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9일 (목) 1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청각 운동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청각 운동 눈떨림 (audiokinetic nystagmus)</b> 은 어두운 곳에서 최전하는 음장에 노출되면 자신이 돌아간다는 착각을 느끼게 되고, 이와 반대...)
- 2020년 3월 19일 (목) 1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관절 운동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관절 운동 눈떨림 (arthrokinetic nystagmus)</b> 은 정상인이 팔을 편 자세에서 다른 사람이 어깨 관절을 옆으로 돌렸을 때 몸이 돌아가는 것 같...)
- 2020년 3월 19일 (목) 1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모음 마비 (convergence paralysis) == 원인 == Walsh와 Hoyt는 가장 흔한 원인은 두부 손상이며 그 외 뇌염, 파종 경화증과 척수로 등도 원인일 수...)
- 2020년 3월 19일 (목) 1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부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모음 부족 (convergence insufficiency)</b> 은 근육 눈피로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 역학 == 특히 <span style='color:blue;'>10대 후반이나 20...)
- 2020년 3월 19일 (목) 1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모음 연축 (convergence spasm)</b> == 원인 == 주 원인은 히스테리라고 생각되며 뇌염, 척수로, 미로 누공, Arnold-Chiari 기형, 뇌하수체 선종, 뒤...)
- 2020년 3월 19일 (목) 1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벌림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벌림 마비 (divergence paralysis)</b> 는 두개강내 또는 다른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되는 눈벌림 부족을 말한다. == 원인 == 척수로, 뇌염,...)
- 2020년 3월 19일 (목) 1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벌림 부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벌림 부족 (divergence insufficiency) 은 "신경학적 증상 없이 생긴다. == 역학 == 노인에서(평균 70세 이상) 많이 발생된다. == 원인 == 특별한 원...)
- 2020년 3월 19일 (목) 1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융합 파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중심 융합 파괴 (central fusion disruption)</b> 는 융합 눈모음과 눈벌림 모두에 장애가 있다. == 원인 == * 중간 뇌혈관 질환, 외상, 종양 등 * 오...)
- 2020년 3월 19일 (목) 1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밀러 피셔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밀러 피셔 증후군 (Miller Fisher syndrome; MFS)</b> 은 "길랑-바레 증후군의 국소 변형으로 조화운동못함증(ataxia), 건반사가 소실되는 무반사(are...)
- 2020년 3월 19일 (목)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섬유증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섬유증 증후군 (congenital fibrosis syndrome; CFS) 1840년 Baumgarten이 눈꺼풀 처짐과 두 눈이 아래로 고정되어 턱을 쳐드는 환자를 처음 기술하...)
- 2020년 3월 19일 (목) 1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뇌신경 이상 지배 질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뇌신경 이상 지배 질환 (congenital cranial dysinneration disorders; CCDD) 은 이상 신경 지배에 의한 여러 증후군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 분류 ==...)
- 2020년 3월 19일 (목) 1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방 유착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지방 유착 증후군 (fat adherence syndrome)</b> 은 Parks가 주장하였으며, 하사근 절제술 혹은 부착부 절단술 후 합병증으로 하사근 절단면 주위...)
- 2020년 3월 19일 (목)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착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착 증후군 (adherence syndrome)</b> 은 외안근 혹은 테논의 염증,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이 원인이 되어 안구 운동 장애를 주는 경우를 말한...)
- 2020년 3월 19일 (목) 1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정 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고정 사시 (strabismus fixus)</b> 는 한눈 혹은 두눈이 심하게 내전 혹은 외전되어 눈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다. == 역학 == 주로 내직...)
- 2020년 3월 19일 (목) 1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력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근력 검사 (force generation test; FGT)</b> == 적응증 == 작용근 마비와 대항근 구축이 있는 경우 외안근 마비 정도를 아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
- 2020년 3월 19일 (목) 1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강조 견인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강조 견인 검사 (exaggerated traction test)</b> 는 "상사근과 하사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다. == 검사 방법 == * 눈벌리개로 눈을 벌린...)
