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특발성 맥락막 신생혈관 (CNV)) |
잔글 (→안저)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망막하액은 대부분 맑은 편이지만,과립이나 부유물에 의해 혼탁하게 보이기도 한다<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Mosby; 1997:52-70.</ref>. 부유물의 경우 대부분 섬유소에 의해 유발되고 섬유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혼탁이 심해지면서 일부는 덩어리로 응집하기도 한다<ref name=r32 />. 그 덩어리 내부나 가장자리에 어두운 반점은 [[망막 색소상피 박리|RPED]]로 [[망막 색소상피|RPE]] 누출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이 섬유소 덩어리들은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섬유성 반흔을 형성하여 이차적인 신생혈관의 발생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열상 등을 일으켜 영구적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ref name=r32 /><ref>Schatz H et al. Subretinal fibrosis in CSC. ''Ophthalmology''. 1995 Jul;102(7):1077-88. [https://pubmed.ncbi.nlm.nih.gov/9121756/ 연결]</ref>. 이런 섬유성 삼출물은 질환이 만성이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임신,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ref>Hooymans JM. Fibrotic scar formation in CSC developed during systemic treatment w corticosteroid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 Nov;236(11):876-9. [https://pubmed.ncbi.nlm.nih.gov/9825265/ 연결]</ref>, 장기 이식, 당뇨, 남성 등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하의 물질들이 사라질 경우 영구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색소저하를 남겨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에 과형광의 창문 비침으로 보일 수 있다. 작은 과립형 침착물들은 망막박리 기간이 짧은 것을 의미하므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이나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CV) 에서 자주 보이는 망막하 지질 침착도 나타날 수 있다<ref>Yannuzzi LA et al. Peripheral RD and RPE atrophic tracts secondary to central serous pigment epitheliopathy. ''Ophthalmology''. 1984 Dec;91(12):1554-72. [https://pubmed.ncbi.nlm.nih.gov/6084221/ 연결]</ref>. | 망막하액은 대부분 맑은 편이지만,과립이나 부유물에 의해 혼탁하게 보이기도 한다<ref>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Mosby; 1997:52-70.</ref>. 부유물의 경우 대부분 섬유소에 의해 유발되고 섬유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혼탁이 심해지면서 일부는 덩어리로 응집하기도 한다<ref name=r32 />. 그 덩어리 내부나 가장자리에 어두운 반점은 [[망막 색소상피 박리|RPED]]로 [[망막 색소상피|RPE]] 누출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이 섬유소 덩어리들은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섬유성 반흔을 형성하여 이차적인 신생혈관의 발생이나 [[망막 색소상피|RPE]] 열상 등을 일으켜 영구적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ref name=r32 /><ref>Schatz H et al. Subretinal fibrosis in CSC. ''Ophthalmology''. 1995 Jul;102(7):1077-88. [https://pubmed.ncbi.nlm.nih.gov/9121756/ 연결]</ref>. 이런 섬유성 삼출물은 질환이 만성이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임신,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ref>Hooymans JM. Fibrotic scar formation in CSC developed during systemic treatment w corticosteroid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 Nov;236(11):876-9. [https://pubmed.ncbi.nlm.nih.gov/9825265/ 연결]</ref>, 장기 이식, 당뇨, 남성 등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하의 물질들이 사라질 경우 영구적인 [[망막 색소상피|RPE]] 색소저하를 남겨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 시에 과형광의 창문 비침으로 보일 수 있다. 작은 과립형 침착물들은 망막박리 기간이 짧은 것을 의미하므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이나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CV) 에서 자주 보이는 망막하 지질 침착도 나타날 수 있다<ref>Yannuzzi LA et al. Peripheral RD and RPE atrophic tracts secondary to central serous pigment epitheliopathy. ''Ophthalmology''. 1984 Dec;91(12):1554-72. [https://pubmed.ncbi.nlm.nih.gov/6084221/ 연결]</ref>. | ||
망막하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눈물, | 망막하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눈물, 아령, 술잔, 플라스크 모양의 감각신경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49-52 만성적인 망막 박리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층의 [[망막 색소상피|RPE]]가 위축되어 후극부와 아래쪽 망막박리 부위 를 연결하는 위축된 길이 생기는데, 이는 [[형광 안저 혈관조영술|FA]]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위축된 길이 발견될 경우 이전에 CSC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낭포 황반부종]] (CME), 망의 낭포성 변화, [[망막 색소상피|RPE]] 위축에 따른 맥락막 모세혈관 위축, [[맥락막 신생혈관|CNV]] 등의 소견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51-55 심한 이상 소견은 잦은 재발과 관련되어 있고 영구적인 중심 시력 상실, 심한 상부 시야 결손을 초래한다. | ||
=== [[안저 자가 형광|AF]] === | === [[안저 자가 형광|AF]] === |
2024년 12월 14일 (토) 14:58 기준 최신판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1] 은 맥락망막의 질환 중 하나로, 후극부에 국한된 경계가 분명한 장액성 감각신경망막 박리 또는 망막 색소상피 박리 (RPED) 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 저절로 호전되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는 치료가 필요하다.
