나타내며 교감 안신경의 과항진을 보이고, 보...)
- 2020년 5월 22일 (금)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성 간헐성 산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양성 간헐성 산동 (benign episodic mydriasis)</b> 은 심한 두통이나 편두통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약 반 정도에서 편두통의 과거력을 가지고,...)
- 2020년 5월 21일 (목) 08: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인성 장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심인성 장애 (psychogenic disturbance)</b> 는 자발적으로 증상을 만들지 않는다는 점에서 꾀병 또는 뮌하우젠 증후군 과 다르다. == 종류...)
- 2020년 5월 21일 (목) 08: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꾀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꾀병 (malingering)</b> 은 환자가 의식적이고 자발적으로 증상을 만든 경우를 말한다. 심인성인 경우와 달리 환자가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 2020년 5월 21일 (목) 07: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두 신경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두 신경통 (occipital neuralgia)</b> 은 후두 부위의 통증을 지칭하는 용어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그러나 정확하게는 큰 후두 신경 (greater occ...)
- 2020년 5월 21일 (목) 07: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시신경 수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이차 시신경 수막종 (secondary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b> 은 접형골이나 전두골의 뇌쪾에서 발생한 수막종이 시신경의 경막하강을 통해...)
- 2020년 5월 21일 (목)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시신경 수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원발 시신경 수막종 (primary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b> == 역학 == 시신경 교종 다음으로 흔한 원발 시신경 종양으로, 거미막 융모 (arachn...)
- 2020년 5월 21일 (목) 07: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수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신경 수막종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b> 은 대부분은 두개 내에서 발생하며 보통 전이가 드물고 주위 조직으로도 잘 침투하지 않는 비...)
- 2020년 5월 21일 (목)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신경 위축 (optic atrophy)</b> 은 병명이 아니라 시신경의 망막 신경절 세포와 축삭에 비가역적 손상을 초래하는 모든 질환의 형태학적 후...)
- 2020년 5월 21일 (목) 06: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스터-케네디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포스터-케네디 증후군 (Foster-Kennedy syndrome)</b> 은 후각 상실과 같은 눈 시신경 위축, 반대눈 시신경 유두 부종이 특징이다. == 병인 == 한쪽...)
- 2020년 5월 21일 (목) 06: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변시증 (metamorphopsia)</b> 은 물체의 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것으로 망막앞막과 같은 망막성 변시증이 가장 흔하다. 중추성 변시증은 발...)
- 2020년 5월 21일 (목) 0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대시증 (macropsia)</b> 은 환자가 보는 상이 실제보다 크게 보이는 상태로 소시증에 비해 매우 드물다. 중추성 대시증은 발작기에 나타...)
- 2020년 5월 21일 (목) 06: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소시증 (micropsia)</b> 은 보이는 상이 실제보다 작아 보이는 상태로 시각적 왜곡 중 가장 흔하다. == 원인 == 가능한 원인으로는 눈모음 조...)
- 2020년 5월 21일 (목) 06:0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간적 반복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간적 반복시 (spatial palinopsia)</b> == 분류 == * 중추성 다시증 (cerebral polyopia) : 상이 여러개로 보이며, 복시로 나타날 때는 사시와 감별해...)
- 2020년 5월 21일 (목)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참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pan style='font-size:18px;'>참고</span>)
- 2020년 5월 21일 (목) 0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신경안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신경안과학 제 3판, 2017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일조각))
- 2020년 5월 21일 (목) 05: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각적 반복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시각적 반복시 (temporal palinopsia)</b> 는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져도 상이 계속 보이는 현상으로, '다시' 라는 뜻의 그리스어 palin 이 어원이...)
- 2020년 5월 21일 (목)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린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발린트 증후군 (Bálint's syndrome)</b> == 임상 양상 == === 동시 실인증 === === 시각 실조 === 시각적으로 입력된 정보가 운동계로 연결되지 못해...)
- 2020년 5월 21일 (목)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작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동작맹 (akinetopsia)</b> 은 양측성으로 제 5 시각 피질 영역이 손상되면 환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어려워 연속 동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
- 2020년 5월 21일 (목)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diabetic papillopathy)</b> == 역학 ==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
- 2020년 5월 21일 (목)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풍선관 눈물길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풍선관 눈물길 성형술 (balloon catheter dacryoplasty; balloon catheter dilator; BCD)</b> 은 부풀어 오르지 않은 풍선관을 코눈물관 더듬자 검사와 같은...)
- 2020년 5월 21일 (목) 05: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리콘관 삽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실리콘관 삽입 (silicone tube intubation; STI)</b> == 실리콘관의 종류 == * Crawford 관 * Quickert & Dryden 관 == Crawford 관을 이용한 수술 방법 == # 실리...)
- 2020년 5월 21일 (목) 04: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주머니 절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주머니 절제 (lacrimal sac resection)</b> == 적응증 == * 눈물 흘림을 호소하지 않는 급성 또는 아급성 눈물 주머니염 환자들 : 특히 눈물 흘...)
- 2020년 5월 21일 (목)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길 더듬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길 더듬자 (lacrimal probe) == 이나미 (inami) 사의 보우만 눈물길 더듬자 ==)
- 2020년 5월 21일 (목)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점 확장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점 확장기 (punctum dilator)</b>)
- 2020년 5월 21일 (목) 00:0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사선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방사선 시신경병증 (radiation optic neuropathy; RON)</b> 은 뇌나 안와에 방사선 치료를 바은 뒤 수 개월에서 수 년후 비가역적이고 심한 시력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