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10월 10일 (월) 08: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내 마취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전방 마취".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10월 10일 (월) 08: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내 마취 문서를 전방 마취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0월 10일 (월)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논낭밑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논낭은 경막의 앞쪽 연장 조직이므로 이 공간을 이용하면 눈뒤 공간에 도달할 수 있다. '''테논낭밑 마취 (subtenon anesthesia)'''{{백내장}} 는...)
- 2022년 10월 10일 (월) 08:48 Smile 토론 기여님이 구후 마취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눈뒤 마취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0월 9일 (일) 09: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로스마린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로스마린산 (rosmarinic acid, RA)'''{{백내장}} 은 카페산 (caffeic acid) 과 3,4-dihydroxy-phenyllactic acid 의 에스터 (ester) 로 240여 종의 식물에서 발견...)
- 2022년 10월 9일 (일) 09: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노스테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백내장 발생의 원인 중 지질대사 장애, 특히 콜레스테롤 대사 장애가 백내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콜레스테롤이 백내장 발생의...)
- 2022년 10월 9일 (일) 09:22 Smile 토론 기여님이 N-아세틸카노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카노신 (L-carnosine)''' 이라는 단백질은 자연에서 발생하는 다이펩타이드 (dipeptide) 로, 인체 내부에서 자유 라디칼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 2022년 10월 1일 (토)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MIG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background-color:#C4DDFF; width:100%;' |- style='background-color:#7FB5FF;' |colspan=2|'''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MIGS)''' |- |...)
- 2022년 9월 28일 (수) 07: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측 접근 쉴렘관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측 접근 관성형술 (ab interno canaloplasty, ABiC)''' (Ellex iScience, Fremont, CA, USA) 는 내부 절개법으로 조명을 지닌 미세관을 쉴렘관에 넣은 후...)
- 2022년 9월 28일 (수) 07:35 Smile 토론 기여님이 TRAB 36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RAB 360'''{{녹내장}} (Sight Sciences, Menlo Park, CA, USA) 시스템은 2015년에 소개된 방법으로,GATT와 유사한 내부 절개법으로 360° 섬유주 절개술...)
- 2022년 9월 28일 (수) 02: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내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내 섬모체 광응고술 (endocyclophotocoagulation, ECP)''' (BVI, Littie Silver,NJ, USA) 은 내부 절개를 통해 810nm의 다이오드 레이저가 연결된 내시...)
- 2022년 9월 26일 (월) 07:50 Smile 토론 기여님이 GAT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ATT (gonioscopy assisted transluminal trabeculotomy)'''{{녹내장}} (Ellex iScience, Fremont, CA, USA) 는 2014년 소개된 내부 절개 섬유주 절개술이다. == 수...)
- 2022년 9월 26일 (월) 07: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훅 이중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카훅 이중날 (Kahook Dual Blade)'''{{녹내장}} 은 Trabectome과 유사하게 일회용 스테인리스강 칼날로 섬유주 절개를 시행하지만 전기 소작을...)
- 2022년 9월 26일 (월)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Trabectom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rabectome''' (Microsurgical Technology, Redmond, WA, USA) 은 2004년 FDA 승인을 받은 제품으로,각막의 내부 절개로 19.5G 의 일회용 기구를 넣어 전방각...)
- 2022년 9월 26일 (월) 05:52 Smile 토론 기여님이 MIGS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9월 18일 (일) 04: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헐 외사시/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간헐 외사시의 가장 좋은 치료 방법과 시기는 아직 확립되지 않아서 다양한 의견이 있다. 상당수의 환자에서는 융합이 보존되고, 수술...)
- 2022년 9월 17일 (토) 09: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속발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속발 외사시 (consecutive exotropia)''' == 원인 == 과거 내사시였던 환자에서 저절로 생기기도 하고, 수술 후 과교정으로 발생하기도 한 다. 저...)
- 2022년 9월 17일 (토) 09:27 Smile 토론 기여님이 감각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감각 외사시 (sensory exotropia)'''{{사시}} 는 감각 소실로 인해 융합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되어 생기는 외사시이다. == 원인 ==...)
- 2022년 9월 17일 (토) 09: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편위 (exodeviation)'''{{사시}} == 원인 == 1897년 Duane<ref>Duane A. A new classification ofthe motor anomalies of the eyes based upon physiological principles, together w...)
- 2022년 9월 14일 (수) 1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심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체 유래 '''심막 (pericardium)''' == 장점 == 유기용매와 저선량 방사선을 이용한 멸균 처리로 이식재의 항원성 자극을 낮추고, 강하고 유연한...)
- 2022년 9월 9일 (금) 08:08 Smile 토론 기여님이 ER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RSS (ectasia risk scoring system) === Randleman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Randleman ERSS |- |요소\점수||4||3||2||1||0 |- |각막 형태||비정상||...)
- 2022년 9월 9일 (금) 07: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섹의 합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라섹/합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9월 9일 (금) 07:32 Smile 토론 기여님이 굴절 교정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교정 수술 (refractive surgery)'''{{굴절교정}} == 종류 == * PRK ** 라섹 * 라식 * 스마일)
- 2022년 9월 8일 (목)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섹/절삭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VISX == === 입력 도수의 결정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라섹의 계산 도표 (nomogram) - Sph 에서 아래의 비율만큼 뺀다. |- !Sph||...)