역사
1866년 von Graefe[2]가 중심성 재발 망막염으로 처음 기술한 이래, 1965년 Maumenee[3]는 황반 박리가 망막 색소상피 (RPE) 에서의 누출 때문에 생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1967년 Gass[4]가 중심성 장액 맥락망막병증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역학
내과적 망막질환 중에서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당뇨 망막병증 (DR), 망막 분지정맥 폐쇄 (BRVO) 에 이어 네 번째로 후극부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건강한 남자에게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시력 저하를 일으킨다. 남자가 여자보다 6배 정도 많고[5], 대개 30~50대까지의 청, 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처음 진단 시 양안 동시 발병률은 4% 정도이지만 양안을 침범하는 경우는 40%까지도 높게 보고되며, 주로 만성 환자에서 양안성이 많은 경향이 있다.
인종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흑인에서는 매우 드물고 백인, 동양인 등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미국 거주 흑인들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발생 시 심한 양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6][7][8]. 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과도한 교감신경성 반응을 보이는 성향 때문으로 보인다[9]. 가족력이나 계절적으로 봄에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병인
일차 병소가 맥락막인지 망막 색소상피 이상인지, 또는 국소 병소인지 전반적으로 퍼져 있는 이상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맥락막의 혈류 이상에 의해서 이 질환이 유발될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10].
허혈과 염증은 맥락막 내층의 투과성 이상 및 RPE의 박리를 유발하고 박리된 RPE의 미세한 rip(부풀어 오르면서 생긴 연속성의 결손)에 의해 장액 망막박리 부위로 누출이 생긴다.
허혈부위에서 동맥 충만의 지연과 정맥 울혈로 인해 맥락막 투과성 항진이 초래된다[11]. 그러므로 맥락막은 두꺼워지고 망막하 물질 침착이 유발될 수 있다. ICGA에서 FA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전반적인 투과성 증가 및 과형광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정상으로 여겨졌던 반대편 눈에서도 관찰되었다[6]. Guyer 등[12]은 이 현상을 보고 맥락막의 투과성 증가가 이 질환의 원인이라고 가정하였다. Spaide 등[6]은 주로 만성 질환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락막 혈류의 자가 조절 기능의 이상이 초기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Yoshioka 등28-애은 원숭이에게 에피네프린을 실험적으로 주사하여 후극부에 장액 망막박리를 유발시켰는데 FA 상 맥락막 혈관 수축과 누출, 바로 위의 RPE 변성 등을 관찰하였고, 이는 순환계에 아드레날린의 자극이 맥락막 혈관 수축과 혈류의 이상을 초래하여 CSC를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쿠싱병,11-13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13], 장기 이식 받은 환자[14]에서 코티솔 수치가 증가되어 있는 것도 이 질환과 관련 있고, 임신 기간에도 내인성 코티솔 수치가 증가하여 발병률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8-10 스테로이드의 역할이 자세히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항염증 작용과 세포외기질 합성 억제, 섬유아세포 활성 억제를 통해 RPE 사이의 치밀 결합의 손상이 치유 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33-35 또한 과다한 코티솔이 모세혈관을 약하게 하고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맥락막 순환 부전 및 망막하 공간으로의 유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15][16]. 게다가 이온 수송체에 직접 작용하여 RPE의 극성을 역전시켜, 망막하 공간으로 분비된 이온을 따라 액체의 이동을 촉진시 키고 장액 황반박리를 일으킬 수 있다.
맥락막 모세혈관의 미세 순환 이상에 의해 RPE 하 공간으로의 누출이 증가되는 것도 생각되고 있다. 누출이 증가된 채로 시간이 지나면 RPE의 정상 적인 펌프 기능도 상실되고 그 결과 이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미세 순환의 부전이 계속되면 질환의 재발과 영구적인 조직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최근 연구에서 알도스테론/염류 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경로가 이 질환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밝혀졌다. 동물실 험에서 유리체강내 알도스테론 주입이 맥락막의 두께와 혈관의 누출을 증가시키고 망막하액의 발생을 유발시켰다[17].
위험 인자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나, 건강한 성인 중에 이혼, 파산, 가까운 친지의 질병 등의 스트레스로부터 큰 부담을 갖고 긴장을 잘 놓지 못하는 type A personality인 사람들에서 자주 발생한다[18][19]. 혈중 카테콜라민의 농도 증가 (4배 정도), 코티솔 농도 증가 (40배 정도) 가 긴장에 의한 RPE 병변의 발생을 매개하는 고리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건강 염려증, 히스테리, 전환 신경증 등이 있는 경우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신 스테로이드 농도 증가도 질환의 발생을 높인다. 즉 임신[20][21][22], 말기 신부전, 장기 이식, 내인성 코티솔 생산 증가[23][24], 비강내 스테로이드 흡인, 스테로이드 전신 치료 등을 받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5]. 혈액 응고 작용과 혈소판 응집 반응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인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방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혈소판 유래 성장인재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보고된다[26].
