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1년 9월 26일 (일) 01: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 취소했습니다 (판 7개)
- 2021년 9월 26일 (일) 01: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이차 언가지 혈관염 (secondary frosted branch angiitis)'''{{망막}} 은 바이러스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언가지 혈관염을 말한다. == 원인 ==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눈 톡소플라즈마증, 전신성 루푸스, 크론씨병, 베체트병, 피부근염, 눈 매독, 사르코이드증...".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9월 26일 (일)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이차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26일 (일)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 혈관 내피 성장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항 혈관내피 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26일 (일)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관 줄무늬 망막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혈관줄무늬 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24일 (금) 0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액 방수 장벽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혈액-방수 장벽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24일 (금)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모세포종/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과거 '''망막 모세포종 의 치료''' 는 외부 방사선 치료에서 전신 화학요법으로의 변화가 있었으며, 최근 10년간 유리체내 화학요법 및...)
- 2021년 9월 23일 (목) 1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외부 사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틀:외부사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23일 (목) 08: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낭 절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낭 절개술 (posterior capsulotomy)'''{{백내장}} == 효과 == 시술 후 약 83~96%에서 시력 개선이 있었다. == 적응증 == 후낭 혼탁을 인해 발생한 시...)
- 2021년 9월 23일 (목) 07:52 Smile 토론 기여님이 Phakomatous choristom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hakomatous choristoma 는 1971년 Zimmerman<ref>Zimmerman LE. Phakomatous choristoma of the eyelid. A tumor of lenticular anlage. ''AJO''. 1971 Jan;71(1 Pt 2):169-77. [https://pubmed...)
- 2021년 9월 23일 (목) 07: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낭 (retinal cyst)'''{{망막}} 은 망막내층에 고인 국소적 액체강으로 경계가 명확하고 표면이 부드러운 반투명의 망막 융기의 형태로 나...)
- 2021년 9월 16일 (목) 1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폐쇄각 녹내장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b>폐쇄각 녹내장 (angle-closure glaucoma; ACG)</b> 은 다른 병적인 요인이 없이 섬유주와 홍채가 접촉하여 전방각이 폐쇄되고, 그 결과 방수 유출 장애로 발생하는 녹내장이다. == 역학 == 폐쇄각 녹내장의 유병률은 눈의 안구 계측치와 관계가 있으며, 좁은 전방각을 첫째 원인으로 본다. 안구 계측치는 주로...".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9월 16일 (목) 08: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임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임신기간 중 반드시 약물을 써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진행 속도가 빠르지 않고 비교적 초기에 발견된 녹내장이라면 임신기간 중 약물을...)
- 2021년 9월 15일 (수)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망막}}{{녹내장}} 은 비침습적으로 망막과 맥락막의 혈관들을 보여주는...)
- 2021년 9월 13일 (월) 08: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정점간 거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점간 거리 (vertex distance)''' 는 안경, 콘택트 렌즈 와 같은 교정 렌즈의 후면과 각막의 전면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 2021년 9월 10일 (금) 1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형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변형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modified prostaglandin analogs)''' 는 기존의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안압하강 효과에 질소산화물의 작용으로...)
- 2021년 9월 10일 (금) 12: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락 억제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락 억제제 (ROCK inhibitor; Rho-assisted kinase inhibitor)''' == 종류 == === 리파수딜 (ripasudil) === 녹내장 치료 시 최대 약물을 사용해도 통제가 잘 안...)
- 2021년 9월 9일 (목) 13: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내피 세포 밀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각막 내피세포 밀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9일 (목)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시타자노라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시타자노라스트 (acitazanolast)''' 는 항히스타민 제제들과 달리 비만세포 안정화를 주된 작용으로 하는 알레르기 치료제로 비만 세포를...)
- 2021년 9월 9일 (목) 09: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도베실산 칼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도베실산 칼슘 (calcium dobesilate)'''{{망막}} 은 약 40년 전에 당뇨 망막병증과 만성 정맥 부전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고, 약 25년 전에 유럽...)
