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6월 19일 (금)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코마이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반코마이신 (vancomycin)</b> 은 페니실린 내성 포도구균에 항균력을 가지는 당펩티드 (glycopeptide) 이다. 세균의 세포벽 형성에 필요한 펩티...)
- 2020년 6월 19일 (금)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팔로스포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 은 페니실린과 마찬가지로 β-락탐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포도구균이 분비하는 페니실린 분해 효소 (penicillinase)...)
- 2020년 6월 19일 (금)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생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항생제 (antibiotics)</b> == 종류 == * 세팔로스포린 * 당펩티드 *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 마크롤라이드 * 플루오로퀴놀론 * ...)
- 2020년 6월 16일 (화) 14: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럭스터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럭스터나 (Luxtuna)</b> 는 유전성 망막 질환 치료제이다. == 기전 == 우리 눈에 있는 광수용체가 망가지면 눈이 멀게 되는데, 럭스터나는 이...)
- 2020년 6월 16일 (화) 05: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보플록사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레보플록사신 (levofloxacin)</b> == 종류 == {{참고|각막}} # 약학 정보원 (https://health.kr))
- 2020년 6월 16일 (화)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목시플록사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목시플록사신 (moxifloxacin HCl 5.45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라이...)
- 2020년 6월 16일 (화) 01: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티플록사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티플록사신 (gatifloxacin)</b>)
- 2020년 6월 16일 (화) 01:00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루오로퀴놀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플루오로퀴놀론 (fluoroquinolone)</b> == 종류 ==)
- 2020년 6월 14일 (일) 13: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혼합 약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녹내장 혼합 약제 (fixed combination drugs)</b> == 효과 == 효과가 있는 한 가지 약물에 또 다른 약물을 추가했을 때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가...)
- 2020년 6월 11일 (목) 0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보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카보머 (carbomer)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카보머의 종류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리포직 점안...)
- 2020년 6월 10일 (수) 15: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섹의 합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라섹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LASEK)</b> == 수술 중 절제 중심 이탈 == 절제 중심 이탈 발생은 자동 안구 추적 장치가 개발된 후 줄어든 상태...)
- 2020년 6월 9일 (화)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 세포 결핍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윤부 줄기 세포 결핍 (limbal stem cell deficiency; LCD)</b> == 원인 == * 선천성 :- 무홍채증 :- 외배엽 이형성증 * 외상성 :- 화학 화상 :- 열 화상 :- 의인성 윤부 줄기세포 결핍 * 자가 면역성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안반흔 유사 천포창 == 임상 소견 == 초기에는 세극등 현미경 상 보크트 울타리(palisade of...".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세포 결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윤부 줄기 세포 결핍 (limbal stem cell deficiency; LCD)</b> == 원인 == * 선천성 :- 무홍채증 :- 외배엽 이형성증 * 외상성 :- 화학 화상 :- 열 화상...)
- 2020년 6월 9일 (화)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 세포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윤부 줄기 세포 (limbal stem cell; LSC)</b>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식 능력이 더 크지만 분화 능력은 더 적으며, 바닥 세포는 각막 상피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keratin 3, 12가 없기 때문에 분화되지 않은 줄기 세포의 한 유형으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줄기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윤부 줄기세포 (limbal stem cell; LSC)</b> 는 각막 상피의 줄기 세포는 윤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윤부의 상피는 각막 상피에 비해 증...)
- 2020년 6월 9일 (화) 02: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식의 합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식의 합병증 (complications of LASIK) == 수술 중 합병증 == === 동공 이분 === === 불규칙하거나 단추 구멍이 생긴 각막 절편 === === 각막 천공 === ==...)
- 2020년 6월 9일 (화) 0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익상편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작성자의 요청: 내용: "<b>익상편 (군날개; pterygium)</b> 은 결막에서 각막 쪽으로 확장하는 삼각형 날개 모양의 섬유혈관 조직으로, 결막 상피와 비후된 결막하 결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열반과 달리 혈관이 매우 풍부하다. 군날개는 검열반으로부터 생길 수 있으며 조직적으로 유사하다. 이 병변은 눈꺼풀 사이 영역...".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2:10 Smile 토론 기여님이 군날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군날개 (익상편; pterygium)</b> 은 결막에서 각막 쪽으로 확장하는 삼각형 날개 모양의 섬유혈관 조직으로, 결막 상피와 비후된 결막하 결...)
- 2020년 6월 9일 (화)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익상편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작성자의 요청: 내용: "익상편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하게는 공막 노출법 부터 복잡하게는 표층 각막 이식술이나 양막 이식술까지 다양하게 시행된다. 다양한 치료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2:0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군날개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군날개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
- 2020년 6월 9일 (화) 01: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결막 회전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가 결막 이식의 최대 단점은 위쪽 결막에서 이식편을 채취하기 때문에 국소적인 안구 표면 질환을 가진 눈에 서 는불충분하다는것이다...)
- 2020년 6월 9일 (화)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결막 윤부 이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자가 결막 윤부 이식 (conjunctival limbal autograft; CLAU)</b> 은 "환자의 건강한 눈의 결막 윤부 조직을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반대편 눈에 이식하는 술기로, 편측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우선적인 치료 방법이다. 고려할 점은 건강한 눈이 향후 윤부세포 결핍이 발생할 위험성이 없어야 한다는 것...".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9일 (화)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윤부 결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자가 결막 윤부 이식 (conjunctival limbal autograft; CLAU)</b> 은 "환자의 건강한 눈의 결막 윤부 조직을 윤부 줄기세포 결핍이 있는 반대편 눈...)