그 외 위험 인자로는 항생제 사용, 흡연, 음주, 치료되지 않은 고혈압,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이 있다. 위장의 H.pylori 감염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 있다[27][28][29].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와 관련된 경우는 망막하 섬유화가 잘 발생한다.
분류
- 급성형 : 3~6개월 이내에 저절로 좋아짐
- 만성형 : 6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경과하는 경우
- 재발성 만성형 : 잦은 발생 및 호전을 반복
증상
대부분의 환자는 시력 감퇴, 중심 암점, 변시증, 소시증, 색각 이상, 대비감도 감퇴, 원시 증가 등의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30]. 일부 환자에서는 편두통이 동반 또는 선행되기도 한다[4]. 시력은 20/200에서 20/20까지 다양하며 감각신경망막의 전방 이동으로 인해 원시 증가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31]. 전안부와 유리체는 정상이다. 만성인 경우에는 시력 저하 및 영구적 중심 암점을 호소하기도 한다.
임상 소견
안저
후극부에 경계가 분명하고 투명한 장액성 융기가 관찰되며, 정상 중심와 반사의 소실, 망막 색소상피 위로 비쳐진 망막혈관 그림자 간격보다 실제 혈관 간격이 넓어져 있는 소견이나, 장액성 융기 경계 부위에서 혈관의 꺾임이 관찰되는 소견, 융기된 망막 가장자리에서 빛의 산란이 증가된다. 망막의 엽황소가 보다 잘 비쳐서 중심와 부위가 더욱 황색으로 보이기도 한다[32]. 발생한 시기가 오래된 경우나 만성 시기에는 감각 신경망막과 망막 색소상피 사이에 과립성 침착물이 있는 경우가 많다[33].
감각신경망막 박리 주변에 작은 RPED가 동반되기도 하는데, 대개 크기가 시신경 유두 직경의 1/4을 넘지 않는다. 최근 OCT에서 많은 경우에 RPED가 동반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RPED는 경계가 분명하고 융기되어 있어 둘레에 빛반사를 나타내며 아래의 맥락막 구조가 자세히 보이지 않고 노란색, 회색 또는 오렌지빛으로 보여 감각신경망막 박리와 구별될 수 있다. 오래되거나 재발한 경우에는 색소의 이동이 나 위축 또는 응집으로 저색소 부위를 보이기도 한다.
망막하액은 대부분 맑은 편이지만,과립이나 부유물에 의해 혼탁하게 보이기도 한다[34]. 부유물의 경우 대부분 섬유소에 의해 유발되고 섬유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혼탁이 심해지면서 일부는 덩어리로 응집하기도 한다[32]. 그 덩어리 내부나 가장자리에 어두운 반점은 RPED로 RPE 누출을 일으키는 부위이다. 이 섬유소 덩어리들은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섬유성 반흔을 형성하여 이차적인 신생혈관의 발생이나 RPE 열상 등을 일으켜 영구적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도 있다[32][35]. 이런 섬유성 삼출물은 질환이 만성이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임신, 전신 스테로이드 사용[36], 장기 이식, 당뇨, 남성 등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망막하의 물질들이 사라질 경우 영구적인 RPE 색소저하를 남겨 FA 시에 과형광의 창문 비침으로 보일 수 있다. 작은 과립형 침착물들은 망막박리 기간이 짧은 것을 의미하므로 예후가 좋은 편이다. 나이관련 황반변성 (AMD) 이나 특발성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PCV) 에서 자주 보이는 망막하 지질 침착도 나타날 수 있다[37].
망막하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눈물, 아령, 술잔, 플라스크 모양의 감각신경망막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49-52 만성적인 망막 박리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층의 RPE가 위축되어 후극부와 아래쪽 망막박리 부위 를 연결하는 위축된 길이 생기는데, 이는 FA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위축된 길이 발견될 경우 이전에 CSC가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낭포 황반부종 (CME), 망의 낭포성 변화, RPE 위축에 따른 맥락막 모세혈관 위축, CNV 등의 소견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다.51-55 심한 이상 소견은 잦은 재발과 관련되어 있고 영구적인 중심 시력 상실, 심한 상부 시야 결손을 초래한다.
AF
급성기에는 자가 형광이 망막 박리 부위에서 망막하액에 가려 감소하여 나타나지만, 만성기에는 망막 박리르 보이는 위치에서 자가 형광이 증가되어 보이고, 누출점에서는 감소되어 나타나 전체적으로 증가된 부위와 감소된 부위가 혼재하여 나타난다.
