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7일 (화) 13:53 Smile 토론 기여님이 PrONT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rospective OCT Imaging of Patients with Neovascular AMD Treated with intraOcular Ranibizumab (PrONTO) == 연구의 목적 == OCT를 바탕으로 한 재치료 기준을 제시하였...)
- 2020년 3월 17일 (화)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EXCIT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fficacy and safety of monthly versus quarterly ranibizumab treatment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EXCITE) == 연구의 목적 == ranibizumab...)
- 2020년 3월 17일 (화)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SUSTAI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afety and efficacy of a flexible dosing regimen of ranibizumab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SUSTAIN) == 대상 및 방법 == Off-label, 다기관, 비대조군...)
- 2020년 3월 17일 (화)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SECUR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ong-term safety of ranibizumab 0.5 mg in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SECURE) == 연구의 목적 == 반복적으로 시행한 ranibizumab 주사...)
- 2020년 3월 17일 (화) 1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니비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니비주맙 (ranibizumab) 은 높은 친화력으로 세포 밖의 VEGF와 결합하는, VEGF에 대한 인간화 단일 클론 항체로 <span style='color:blue;'>항원 결...)
- 2020년 3월 17일 (화) 1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VIEW 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VEGF Trap-Eye : Investigation of Efficacy and Safety in Wet AMD 2 (VIEW 2) == 대상 및 방법 == 52~96주 기간 동안 다음의 재치료 기준에 따라 protocol을 변경하였...)
- 2020년 3월 17일 (화) 13:45 Smile 토론 기여님이 VIEW 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VEGF Trap-Eye : Investigation of Efficacy and Safety in Wet AMD 1 (VIEW 1) == 연구의 목적 == 삼출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에서 ranibizumab과 [...)
- 2020년 3월 17일 (화) 13: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애플리버셉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애플리버셉트 (aflibercept) 는 완전인체, 수용성 재조합 decoy VEGF 수용체로 IgG1의 불변 Fc 부위에 융합된 VEGF 수용체-1,2의 주요 세포외 VEGF 결합...)
- 2020년 3월 17일 (화) 13: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anti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는 VEGF<sub>165</sub> 뿐만 아니라 다양하 다른 아형들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 2020년 3월 17일 (화)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페갑타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페갑타닙 (pegaptanib) 은 "2004년 12월에 FDA에 의해서 첫 번째 anti-VEGF 약물로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pegaptanib의 효과는 시력 안정화에 국한되어...)
- 2020년 3월 17일 (화)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드루젠 (drusen) 은 "안저 검사 상 노랗게 보이는 세포외 물질이 침착된 것으로, 전형적으로 망막 색소상피의 바닥막과 브루크막의 내측 아...)
- 2020년 3월 17일 (화)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도 모양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도 모양 위축 (geographic atrophy; GA) 은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위축 형태 중 마지막 단계이며, 망막 색소상피의 저색소 침착 또는 탈색소...)
- 2020년 3월 17일 (화) 1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화 (aging) 는 질병 없이도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물학적 현상으로 각각의 세포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유사 분...)
- 2020년 3월 17일 (화)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 관련 황반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나이 관련 황반병증 (age-related maculopathy; ARM) 은 "1990년대에 소개된 정의로, 50세 이상에서 이러한 황반 중심부의 변성과 함께 시력의 손실을...)
- 2020년 3월 17일 (화)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사선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사선 망막병증 (radiation retinopathy) 은 모세혈과 비관류, 혈관 폐색, 망막 혈관 누출, 신생 혈관을 초래하며 서서히 진행하는 폐색성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1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대동맥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대동맥류 (retinal arterial macroaneurysm; RAMA) 는 주로 큰 망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방추상 혹은 주머니 모양의 후천성 혈관 확장이며, 많은...)
- 2020년 3월 17일 (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스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일스병 (Eales disease) 은 주로 주변부 망막을 침범하는 특발성의 망막 혈관염으로 인한 폐쇄성 혈관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 역학...)
- 2020년 3월 17일 (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혈압 망막병증 (hypertensive retinopathy) 고혈압은 당뇨 망막병증을 악화시키고, 망막 동정맥 폐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계가...)
- 2020년 3월 17일 (화) 01:42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맥락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격한 혈압 상승으로 인한 악성 고혈압은 망막 색소상피와 맥락막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고혈압 맥락막병증 (hypertensive choroido...)
- 2020년 3월 17일 (화)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혈압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혈압 시신경병증 (hypertensive optic neuropathy) 악성 고혈압에서는 시신경 유두의 부종과 시신경 모세혈관의 확장을 동반하는 유두 부종도...)
- 2020년 3월 17일 (화)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동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동맥 폐쇄 (ophthalmic artery occlusion) == 원인 == 경동맥 질환에 의한 색전이나 혈관염에 의하여 발생한다. 안동맥만 선택적으로 폐쇄되는지...)
- 2020년 3월 17일 (화)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망막 동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망막 동맥 (cilioretinal artery) 은 중심 망막 동맥과는 별도로 시신경유두의 이측연에서 나와 망막 황반부와 시신경 유두 사이에 분포...)
- 2020년 3월 17일 (화)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동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동맥 폐쇄 (retinal artery occlusion; RAO) == 원인 == 대부분 그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색전, 혈전 등에 의해 발생한다. == 분류 == * 망...)