- 2022년 9월 7일 (수)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색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색맹 (achromatopsia)''' == 분류 == * 완전 (complete) : 세 가지 원뿔세포의 기능이 완전히 없는 것으로 * 불완전 (incomplete))
- 2022년 9월 6일 (화) 05: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막대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막대세포 (rod cell)'''{{망막}} {{참고}})
- 2022년 9월 6일 (화) 0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겔 색각 검사경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겔 색각경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9월 2일 (금) 0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구성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구성 인공수정체 (multicomponent intraocular lens, MCIOL)''' 는 == 종류 == * Precisight)
- 2022년 9월 2일 (금) 0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8월 31일 (수) 05: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체 시야 망막 전위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전체 시야 망막전위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8월 31일 (수) 0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Hill-RB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ill-RBF (Hill-radial basis function)''' 계산기는 인공 지능과 실제 수술 후 굴절 결과의 매우 큰 자료의 회귀 분석을 사용해서 인공수정체 도수...)
- 2022년 8월 31일 (수)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Barrett True-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rrett True-K 공식은 Barrett Universal II 공식을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다. {{참고}})
- 2022년 8월 31일 (수) 03:21 Smile 토론 기여님이 Hoffer Q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ffer Q 공식은 1992년 Hoffer가 발표하였으며, 전방 깊이를 예측하는 데 있어 Fyodorov의 각막 높이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 개인의 안축장 및...)
- 2022년 8월 31일 (수) 01:35 Smile 토론 기여님이 SRK/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RK/T''' 공식은 1990년 5월 Sanders, Retzlaff, Kraff<ref>Retzlaff JA et al. Development of the SRK/T IOL implant power calculation formula. ''JCRS''. 1990 May;16(3):333-40. [ht...)
- 2022년 8월 31일 (수) 01:24 Smile 토론 기여님이 Hollada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olladay'' 공식은 기하학적 광학을 근간으로 한 이론적 공식에 기초를 두면서 경험적 요소인 술자 요소<ref>Holladay JT et al. A 3 part system for ref...)
- 2022년 8월 31일 (수)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L-SR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SRK''' 공식은 심한 근시안, 특히 안축장이 예외적으로 긴 환자에서 인공수정체 도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SRK를 수정한 공식으로, 1990...)
- 2022년 8월 30일 (화) 1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Haigi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igis''' 공식{{백내장}} 은 인공수정체의 도수 산출이 보다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방 깊이를 예측하여 적용하는 다른 공식과는 달...)
- 2022년 8월 30일 (화) 1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SRK I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RK II (Sanders-Retzlaff-Kraff II)'''{{백내장}} 공식은 1세대 공식인 SRK에서 굴절 상수와 안축장에 따라 A상수를 변화시킨 2세대 공식이다. {{...)
- 2022년 8월 30일 (화) 1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SR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RK (Sanders-Retzlaff-Kraff)'''{{백내장]} {(참고}})
- 2022년 8월 30일 (화) 14:27 Smile 토론 기여님이 Barrett Universal I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arrett Universal II (BU II)'''{{백내장}} 공식은 이전 공식들과 다르게 안축장의 길이, 각막 곡률, 전방 깊이, 수정체 두께, 각막 윤부 직경을...)
- 2022년 8월 30일 (화) 14:21 Smile 토론 기여님이 T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2'''{{백내장}} 공식은 SRK/T 공식에서 IOL 값을 예측함에 있어 각막 곡률과 안축장의 길이를 나타낼 때 발생하는 비생리학적인 오류를 개...)
- 2022년 8월 30일 (화) 13: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인공수정체 공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background-color:#C4DDFF; width:100%;' |- style='background-color:#7FB5FF;' |colspan=3|'''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 |- |1세...)
- 2022년 8월 30일 (화) 13:54 Smile 토론 기여님이 Shammas-P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hammas-PL (Shammas post-LASIK)''' 은 인공수정체 도수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인공수정체 공식}})
- 2022년 8월 30일 (화) 1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수정체 공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수정체 공식 (IOL formulas)'''{{백내장}} == 종류 == === 1세대 === * SRK === 2세대 === * SRK II * Hoffer === 3세대 === * SRK/T * HofferQ * Holladay 1 === 4세...)
- 2022년 8월 30일 (화) 1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1CU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CU ®'''{{백내장}} (HumanOptics AG, Erlangen, Germany) 는 조절 인공수정체의 하나이다. {{참고}})
- 2022년 8월 30일 (화) 09:48 Smile 토론 기여님이 Crystale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rystalens ®''' (AT-45, Eyeonics Vision, USA) 는 조절 인공수정체의 하나로, 임상시험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며 2003년 조절 인공수정체...)
- 2022년 8월 30일 (화) 09: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절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조절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8월 30일 (화) 09:40 Smile 토론 기여님이 WIOL-C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WIOL-CF ®''' (Gelmed international, Kamenne Zehrovice, Czech Republic) 는 지지부가 없이 전체가 광학부 형태를 가진 인공수정체로 크기는 9.0 mm이며, Hydr...)
- 2022년 8월 29일 (월)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신 마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신 마취 (general anesthesia, GA)''' == 부작용 ==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심혈관 기능에 영향을 주며, 전신 혈관의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혈...)
- 2022년 8월 28일 (일) 10:0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지샘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지샘종 (sebaceous adenoam)''' 은 피지샘 기원의 드문 양성 종양이다. == 임상 소견 == 주로 얼굴, 눈꺼풀, 두피에 70% 비율로 발생하며,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