- FA : 환자 95%에서 망막 색소상피 내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특징적인 누출점이 관찰된다. 누출점은 대부분 중심와 영역을 비켜나 있어 중심와를 중심으로 500~1,500㎛ 이내의 영역에 주로 위치하며 10% 미만에서는 중심와에서 발견된다. 후극부의 상비측(28.7%)이 가장 빈번하며, 하비측 (18.3%), 상이측 (16.4%), 하이측 (12.8%) 순으로 발생한다. 재발하는 경우 80%에서 기존 누출점으로부터 1,000㎛ 이내에 새로운 누출점이 발견되는데, 이것이 기존 누출점이 악화된 것인지 새로 생긴 것인지 구분하기 어려울 경우가 많다. 만성적이 경우는 여러 개의 누출점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가장 흔한 형태는 하나의 누출점으로부터 색소가 대칭적으로 모든 방향으로 퍼져 나가면서 천천히 균일하게 장액성 망막 박리 부위를 염색해 나가면서 20~30분이 경과한 후 경계 부위까지 도달하며 그 경계 바깥으로는 번지지 않는다(ink blot). 이와 달리 10~15% 정도에서는 단일 누출점에서 나온 색소가 굴뚝연기 모양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수포의 윗부분부터 채우면서 우산 또는 버섯 모양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오는 모습을 보인다(smoke stack).
- OCT : 질환을 경과 관찰 하는데 유용하고, 세극등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힘든 얕은 장액성 박리를 발견하기에도 좋다. 또한 치료 효과 및 경과를 알아보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동반된 망막 상피세포 박리가 맥락막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된 부분에서 보이는 누출점 부위에서 관찰될 수 있다. EDI를 이용할 경우, 정상인에 비해 두꺼워진 맥락막도 관찰되는데 이는 맥락막 내의 정수압이 높아진 것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진단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ICGA : 이 질환의 주된 병소인 맥락막의 혈류 이상을 관찰하기 좋은 검사이다. 초기에 맥락막 혈관의 확장에 의한 과형광 소견이 보이고, 중기에 종종 점상의 과형광 점들이 보일 수 있으며, 후기에 맥락막 투과성 증가에 의해 조영제가 누출됨으로써 판상 모양의 과형광을 나타낸다. 혈관 충만 지연이 63~100%에서 나타난다. 과형광 부위는 FA에서의 누출점과 일치한다. 임상적으로도 정상이었고, FA에서는 정상으로 보였던 반대쪽 눈에서도 과형광이 발견된다. 이런 소견은 환자의 눈에서 전반적인 맥락막의 과투과성을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37~96%에서 허혈이 있는 맥락막 모세혈관 부위에서 과형광이 나타나며 반대로 형광 누출 부위 주위에 저형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부위 때문으로 생각된다. 허혈 뒤 정맥 확장 및 혈관 충만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맥락막 과투과성이 생길 수 있음을 보여준다. - 국소 ERG : 망막 박리 부위의 광수용체 기능이 저하된 소견인 b파의 진폭 감소, 잠복기 증가, 진동 소파 감소 상태를 보인다.
- mfERG : 망막 박리 부위에 다양한 정도의 기능 이상 소견을 나타내며 반대안에서도 약간의 낮은 다국소 망막전위도 진폭을 보이므로 정상안에도 잠복된 이상 소견이 있음을 시사한다. OCT와 달리 진폭의 정도와 시력과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EOG, full field ERG :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다.
시기능 검사
경도의 상대적 구심 동공운동 장애, 현저한 flicker-fusion 역치 감소, 시유발 전위 상 잠복기 (latency) 증가, 색각 이상 (tritan axis 이상), 중심 시야 감도 감퇴 등이 나타나고 회복 시 가장 먼저 상대적 구심 동공운동 장애와 flicker-fusion 역치가 개선되고 이어 시력, 시유발 전위 이상, 색각 이상이 호전된다. 중심 시야에 있어 빛의 감도는 가장 마지막에 호전된다
감별 진단
특발성 CNV
CNV가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장액 황반박리 를 동반하여 발생한 경우는 망막밑 출혈, 경성 삼출물, FA에서 신생혈관의 존재 등으로 감별할 수 있다.
AMD
50세 이후 환자의 경우는 AMD와 감별하여야 한다. 드루젠이 있으면 삼출성 AMD에서 발생한 CNV을 의심해야 한다. FA 상에서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미만성의 과형광을 보이는 경우 삼출성 AMD과 감별이 어려운데, 이 경우 ICGA 또는 OCTA이 도움이 될 수 있다. CSC에서는 초기에 나타나는 다발성의 과형광이 후기에 감소하는 소견을 보이나, 삼출성 AMD에서는 염색에 의해 후기까지도 과형광이 지속되는 차이를 보인다.27
특발성 PCV
특발성 PCV와의 감별은 ICGA이 중요한데, branching vascular network와 결절이 관찰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38]. OCT도 감별에 도움이 되는데, CSC에서는 망막하 공간이 깨끗하지만, 특발성 PCV에서는 망막 색소 박리 경계에 결절이 관찰될 수도 있다.
