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1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쇼그렌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쇼그렌 증후군 (Sjogren's syndrome; SS) 은 눈물샘과 침샘을 침범하는 자가 면역 질환이다. == 역학 == 류마티스 관절염에 이어 두번째로 흔한 자...)
- 2020년 3월 16일 (월) 15: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봄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이봄샘 (meibomian gland; MG) 은 위눈꺼풀에 30~40개, 아래눈꺼풀에 20~30개가 존재하고 눈꺼풀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정렬되어 있으며, 눈꺼풀...)
- 2020년 3월 16일 (월) 1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와이번-메이슨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와이번-메이슨 증후군 (Wyburn-Mason syndrome; congenital retinocephalofacial vascular malformation syndrome; CRC syndrome) 은 "망막 및 뇌혈관에서 동맥과 정맥이...)
- 2020년 3월 16일 (월) 1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혈관종 (choroidal hemangioma) 은 맥락막 혈관 종양 중 가장 흔한 양성 종양이다. == 분류 == * 국소형 맥락막 혈관종 (circumscribed) : 전신...)
- 2020년 3월 16일 (월) 15: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모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모반 (choroidal nevus) 은 멜라닌 세포 (melanocyte) 에서 발생한 양성 종양이나,대부분의 맥락막 흑색종이 모반에서 기인했을 가능성...)
- 2020년 3월 16일 (월) 15: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전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전이 (choroidal metastasis) 는 안구 내 악성 종양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 역학 == 암으로 사망한 환자들의 부검 결과 9.3%에서...)
- 2020년 3월 16일 (월) 15: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골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골종 (choroidal osteoma) 은 드문 양성 종양으로 원인과 발생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다. == 역학 == 젊은 여성에서 흔하며 소아에서도 보...)
- 2020년 3월 16일 (월) 1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석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석 변성 (paving stone degeneration; cobblestone degeneration) 은 주변부 망막에 다발성으로 탈색된 동그라미 형태의 모양으로 발견되며, 망막 외층...)
- 2020년 3월 16일 (월) 1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톱니 둘레 진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톱니 둘레 진주 (ora serrata pearls) 는 망막 톱니 둘레 위 또는 앞쪽에 발생히는 기 름 방울같이 반짝이는 공모양 병변으로 망막 톱니 둘...)
- 2020년 3월 16일 (월) 1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평면부 낭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양체 평면부 낭포 (pars plana cyst) 는 망막 톱니 둘레 주위나 바로 앞에 생기는 다양한 크기의 낭포이다. == 역학 == 망막 톱니둘레 굽이에...)
- 2020년 3월 16일 (월) 1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그냥 흰자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그냥 흰자리 (white without pressure) 는 공막 누르기를 시행하지 않아도 망막의 주변부에서 지도 모양의 흰 부분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ultra-...)
- 2020년 3월 16일 (월) 1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눌린 흰자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눌린 흰자리 (white with pressure) 는 도상 검안경 검사 시 공막 누르기를 시행할 때 망막의 주변부에서 지도 모양의 흰 부분이 나타나는 것이...)
- 2020년 3월 16일 (월) 1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부 망막 함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부 망막 함요 (peripheral retinal excavation; vitreous base excavation) 는 "망막 주변부의 둥근 망막 함몰 소견으로, 망막 톱니둘례에서 *0~7.2mm 후부...)
- 2020년 3월 16일 (월) 15: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상피 과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상피 과증식 (pigment epithelial hyperplasia) 은 "만성 유리체 견인에 의한 것으로 종종 유리제 기저, 망박톱니둘례에서 발견되며, 섬모체 평...)
- 2020년 3월 16일 (월) 08:06 Smile 토론 기여님이 투명 각막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투명 각막 절개 (clear cornea incision) == 적응증 == 처음에는 녹내장 여과포가 있거나 항혈전제를 복용하거나 반흔성 천포창, 스티븐-존슨 증후...)
- 2020년 3월 16일 (월) 07: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TSCPC) == 역사 == 1961년 Weeker 등은 Xenon arc 레이저로 공막을 경유해서 섬모체를 광응...)
- 2020년 3월 16일 (월) 06: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경 검사 (gonioscopy) 는 방수 유출로가 있는 전방각을 직접 관찰하는 검사 방법으로 녹내장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검사이다. 이...)
- 2020년 3월 16일 (월) 06: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직접 전방각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전방각경의 종류 == * 쾨페 전방각경 (Koeppe) * 스완-제이콥 전방각경 (Swan-Jacob) == 검사 방법 == 환자를 바로 누이고 Koeppe 전방각경을...)
- 2020년 3월 16일 (월)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표지자 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표지자 방법 (tracer method) 은 안압을 변화시키지 않고 방수의 생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전방으로부터 표지자의 출현 또는 소실의 정도...)
- 2020년 3월 16일 (월)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압력 의존 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압력 의존 방법 (pressure dependent technique) 은 방수 생산의 정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유추해서 계산하는 방법이다. == 원리 == 안구 내로 유체...)
- 2020년 3월 16일 (월) 06: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쉴렘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쉴렘관 (Schlemm's canal) 은 림프관과 닮았고 내피 세포로 된 관이다. 전방각 주위를 일주하는 길이 36mm 정도의 고리 모양이고 내경은 190~370㎛...)
