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보이기
잔글 →생활 습관과의 연관성 |
잔글 →치료 목적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녹내장/생활_습관]] 참고 | [[녹내장/생활_습관]] 참고 | ||
== 치료 목적 == | == 치료 목적 == | ||
녹내장의 치료 목적은 환자의 시기능을 보존함으로써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초기 또는 중기의 손상을 가진 녹내장 환자들은 시기능과 삶의 질을 잘 유지할 수 있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삶의 질이 저하되게 된다. 녹내장 치료는 각 개인에 맞추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데 고안압증이나 약간의 시야 손상이 있으면서 안압이 낮게 유지되는 고령의 환자들은 진행 위험이 적지만, 이미 기능 저하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나 젊은 환자들은 좀 더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 |||
녹내장 진단 후에는 신뢰할 만한 역학조사의 결과들을 근거로 각 환자에 적합한 치료 방침을 세워야 하며 근거가 될 수 있는 주요한 임상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 [[OHTS]] | |||
* [[CNTGS]] | |||
* [[EMGT]] | |||
* [[CIGTS]] | |||
* [[AGIS]] | |||
녹내장을 적절히 치료하는 데에 있어 고려할 점은 치료 시기와 치료 방법이다. PACG과 선천녹내장은 진단 즉시 치료를 시작한다. OAG의 경우에는 진행성이거나 병적인 유두함몰 및 특징적인 시야 결손으로 시신경 손상이 증명되면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 |||
약물치료의 목표는 시신경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수준 이하로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목표를 달성시키면서 위험성이 가장 낮고, 부작용은 거의 없고, 환자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가장 적게 주는 치료법이 시행되어야 한다. 부작용이 수반 | |||
되는 치료법은 심한 시기능상실의 위험성이 명백히 증명되는 환자에서만 시행되어야 한다. | |||
동공 차단 [[폐쇄각 녹내장]]의 치료는 원칙적으로 레이저나 수술을 해야 하고, [[선천 녹내장]]은 수술을 해야 하며 약물요법은 부수적인 역할을 한다. POAG에서는 일차적인 치료는 대개 약물 요법이며 약물 요법이 실패하거나 잘 견디지 못할 때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이차 녹내장 치료도 원발 녹내장 치료에 준한다. | |||
== 약물 치료 == | == 약물 치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