비 자가 면역 혈관 질환
악성 고혈압과 임신 중독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병증의 경우 망막내 혈관 변화, 시신경 유두 부종과 함께 감각신경망막 박리와 RPE 병변, 즉 혈관이 여러 군데 급성으로 수축되면서 허혈이 일어나 그 위를 덮는 RPE가 괴사 (Elschnig spot) 된 병변이 관찰된다. 기전은 맥락막 혈관의 급성 폐쇄로 생각하고 있다. 급성 망막 색소상피염은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시력 저하와 중심 암점을 발생시키는 질환으로 띄엄띄엄 색소 덩어리가 저색소 달무리로 둘러싸인 특징적인 황반부 병변을 보인다. 이 경우 FA에서 누출 없는 과형광을 나타낸다.
자가 면역 혈관 질환
- 전신 홍반성 낭창
- 결절 다발 동맥염
- 피부 경화증
- 피부근염
- 재발성 다발 연골염
같은 교원 질환은 맥락막 혈관의 염증으로 야기된 섬유양 괴사에 의한 장액 황반박리가 생길 뿐만 아니라 스테로이드 장기 치료로 인해 CSC가 합병될 수 있다.
염증, 감염 질환
- 하라다병 : 전부 포도막염, 유리체와 시신경유두의 염증, 더 광범위한 감각신경망막 박리, FA상 다수의 다발성 누출, 뇌수막염과 내이 증상 동반, 백반증과 백모증 등의 전신 증상 동반, 스테로이드 항염증 치료에 즉각적인 반응 등으로 감별된다.
- 후공막염 : 후극부의 삼출성 감각신경망막 박리를 일으킨다. 공막의 비후, 유리체 내 염증세포, 눈운동 시의 통증 등이 특징적 소견이다. 초음파로 후극부를 검사하여 공막 비후, 테논낭하 액체에 의해 생긴 후극부 공막 뒤쪽의 무반향성 부위 (T-sign) 를 관찰하여 감별할수 있다.
시신경 유두 오목 (ODP)
모든 감각신경망막 박리에서 ODP가 동반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외층 박리와는 연결이 없고, 내층 박리는 소와와 연결되어 있다. FA 상, 염료가 누출되는 누출점이 보이지 않고, 황반 박리 부위로 천천히 차오른다. OCT상 후극부 황반 박리가 소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경우 진단에 도움을 준다.
종양
등도 감별해야 한다. 특히, 맥락막 혈관종을 구분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와 혈관 조영이 도움이 된다.
기타
베스트 노른자 모양 이상증의 경우 감각신경망막 박리가 나타나 이 질환과 혼동되기도 한다. FA상 초기에 황색의 망막하액이 아래쪽 맥락막 모세혈관으로부 터의 형광을 차단하고 후기에는 RPE 결손 부위 를 따라 색소가 점상으로 차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감별에 도움을 준다. 후극부 망막박리가 있으면서 FA 시 누출점이 없으면 주변부 망막 열공을 확인한다. 또한 황반 원공이 없는지도 살펴야 한다. 안구 타박상에 의한 황반부 박리, 공막 돌륨술이나 공기 압박술 후에도 비슷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자연 경과
급성형인 경우 매우 좋은 시력 예후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에서 자연 치유된다. 보통 치료 없이도 12주 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시력 회복은 12개월까지 천천히 회복되기도 한다[5][39]. 만성형의 경우 박리 소실 후 약간의 시력 호전과 이후 점진적인 시력 개선을 보이지만 영구적 시력 감퇴를 남기는 경우가 많다[40].
후극부 RPE의 손상이 만성적으로 진행되어 CNV, 중심와부근 RPE 위축, 낭포 황반변성, 망막 색소상피 박리, 망막하 섬유소 침착, 감각신경망막 박리, RPE 위축 영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시력이 저하될 위험이 커진다. 또한 중심 시력 저하, 색각 감소, 상대 암점, 소시증, 변시증, 대비감도 저하, 야맹증 등의 시력 장애가 남을 수도 있다.
환자의 1/3~1/2에서 재발을 경험하고, 그 중 10%는 3회 이상 재발하며, 재발하는 경우 50%에서 첫 1년 이내에 발생한다.
치료
대부분에서 저절로 호전되는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 시 거의 90%에서 20/25 이상의 시력으로 회복되지만[41][42], 5%의 경우에서는 심한 시력 손상을 동반하게 되므로 3개월 이상 박리가 지속될 경우 치료가 고려되어야 한다[4].
안정제, 진정제, 수면제 등이 이 질환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비정상적으로 혈중 내 에피네프린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된 부분을 차단하기 위해 베타 차단제 또는 알파 차단제 사용도 제안되었지만 효과를 입증할만한 연구 결과는 아직 많지 않다[43]. 아세타졸라미드가 망막 색소 상피의 펌프 작용을 증가시키고 맥락막 혈류 역학을 변화시킴으로써 망막하액의 흡수를 촉진시킨다고 생각되지만 장기적인 시력 예후나 재발에 대해 좋은 영향을 준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44][45].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는 중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가 이 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고, A형 성격과 높은 연관성이 보고되므로 정신 신체 질환으로 생각되어 정신적 생활 상담, 생활 형태의 개선 등이 필요할 수 있다[4][46].