- 2021년 9월 6일 (월) 05: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저플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리저플로 (PRESERFLO®)''' 미세 우회 수술은 InnFocus Microshunt 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외측에서 접근하지만 (''ab externo'') 미국 녹내장 학회 (A...)
- 2021년 9월 5일 (일) 1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신생 혈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홍채 신생혈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9월 1일 (수) 1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LOTU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ong-Term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afluprost, Travoprost, and Latanoprost in Korean Patients with POAG or NTG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녹내장}} == 목적 ==...)
- 2021년 8월 26일 (목) 1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 박리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각막}} == 원인 == 대개 안내 수술, 알칼리에 의한 화학 손상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되나, 특발성...)
- 2021년 8월 25일 (수) 01: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해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섬모체 해리 틈새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5일 (수) 01: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해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해리 (cyclodialysis)'''{{녹내장}} 는 포도막과 공막 사이가 분리되는 것으로서 외상이나 수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데 크기가 아주 작...)
- 2021년 8월 22일 (일) 1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측 반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대부분의 비측 시야 결손은 활모양 (arcuate) 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 시신경 유두 부종, 시신경 유두 드루젠, 녹내장 같은 시신경의 만...)
- 2021년 8월 21일 (토)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방수 흐름 이상 증후군 (aqueous misdirection syndrome)'''{{백내장}} 은 홍채 절개창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얕거나 소실된 전방 소견을 보이며 상...)
- 2021년 8월 21일 (토)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세포 (Photoreceptor cells)'''{{망막}} == 구조 == === 외절 (outer segment) === === 결합 섬모 (connecting cilium) === === 내절 (inner segment) === == 분류 == 사...)
- 2021년 8월 21일 (토) 03: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절 세포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신경절세포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1일 (토)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상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색소상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1일 (토)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세포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세포층 (photoreceptor layer, PRL)'''{{망막}} 에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의 외절과 내절이 포함된다. 뮬러세포의 망막 색소상피 쪽을...)
- 2021년 8월 21일 (토)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과립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외핵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1일 (토)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과립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내핵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뮬러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뮬러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성상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성상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절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신경절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상간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상간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축삭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무축삭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1: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평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수평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20일 (금)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신경 섬유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신경섬유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18일 (수) 0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프숨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레프숨병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18일 (수) 04: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망막}} 은 라이소좀에 복합 물질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진행성의 신경퇴행성 질환...)
- 2021년 8월 18일 (수) 0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바텐 병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바텐 병 (Batten diseas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NCL) 은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군으로 리소좀 내 다양한 물질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1년 8월 18일 (수) 04: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니어-로큰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니어-로큰 증후군 (Senior-Löken syndrome, SLS)'''{{망막} 은 망막 색소변성과 콩팥 황폐증 (nephronophthisis, NPHP) 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대부분...)
- 2021년 8월 18일 (수) 04: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버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버트 증후군 (Joubert syndrome)'''{{망막} == 유전 == 흔하게 발견되는 원인 유전자는 ''AHI1'', ''INPPtE'', ''ARL13B'', ''CC2D2A'' 이다. ''AHI1''은 소포...)
- 2021년 8월 18일 (수) 01: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색소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16일 (월) 13: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해면 정맥굴 혈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해면 정맥굴 혈전증 (cavernous sinus thrombosis))
- 2021년 8월 16일 (월) 13: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레스넬 프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레스넬 프리즘 (Fresnel prism)'''{{신경안과}} 은 1971년 Jampolsky 등이 polvinyl chloride 재질의 프리즘을 복시 환자의 치료에 사용한 증례를 보...)
- 2021년 8월 16일 (월)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리즘 (prism)'''{{신경안과}} 은 빛의 방향을 바꾸어 편위된 눈의 중심와 또는 융합 가능한 범위 내로 물체의 상을 옮겨 복시를 교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