- 2020년 6월 8일 (월) 15: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가 결막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자가 결막 이식 (conjunctival autograft)</b> 은 군날개 제거 후 노출된 공막 부위에 상이측 결막을 떼어낸 후 자가 이식하는 방법으로, 오늘...)
- 2020년 6월 8일 (월) 15: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자가 이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결막 자가 이식 (conjunctival autograft) 은 익상편 제거 후 노출된 공막 부위에 상이측 결막을 떼어낸 후 자가 이식하는 방법이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8일 (월) 14: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노출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공막 노출법 (bare scleral method)</b> 은 1948년 D'Ombrain이 익상편의 두부와 체부를 비측 안쪽 눈구석까지 절제하고 공막 부분은 노출된 채 남겨 재상피화되게 하는 방법을 처음 기술했다. 이는 지금도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span style='color:blue;'>재발을 막지 못하며</span> 아주 작...".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8일 (월) 14: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익상편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익상편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
- 2020년 6월 7일 (일) 1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결석 (concretions) 은 눈꺼풀 결막에서 발견되는 하얗거나 노란 점 모양의 병변으로, 종종 투명한 낭포에 싸여 있다. 결석은 나이 든 사람에서, 혹은 염증에 대한 이차성 반으으로 인해 생긴다. 이러한 변성은 트라코마 감염의 후기에 갖아 흔히 나타나며, 트라코마 감염에서 Herbert씨 함몰과 상부 눈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7일 (일) 12:1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결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결석 (conjunctival concretion)</b> 은 눈꺼풀 결막에서 발견되는 하얗거나 노란 점 모양의 병변으로, 종종 투명한 낭포에 싸여 있다. 결석...)
- 2020년 6월 6일 (토) 1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피-라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에피-라식 (epi-LASIK)</b> 은 알코올 대신 epikeratome 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상피를 분리하고 상피 절편을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상피 절편...)
- 2020년 6월 6일 (토) 02:0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굴절교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굴절 교정 수술 제 3판, 2014 (한국 백내장 굴절 수술 학회, 최신의학사))
- 2020년 6월 4일 (목) 09: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상피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망막 색소상피 박리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PED)</b> == 분류 == === 섬유혈관성 (fibrovascular) === 잠복 맥락막 신생혈관의 한 종류이다. FA 검...)
- 2020년 6월 4일 (목) 06:1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스 (gas)</b> == 역동학 == 가스의 이동은 가스 팽창, 질소 평형, 가스 소멸의 세 가지 상으로 구별된다. 가스는 질소나 물보다 눈 속에 주...)
- 2020년 6월 4일 (목) 0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육불화황 가스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육불화황 (sulfur hexafluoride; SF6) 가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0년 6월 4일 (목) 06: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육불화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육불화황 (sulfur hexafluoride; SF<sub>6</sub>)</b>)
- 2020년 6월 4일 (목) 0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광망막병증 (photic retinopathy)</b> == 종류 == * 일광 망막병증 * 용접 광망막병증 * 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 2020년 6월 4일 (목) 00: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술 <b>현미경 연관 광망막병증 (microscope related retinopathy)</b> == 역사 및 역학 == 수술 현미경 노출과 황반 손상과의 관련성은 1977년에 처음...)
- 2020년 6월 3일 (수) 15: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리체 절제술 (vitrectomy)</b> == 역사 == 1863년 von Graefe에 의하여 유리체막이 성공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시작되었다. 1960년대 Kasner는 심한...)
- 2020년 6월 3일 (수) 1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정상 후유리체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비정상 후유리체 박리 (anomalous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APVD)</b> 는 노화의 정상적인 과정 중에 후유리체가 내경계막에서 깨끗이 박리...)
- 2020년 6월 3일 (수) 1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B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r /> )
- 2020년 6월 3일 (수) 13: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mCNV)</b> == 역사 == 1901년 Fuchs가 고도 근시에서 발생한 망막 색소상피가 뭉친 원형의...)
- 2020년 6월 3일 (수)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후 맥락막 색소상피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비후 맥락막 색소상피병증 (pachychoroid pigment epitheliopathy; PPE)</b> {{참고}})
- 2020년 6월 3일 (수) 12: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후 맥락막 신생혈관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후 맥락막 신생혈관병증 (pachychoroid neovasculopathy) {{참고}})
- 2020년 6월 2일 (화) 01: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깜박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 깜박임 (blinking)</b> 은 불수의적인 반응이고 1분에 15~18회 정도 하며 횟수와 형태는 다양하다. 정상적인 눈 깜박임은 안윤근의 전검판...)
- 2020년 6월 1일 (월) 04: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토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토안 (토끼눈증; lagophthalmos)</b> 은 눈꺼풀을 온전하게 닫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 2020년 6월 1일 (월)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렌즈 (contact lens) == 세계 역사 == === 시초 === 1508년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가 개념을 처음 발표하였다. 다빈...)
- 2020년 5월 30일 (토) 15: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함수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함수율 (water content)</b> 은 렌즈의 총 무게 중 함수된 물의 무게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표현된다. <pre>함수율 =...)
- 2020년 5월 30일 (토) 15:2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각막 3판, 2013 (한국 외안부 학회, 일조각))
- 2020년 5월 30일 (토)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소프트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soft contact lens; SCL))
- 2020년 5월 30일 (토) 1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성 콘택트 렌즈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