스피로놀락톤 (spironolactone)
최근 동물 실험을 이용한 Zhao et al[47]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쥐의 눈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유리체강 내로 주사하여 광물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활성에 의한 맥락막 혈관의 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맥락막 혈관들의 혈관 확장과 유출을 조절하는 경로에 코르티코이드 수용체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규명되었다. 이를 근거로 스피로놀락톤으로 대표되는 광물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한 CSC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피로놀락톤이 망막하액의 감소와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48].
이전의 몇몇 보고에서 경구 스피로놀락톤 투여 후 피로감, 현기증, 위장관 통증 및 고칼륨혈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49][50], 한 연구에서는 여성형 유방과 혈청 크레아티닌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약제 중단 후 별다른 치료 없이 모두 호전되었다.
레이저 광응고
중심와 바깥쪽에 누출점이 있는 경우 광응고술이 1970년대부터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기전은 비정상적인 망막 색소 상피세포를 파괴하여 이웃한 망막 색소상피가 그 역할을 대신하도록 하여 펌프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망막하액과 단백질 성분의 맥락막으로의 배출을 돕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누출점에 직접 광응고술을 시행한 결과 유병 기간을 단축시키고 재발율을 감소시켰으며 15년 동안 장기 경과 관찰에서도 유의하게 재발이 감소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유병 기간이 짧을수록 색소상피의 변성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광응고치료가 유병 기간을 짧게 하여 시력 예후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지만, 유병 기간의 단축이 시력 예후에 유익한 영향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급성인 경우에는 환자의 직업 상 빠른 양안시의 회복이 요구되거나, 이환된 눈이 유일한 눈인 경우에만 치료를 하고 그 외에는 3개월 경과 관찰할 것을 권유해왔다. 증상이 나타난지 빠르면 4개월 이후부터라도 시세포의 위축이 생길 수 있어서, 3개월 이내에 소실되지 않거나 누출점이 중심와 중심에 근접해있지 않은 경우엔 증상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를 고려한다. 4% 정도에서 누출점이 중심와 부위에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런 경우는 광응고를 시행해서는 안 된다.
최근 1주일 이내 촬영한 FA에서 확인된 누출점에 대해 광응고한다. 중심와 무혈관 부위나 유두-황반 다발 내의 치료는 크립톤 적색광이 권유된다. 광원 크기는 누출점보다 약간 크게 200㎛ 정도 사용하며, 낮은 강도 (100~200mW) 에서 시작하여 긴 시간 (0.1~0.2초) 동안 몇 회 정도 조사한다. 레이저 치료 후 보통 2주 정도에 망막하액이 흡수되지만 망막 하액의 농도가 높을 경우 6주까지 걸리기도 한다. 시력 회복은 망막하액 흡수 기간의 2배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광응고술 후에 합병증으로 암점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미리 환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이차적인 CNV가 생기기도 하는데 레이저 강도가 과도할수록 잘 생긴다. 시간이 갈수록 RPE 반흔이 증가하면서 중심와를 침범하여 영구적인 시력 소실이 올 수도 있으므로 특히 중심와 무혈관 부위의 누출점 치료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광응고 치료 후에도 망막하액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CNV를 의심해야 한다. 광응고 세기가 과도한 경우 브루크막이 손상되어 잠복성 CNV이 전형적 CNV로 발전할 수 있다.
기존의 레이저 치료를 대신하여 마이크로펄스 다이오드 레이저 치료가 시도되고 있다[51][52][53]. 기존의 레이저는 주변 조직의 열화상으로 인해 조사반의 크기보다 최종적인 응고반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마이크로펄스 다이오드 레이저는 주변으로의 열확산이 일어나기 전에 조직이 냉각되는 시간을 두어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레이저로 치료하기 어려운 중심와 밑 병변에 대해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광역학 치료의 단점인 맥락막 허혈, RPE 위축과 같은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 및 유용성에 대해 논란이 있으며 프로토콜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광역학 치료
만성적인 경우 verteporfin 광역학 치료는 보다 정교한 치료가 가능하고 특별한 부작용 없이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 중심와 밑이나 인접해서 누출점이 있는 경우
- 명확한 누출점이 없는 경우
- 맥락막 신생 혈관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 광응고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
등에서 도움이 된다. ICGA 상 과투과성을 보이는 맥락막 모세혈관에 대해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 결과 혈관의 리모델링을 유발시켜 투과성이 감소되고 국소적인 망막 색소상피의 누출을 종식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TAP 프로토콜에 의해 치료해 왔으나, 최근에는 망막 색소상피의 변성, 맥락막 모세혈관의 허혈, CNV의 발생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절반 용량의 verteporfin 주사액을 사용하거나[54][55], 50% 짧은 시간의 레이저로 광역학 치료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56][57].