- 2020년 3월 17일 (화) 01: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결손 (optic disc coloboma) 은 시신경 유두에 백색의 둥근 사발 모양의 함몰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 역학 == 아주 드물고, 전체...)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망막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망막 결손 (chorioretinal coloboma) == 병태 생리 == 색소 상피와 망막의 각층이 태아 열구에서 서로 유합을 하지 못하여 발생한다. 전구 망막...)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신생 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신생 혈관 (new vessel at iris; NVI))
- 2020년 3월 1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맥 고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맥 고리 (venous looping) 은 정맥이 주행 중 고리 모양을 보이는 것을 말하며, 허혈 부위에서 관찰되어 허혈에 대한 내재적 혈관 변화일 가...)
- 2020년 3월 17일 (화) 01: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염주 정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염주 정맥 (venous beading) 은 "정맥의 심한 확장과 함께 마치 강낭콩 같이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이며, '허혈 지표'라고 불릴 만큼 망막의 허혈...)
- 2020년 3월 17일 (화) 01: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성 삼출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성 삼출물 (hard exudate; HE) 는 "모세혈관에서 지단백이 세포외 공간으로 누출되어 침착된 것이다. == 위험 인자 == 혈중 총 cholesterol 등이 높...)
- 2020년 3월 17일 (화) 01: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 시유발 전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 시유발 전위 (binocular visual evoked potential; binocular VEP) 는 양쪽 눈에 동시에 시자극을 가하여 섬광 혹은 문양 시유발 전위를 측정하게 되...)
- 2020년 3월 17일 (화) 01:2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저 자가 형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저 자가 형광 (fundus autofluorescence; FAF))
- 2020년 3월 17일 (화) 01:28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루레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루레신 (fluorescein) == 광학적 특성 == 수용성의 주황색 색소로 혈중에서 가시광선인 청색 파장의 광선에 자극 받아 녹황색 형광을 발산한...)
- 2020년 3월 17일 (화)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저 사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저 사진 (fundus photo) 은 안저 카메라로 천연색 안저 사진을 찍는 방법이며, 입체 사진을 찍으면 안저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대개...)
- 2020년 3월 17일 (화)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도상 검안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도상 검안경 검사 (indirect ophthalmoscopy) 는 "1947년 Schepens가 처음 도입한 도상 검안경 검사는 안저 검사의 기본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 원리...)
- 2020년 3월 17일 (화)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직상 검안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직상 검안경 검사 (direct ophthalmoscopy) 은 "안저 검사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간단한 검사 방법이다. == 원리 == 환자와 검사자가 모두 정시안인...)
- 2020년 3월 17일 (화) 01:26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 코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성 시신경 유두는 종축이 긴 타원형으로 사축으로 기울어진 형태인 경우가 많으며 이측의 경사 유두가 편평하고 비측의 경계가 돌출...)
- 2020년 3월 17일 (화) 01: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포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포도종 (posterior staphyloma) 은 변성 근시에서 가장 중요한 소견이며, 후포도종과 동반된 황반의 퇴행성 변화가 변성 근시의 주된 실명...)
- 2020년 3월 17일 (화) 01: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락카칠 균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락카칠 균열 (lacquer crack) 은 부르크막의 균열로, 변성 근시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 역학 == 안축장이 26.5mm 이상에서 4.3% 발견된다. == 병...)
- 2020년 3월 17일 (화)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성 중심와 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성 중심와 분리 (myopic foveoschisis) 는 1999년 Takano 등이 시력 저하를 호소하는 변성 근시 환자에서 OCT 촬영을 시도한 결과 황반 원공이...)
- 2020년 3월 17일 (화)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성 황반 원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성 황반 원공 (myopic macular hole; myopic MH) == 병태 생리 == 특발성 황반 원공과는 달리 후포도종에 의한 후극부 확장과 황반부에 부착된...)
- 2020년 3월 17일 (화) 01: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성 근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변성 근시 (degenerative myopia) 는 병적 근시(pathologic myopia)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질환 명칭으로, 굴절력 -6.0 디옵터, 안축장 26mm 이상의 고...)
- 2020년 3월 17일 (화) 00: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특발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특발 언가지모양 혈관염 (acute idiopathic frosted angiitis) " == 역학 == 건강한 어린이나 젊은이에서 발생하며 아급성의 심한 시력 저하를 보...)
- 2020년 3월 17일 (화) 00: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 (secondary frosted branch angiitis) 은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언가지모양 혈관염]...)
- 2020년 3월 17일 (화)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언가지모양 혈관염 (frosted branch angiitis) 은 "1976년 이토 등이 6세 남아에서 처음 보고한 질환으로, 망막 혈관이 심한 초형성을 보여 마치 나...)
- 2020년 3월 17일 (화)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르코이드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르코이드증 (sarcoidosis) 은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육아종성 질환으로, 1869년에 Jonathan Hutchinso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1909년에 Schumaker와...)
- 2020년 3월 17일 (화)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윤상 외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윤상 외망막병증 (acute annular outer retinopathy) 은 급성 구역 잠복 외망막병증의 변형으로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비슷하나, 광시증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평면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평면부염 (pars planitis) 은 "눈더미와 눈덩이를 동반한 원인 불명의 중간 포도막염이다. == 역학 == Thorne et al.은 중간 포도막염의 36%에...)
- 2020년 3월 17일 (화)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터지 웨버 증후군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이상)
- 2020년 3월 17일 (화)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터지-웨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터지-웨버 증후군 (Sturge-Weber syndrome; SWS) 은 "뇌삼차신경 혈관종증(encephalotrigeminal angiomatosis)이라고도 부르며, 안면혈관종, 두개강내 혈관...)
- 2020년 3월 17일 (화) 00:51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범위 맥락막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범위 맥락막 혈관종 (diffuse choroidal melanoma) 은 스터지-웨버 증후군 환자의 40%에서 보이며 주로 소년기에 발견된다. 흔하게 얼굴의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