- 2020년 3월 19일 (목) 1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강제 당김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강제 당김 검사 (forced duction test; FDT)</b> == 장점 == 기계적 제한으로 인한 눈운동 장애를 진단하는데 가장 유용하고 간편한 방법이다. ==...)
- 2020년 3월 19일 (목) 1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시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시 검사 (past-pointing) 는 정상안을 가린 후 마비안으로 보면서 마비근 작용 방향의 물체를 가리키도록 하ㅁ녀 그 물체를 지나서 가리키게...)
- 2020년 3월 19일 (목) 1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Bielschowsky head tilt test; BHTT)</b> 는 Hoffman과 Bielschowsky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 회선 수직 마비가 있는 경우에...)
- 2020년 3월 19일 (목) 1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하전근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양하전근 마비 (double depressor palsy; DDP)</b> == 역학 == 매우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주로 선천 마비이지만 후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큐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스큐 편위 (skew deviation)</b> 의 사전적 의미는 '주로 뇌간이나 소뇌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특징적인 활차 신경 또는 상사근의 손상 양상...)
- 2020년 3월 19일 (목) 1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직 1과 1/2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직 1과 1/2 증후군 (vertical one and a half syndrome)</b> 은 "두 눈의 상전 마비와 한 눈의 하전 마비 또는 두 눈의 하전 마비와 한 눈의 상전 마...)
- 2020년 3월 19일 (목) 1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평 1과 1/2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평 1과 1/2 증후군 (horizontal one and a half syndrome)</b> == 원인 == <span style='color:blue;'>안쪽 세로 다발과 같은쪽 PPRF에 병변</span>이 동시에...)
- 2020년 3월 19일 (목) 1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쪽 세로 다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 안쪽 세로 다발 (median longitudinal fasciculus; MLF)</b> 은 입쪽의 riMLF에서 시작하여 꼬리쪽으로 흉추까지 가는 한 쌍의 신경 섬유 다발로 신...)
- 2020년 3월 19일 (목)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전시 상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전시 상전 (elevation in adduction) " == 역학 == 한눈 혹은 두눈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 원인 == * 하사근 기능 항진 : 일차 하사근 기능 항...)
- 2020년 3월 19일 (목) 1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하사근 기능 항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이차 하사근 기능 항진 (second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secondary IOOA)</b> " == 원인 == * 같은쪽 상사근 마비 : 마비된 상사근의 장력이 감소되...)
- 2020년 3월 19일 (목) 12: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차 하사근 기능 항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일차 하사근 기능 항진 (primary inferior oblique overaction; primary IOOA)</b> 은 현재 혹은 과거에 같은 쪽 상사근 마비가 없는 하사근 기능 항...)
- 2020년 3월 19일 (목) 12: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상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항상전 증후군 (antielevation syndrome)</b> Kushner는 하직근 부착부보다 1mm 이상 앞쪽으로 하사근 전치술을 할 경우 <span style='color:blue;'>외전된...)
- 2020년 3월 19일 (목) 12: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빌쇼스키 현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빌쇼스키 현상 (Bielschowsky phenomenon) 은 해리 수직 편위 환자에서 한 눈을 가려서 위로 상전시킨 후 주시안 앞에 중성 필터를 대면 주시안...)
- 2020년 3월 19일 (목) 1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헐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간헐 외사시 (intermittent exotropia; IXT)</b> == 역학 == 여자에서 61~70%의 빈도로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위험 인자 == <span style='color...)
- 2020년 3월 19일 (목) 1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영아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b>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생후 6개월 이후에도 지속되는 사시로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
- 2020년 3월 19일 (목) 1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한눈 주시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한눈 주시 증후군 (monofixation syndrome; MFS)</b> 은 미세 사시(microtropia)라고도 하며, 두눈 주시 때 비주시안에 작은 황반 억제 암점이 존재하...)
- 2020년 3월 19일 (목) 1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기 교대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기 교대 내사시 (periodic alternating esotropia) == 관련 질환 == 주기 교대 눈떨림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발달 지연과 소뇌 위축이 있...)