유리체강 내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주입술
혈관내피 성장인자에 대한 항체도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는 보고[58][59][60]도 있는 반면, 대조군과 별 차이 없다는 보고도 있어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항체 주사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타
경동공 온열 요법[61], 또는 항코르티코스테로이드[62],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아스피린, 항-H.pylori 균 치료를 사용한 치료에 대한 보고도 있으나 아직 치료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von Graefe A. Central recurrent retinit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866;12:211-5.
- ↑ Maumenee AE. Macular Diseases : Clinical Manifestation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65 Jul-Aug;69:605-13. 연결
- ↑ 4.0 4.1 4.2 4.3 Gass JD. Pathogenesis of disciform detachment of the neuroepithelium. AJO. 1967 Mar;63(3):Suppl:1-139. 연결
- ↑ 5.0 5.1 Ross A et al. Review and update of CSC. Curr Opin Ophthalmol. 2011 May;22(3):166-73. 연결
- ↑ 6.0 6.1 6.2 Spaide RF et al. CSC in younger and older adults. Ophthalmology. 1996 Dec;103(12):2070-9; discussion 2079-80. 연결
- ↑ Guyer DR et al. CSC. In: Albert DM, Jakobiec FA,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Vol. 2. Philadelphia: WB Saunders, 1994;818-25
- ↑ Desai UR et al. CSC in African Americans. J Natl Med Assoc. 2003 Jul;95(7):553-9. 연결
- ↑ Fukunaga K. [Central chorioretinopathy with disharmony of the autonomous nerve system]. Nippon Ganka Gakkai Zasshi. 1969 Sep;73(9):1468-77. Japanese. 연결
- ↑ Spaide RF et al. Serous detachment of the retina. Retina. 2003 Dec;23(6):820-46; quiz 895-6. 연결
- ↑ Prünte C et al. Choroidal capillary and venous congestion in CSC. AJO. 1996 Jan;121(1):26-34. 연결
- ↑ Guyer DR et al. Digital ICG videoangiography of CSC. Arch Ophthalmol. 1994 Aug;112(8):1057-62. 연결
- ↑ Gass JD et al. Bilateral bullous exudative RD complicating idiopathic CSC during systemic corticosteroid therapy. Ophthalmology. 1995 May;102(5):737-47. 연결
- ↑ Friberg TR et al. sRD resembling CSC following organ transplant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0;228(4):305-9. 연결
- ↑ Chrousos GP et al. The concepts of stress and stress system disorders. Overview of physical and behavioral homeostasis. JAMA. 1992 Mar 4;267(9):1244-52. 연결
- ↑ Gill GN. Adrenal gland. In: West JB, ed. Best and Taylors physiological basis of medical practice, subsequent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90;820-30.
- ↑ 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연결
- ↑ Gelber GS et al. Loss of vision due to CSC following psychological stress. Am J Psychiatry. 1987 Jan;144(1):46-50. 연결
- ↑ Yannuzzi LA. Type-A behavior and CSC. Retina. 1987 Summer;7(2):111-31. 연결
- ↑ Gass JD. CSC and white subretinal exudation during pregnancy. Arch Ophthalmol. 1991 May;109(5):677-81. 연결
- ↑ Fastenberg DM et al. CSC in pregnancy. Arch Ophthalmol. 1983 Jul;101(7):1055-8. 연결
- ↑ Quillen DA et al. CSC in women. Ophthalmology. 1996 Jan;103(1):72-9. 연결
- ↑ Garg SP et al. Endogenous cortisol profile in patients w CSC. BJO. 1997 Nov;81(11):962-4. 연결
- ↑ Bouzas EA et al. CSC in endogenous hypercortisolism. Arch Ophthalmol. 1993 Sep;111(9):1229-33. 연결
- ↑ Haimovici R et al; CSC Case-Control Study Group. Risk factors for CSC : a case-control study. Ophthalmology. 2004 Feb;111(2):244-9. 연결
- ↑ Shin MC et al. Concentration of cytokines in the aqueous humor of patients w CSC. Retina. 2011 Oct;31(9):1937-43. 연결
- ↑ Rahbani-Nobar MB et al. The effect of H.pylori treatment on remission of idiopathic CSC. Mol Vis. 2011 Jan 11;17:99-103. 연결
- ↑ Cotticelli L et al. CSC and H.pylori. Eur J Ophthalmol. 2006 Mar-Apr;16(2):274-8. 연결
- ↑ Misiuk-Hojło M et al. H.pylori - a RF for the developement of the CSC. Klin Oczna. 2009;111(1-3):30-2. 연결
- ↑ Frisén L et al. Micropsia and VA in ME. A study of the neuro-retinal basis of VA. Albrecht Von Graefes Arch Klin Exp Ophthalmol. 1979 Apr 2;210(2):69-77. 연결
- ↑ KLIEN BA. Retinal lesions a/w uveal disease. I. AJO. 1956 Dec;42(6):831-47. 연결
- ↑ 32.0 32.1 32.2 Ie D et al. Subretinal exudative deposits in CSC. BJO. 1993 Jun;77(6):349-53. 연결
- ↑ Maruko I et al. Subretinal dot-like precipitates and yellow material in CSC. Retina. 2011 Apr;31(4):759-65. 연결
- ↑ Gass JDM. Stereoscopic atlas of macular diseases :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St. Louis: Mosby; 1997:52-70.