- 2020년 3월 16일 (월) 0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주-쉴렘관 유출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쉴렘관 유출로 (trabeculocanalicular outflow))
- 2020년 3월 16일 (월)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 검안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 검안경 검사 (binocular ophthalmoscopy) 는 골드만 삼면경 렌즈, Hruby 렌즈 혹은 double aspheric biconvex lens를 이용한 세극등 현미경 검사이다. ==...)
- 2020년 3월 16일 (월)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stereoscopic optic disc photography) 녹내장의 존재나 진행 여부는 시신경 유두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영상을...)
- 2020년 3월 16일 (월) 0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야 검사 (perimetry)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야의 섬'이 정상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변화한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 분...)
- 2020년 3월 16일 (월)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앞홍채 섬모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앞홍채 섬모체염 (acute anterior iridocyclitis) 은 안염증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이차 녹내장과 관련되는 안염증 중에서 가장 흔한 종류이...)
- 2020년 3월 16일 (월)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보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보호 (neuroprotection) 는 이차적인 신경 세포의 손상을 막아 중추 신경의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신경 보호의 개념이다. 신경...)
- 2020년 3월 16일 (월) 06: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완-제이콥 전방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완-제이콥 전방각경 (Swan-Jacob gonioscope) == 적응증 == * 내부 절개 섬유주 절개술과 같은 전방각 시술)
- 2020년 3월 16일 (월) 06: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술중 홍채 이완 증후군 (intraoperative floppy iris syndrome; IFIS) 은 "2005년 Chang과 Campbell에 의하여 처음 명명되었다. == 임상 소견 == 홍채의 불안...)
- 2020년 3월 16일 (월)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반응 분석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
- 2020년 3월 16일 (월) 0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이력 (corneal hysteresis; CH) 은 각막에 가해진 힘에 즉각적이지는 않지만 천천히 뒤따라오는 반응으로 원래의 상태로 완벽히 돌아가지...)
- 2020년 3월 16일 (월) 0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 출혈 (hyphema) " == 원인 == 안구가 둔상을 받으면 전방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외에 홍채 혈관신생, 홍채 흑색종, 포도막염, 혈...)
- 2020년 3월 16일 (월) 06: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미세 혈관 탈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미세 혈관 탈락 (choroidal microvasculature dropout, CMvD))
- 2020년 3월 16일 (월) 06: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홍채앞 유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 홍채앞 유착 (peripheral anterior synechia; PAS) 은 홍채와 섬유주 사이의 유착을 말하며, 방수의 유출을 감소시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
- 2020년 3월 16일 (월)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 편위 (corectopia) 는 동공이 눈의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 원인 == 고도 근시 또는 수정체 편위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 깊이 (anterior chamber depth; ACD) == 분류 == * 중심 전방 깊이 * 주변 전방 깊이)
- 2020년 3월 16일 (월)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전방 깊이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CACD) 는 중심부 각막의 후면에서 수정체 전면까지의 거리이며, 원발 폐쇄각 녹내장에서는 전방...)
- 2020년 3월 16일 (월)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든 종류의 원발 폐쇄각 녹내장에서 얕으므로 주변 전방 깊이 (peripheral anterior chamber depth; PACD) 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
- 2020년 3월 16일 (월) 0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
- 2020년 3월 16일 (월)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젠 (XEN) gel implant 는 6mm 의 친수성 튜브이다. == 적응증 == *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 * 충분한 안약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원발 개방각 녹내...)
- 2020년 3월 16일 (월) 0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 스텐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 스텐트 (iStent))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루크막 개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루크막 개방 (Bruch membrane opening; BMO))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평면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양체 평면부 (pars plana) 는 포도막의 섬모체의 한 부분이고, 눈을 구성하는 세 층 중의 중간층이다. 길이는 4mm 정도로 홍채와 공막의 경계...)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낭종 (conjunctival cyst) == 원인 == * 선천적 * 후천적 : 염증이나 봄철 각결막염 후 염증 반응,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외상 후, 수술...)
- 2020년 3월 16일 (월) 06: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시야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시야 결손 (central visual field defect; CVFD) 은 중심 10˚ 내에 P < 0.05 인 연속한 세 개 이상의 점 또는 중심 5˚ 에서 P < 0.01 인 1개 이상의 점...)
- 2020년 3월 16일 (월)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제목 오류)
- 2020년 3월 16일 (월)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색소 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RP) 은 진행성 광수용체의 기능 장애로 양안을 모두 침범하며 시야 손상이 진행하고, 전기 생리검사에...)
- 2020년 3월 16일 (월) 06: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 == 발생 기전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 2020년 3월 16일 (월) 06: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측 시신경 유두 반절 형성 부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측 시신경 유두 반절 형성 부전 (homonymous hemioptic hypoplasia) 은 선천적으로 편측 대뇌반구 병변이 있어 시신경 교차 후방의 시각 경로에...)
- 2020년 3월 16일 (월)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시신경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 시신경 유두 (megalopapilla) 은 "유두가 비정상적으로 크지만 (직경 2.1mm 이상) 형태학적으로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을 말한다. == 역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