- 2020년 3월 19일 (목) 1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분 조절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부분 조절 내사시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는 내사시의 일부는 조절 요인에 의해 기인하고 나머지는 조절로 설명이 되지 않는 사시를...)
- 2020년 3월 19일 (목) 12: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굴절 조절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비굴절 조절 내사시 (non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b> 는 원시와 관계 없이 굴절 이상의 교정 후 원거리보다 근거리에서 더 큰 내사시를...)
- 2020년 3월 19일 (목) 1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즘 적응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프리즘 적응 검사 (prism adaptation test)</b> 은 사시 수술 전에 <span style='color:blue;'>근거리 사시각에 해당하는 프리즘을 착용</span>하고 4~10일...)
- 2020년 3월 19일 (목) 1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동 속발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동 속발 외사시 (spontaneous consecutive exotropia) 는 조절 내사시에서 드물게 서서히 외사시로 바뀌는 경우를 말한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상부전 조절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대상부전 조절 내사시 (decompensated accommodative esotropia; DAET)</b> 는 조절 내사시의 일부 환자에서 점차 비조절 내사시로 바뀌는 경우를 말한...)
- 2020년 3월 19일 (목) 12: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티트무스 입체시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 티트무스 입체시 검사 (Titmus stereoacuity test)</b> 는 큰 파리 한 마리와 3줄의 동물 그림, 각각 4개씩의 원이 들어있는 9개의 마름모꼴의 세...)
- 2020년 3월 19일 (목) 1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랑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랑 검사 (Lang test) 어린 아이는 때로 검사용 안경을 아예 쓰지 않으려고 하며, 검사하는 동안 눈의 위치를 관찰해야 하는 경우에 안경이 방...)
- 2020년 3월 19일 (목) 12: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스비 입체시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프리스비 입체시 검사 (Frisby stereoacuity test)</b> == 장점 == - <span style='color:blue;'>안경을 쓰지 않고 할 수 있다</span>. == 검사 방법 == 투명한...)
- 2020년 3월 19일 (목) 12: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시 시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주시 시차 (fixation disparity)</b> 는 967년 Ogle이 처음 명명한 용어로, 정상 양안시의 변형된 형태이다. 외부 상을 볼 때 두 눈 정렬이 미세하...)
- 2020년 3월 19일 (목)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눔 융합 구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눔 융합 구역 (Panum's fusional area) 은 두눈 비대응 망막점이 자극되어도 뇌에서 하나의 물체로 인식하는 호롭터 앞뒤의 한정된 부분 말...)
- 2020년 3월 19일 (목)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호롭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호롭터 (horopter) 는 1613년 Aguilonius에 의해 처음 사용된 오래된 용어로, 일정한 주시 거리에서 주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두눈 망막 대응점에...)
- 2020년 3월 19일 (목) 12: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향 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향 운동 (version) 은 "두 눈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작용하는 외안근은 헤링 법칙에 따라 같은 크기의 자극을 받는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헤링 법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헤링 법칙 (Hering's law) 은 눈 운동이 일어날 때 하나의 외안근에만 자극이 전달되는 경우는 없고, 이 자극들이 한 눈에만 국한되어 외안근...)
- 2020년 3월 19일 (목) 12: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향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향근 (yoke muscle) 은 눈이 동향 운동을 할 때 두 눈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외안근을 말한다. == 분류 == * 내직근 : 반대쪽 외...)
- 2020년 3월 19일 (목) 12: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쉐링톤 법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쉐링톤 법칙 (Sherrington's law)</b> 은 한 눈에 작용근이 수축을 하기 위해 자극을 받게 되면 그 대항근이 같은 강도의 억제 자극을 받...)
- 2020년 3월 19일 (목) 12:26 Smile 토론 기여님이 협동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협동근 (synergist muscle)</b> 은 어떠한 방향으로 눈 운동이 일어나 두 개의 근육이 동시에 수축할 때 이 두 외안근을 서로 협동근이라 부른다.)
- 2020년 3월 19일 (목) 1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항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대항근 (antagonist muscle)</b> 은 작용근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눈 운동을 하는 외안근을 말한다. 한 눈에서의 눈 운동은 작용근의 수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