- ↑ Schatz H et al. Subretinal fibrosis in CSC. Ophthalmology. 1995 Jul;102(7):1077-88. 연결
- ↑ Hooymans JM. Fibrotic scar formation in CSC developed during systemic treatment w corticosteroid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8 Nov;236(11):876-9. 연결
- ↑ Yannuzzi LA et al. Peripheral RD and RPE atrophic tracts secondary to central serous pigment epitheliopathy. Ophthalmology. 1984 Dec;91(12):1554-72. 연결
- ↑ Gemenetzi M et al. CSC : an update on pathogenesis and treatment. Eye (Lond). 2010 Dec;24(12):1743-56. 연결
- ↑ Aggio FB et al. Clinical factors related to visual outcome in CSC. Retina. 2010 Jul-Aug;30(7):1128-34. 연결
- ↑ Ficker L et al. Long-term FU of a prospective trial of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in the treatment of CSR. BJO. 1988 Nov;72(11):829-34. 연결
- ↑ Klein ML et al. Experience w nontreatment of CSC. Arch Ophthalmol. 1974 Apr;91(4):247-50. 연결
- ↑ Watzke RC et al. Ruby laser photocoagulation therapy of CSR. I. A controlled clinical study. II. Factors affecting prognosi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4 Mar-Apr;78(2):OP205-11. 연결
- ↑ Tatham A et al. The use of propranolol to treat CSC : an evaluation by serial OCT. J Ocul Pharmacol Ther. 2006 Apr;22(2):145-9. 연결
- ↑ Gonzalez C. Décollements séreux rétiniens. Intérêt de l'acétazolamide [sRD. Value of acetazolamide]. J Fr Ophtalmol. 1992;15(10):529-36. French. 연결
- ↑ Pikkel J et al. Acetazolamide for CSR. Ophthalmology. 2002 Sep;109(9):1723-5. 연결
- ↑ Wang MS et al. Retinal atrophy in idiopathic CSC. AJO. 2002 Jun;133(6):787-93. 연결
- ↑ Zhao M et al. Mineralocorticoid receptor is involved in rat and human ocular chorioretinopathy. J Clin Invest. 2012 Jul;122(7):2672-9. 연결
- ↑ 한재용 외, 중심 장액 맥락망막병증 환자에 대한 스피로놀락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 JKOS 2020;61(11):1311-1321 연결
- ↑ Daruich A et al. Oral Mineralocorticoid-Receptor Antagonists: Real-Life Experience in Clinical Subtypes of Nonresolving CSC with Chronic Epitheliopathy. Transl Vis Sci Technol. 2016 Mar 4;5(2):2. 연결
- ↑ Herold TR et al. Long-term results and recurrence rates after spironolactone treatment in non-resolving CSC.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7 Feb;255(2):221-229. 연결
- ↑ Sivaprasad S et al. Micropulsed diode laser therapy : evolu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Surv Ophthalmol. 2010 Nov-Dec;55(6):516-30. 연결
- ↑ Gupta B et al. Micropulse diode laser photocoagulation for CSC. Clin Exp Ophthalmol. 2009 Nov;37(8):801-5. 연결
- ↑ Ricci F et al. ICG enhanced subthreshold diode-laser micropulse photocoagulation treatment of chronic CSC.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May;247(5):597-607. 연결
- ↑ Maruko I et al.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after treatment of CSC. Ophthalmology. 2010 Sep;117(9):1792-9. 연결
- ↑ Chan WM et al. Safety enhanced PDT for chronic CSC : 1y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Retina. 2008 Jan;28(1):85-93. 연결
- ↑ Shin JY et al. Comparison of efficacy and safety btw half- and full-fluence PDT for chronic CSC. Retina. 2011 Jan;31(1):119-26. 연결
- ↑ Bae SH et al. A randomized pilot study of low-fluence PDT vs intravitreal ranibizumab for chronic CSC. AJO. 2011 Nov;152(5):784-92.e2. 연결
- ↑ Schaal KB et al. IVB for treatment of chronic CSC. Eur J Ophthalmol. 2009 Jul-Aug;19(4):613-7. 연결
- ↑ Lim SJ et al. IVB injection for CSC. Retina. 2010 Jan;30(1):100-6. 연결
- ↑ Artunay O et al. IVB in treatment of idiopathic persistent CSC : a prospective, controlled clinical study. Curr Eye Res. 2010 Feb;35(2):91-8. 연결
- ↑ Sharma T et al. Transpupillary Thermotherapy for Juxtafoveal Leak in CSC.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0 Mar 9:1-3. 연결
- ↑ Singh RP et al. Oral eplerenone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CSC. Int J Ophthalmol. 2015 Apr 18;8(2):310-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