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틱 (tic)''' 이란 불수의적인, 갑작스러운, 반복적인, 목적이 없는, 리듬이 없고, 상동적인 근육의 움직임 또는 소리냄으로 정의한다. 저항...)
- 2022년 2월 22일 (화)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뚜렛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뚜렛 증후군 (Tourette Syndrome)''' 은 1885년 프랑스 신경과 의사인 Gerges Gilles de la Tourett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는데, 18세 이전에 발생하는 갑...)
- 2022년 2월 21일 (월) 0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 부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부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8일 (금)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펜디메트라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펜디메트라진 (phendimetrazine)'''<ref>허현도 외,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JKOS'' 2012;53(6):895-900</ref> 은 교감신경 흥분제...)
- 2022년 2월 18일 (금) 00: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6일 (수) 02: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상피 파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색소상피 파열 (RPE tear)'''{{망막}} 은 찢어진 망막 색소상피층이 안으로 접혀 말리면서 신생혈관을 감싸는 형태를 취한다<ref>Chuan...)
- 2022년 2월 16일 (수) 01: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혈광종 증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혈관종 증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6일 (수)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혈광종성 증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혈광종 증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5일 (화) 17:59 Smile 토론 기여님이 HAWK and HARRI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HAWK (Efficacy and Safety of RTH258 vs Aflibercept : Study 1) and HARRIER (Study 2)'''{{망막}}<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Study Investigators. HAWK and HARRIER : P3, Mu...)
- 2022년 2월 15일 (화) 17:42 Smile 토론 기여님이 OSPREY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Dugel PU et al. Brolucizumab vs Aflibercept in Participants with wAMD : A Randomized Trial. ''Ophthalmology''. 2017 Sep;124(9):1296-1304. [https://pubmed.ncbi.nlm.nih.gov/2855116...)
- 2022년 2월 15일 (화) 17: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롤루시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롤루시주맙 (brolucizumab, Beovu)'''{{망막}} 은 2019년 새롭게 FDA 승인된 치료제로, 단일 사슬 항체 분절 (single-chain Ab fragment) 로 모든 아형 VEG...)
- 2022년 2월 15일 (화) 16:0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상형 가성 드루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상 가성 드루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5일 (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반/노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화는 질병 없이도 발생하는 기본적인 생물학적 현상으로 각각의 세포는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된 수명을 가지고 있다. 유사 분열되어...)
- 2022년 2월 15일 (화)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VEGF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혈관내피 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5일 (화) 13:2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관내피 성장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VEGF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5일 (화) 01: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관련 황반변성/유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omplement component 3 == AMD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 져 있지만24*25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에서는 다형성 (polym...)
- 2022년 2월 15일 (화) 00: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 관련 황반변성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변성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5일 (화)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이 관련 황반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나이관련 황반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4일 (월)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슐린양 성장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인슐린양 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4일 (월) 0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4일 (월) 01: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당뇨 망막병증/발생 기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혈당은 세포 내에도 고혈당을 유발하여 혈관확장인자 (예, nitric oxide)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혈관수축인자(예,endothelin-1 [ET-1], angiotensin II)...)
- 2022년 2월 14일 (월)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낭포 황반 부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낭포 황반부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4일 (월) 00: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 혈관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이차 언가지 혈관염".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2월 13일 (일) 0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 콘택트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막 콘택트렌즈'''{{콘택트렌즈}} 는 각막의 경계를 넘어서 공막 위에 놓이는 15~25mm 직경의 RGP 콘택트렌즈이다. 최근 공막 콘택트렌즈는...)
- 2022년 2월 13일 (일)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추 각막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원추각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3일 (일) 0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원추 각막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후부 원추각막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2일 (토) 17:16 Smile 토론 기여님이 1과 1/2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과 1/2 증후군 (one-and-a-half syndrome)'''{{신경안과}} 은 뇌간의 한쪽 내측 종속 (MLF) 과 같은 쪽 정중 곁다리뇌 그물체 (PPRF) 병변이 동시에 있...)
- 2022년 2월 12일 (토) 1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Mobile.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 CSS 설정은 모바일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적용됩니다: .externalimage-div { position: relative; } .externalimage-div img { width: 100%;...)
- 2022년 2월 11일 (금)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토실리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토실리주맙 (Tocilizumab, TCZ)''' (RoActemra, Hoffman-La Roche Ltd., Basel, Switzerland) 은 인간 IL-6 수용체에 대한 단클론 항체이다. 미국 FDA 에서 류마티...)
- 2022년 2월 11일 (금) 13: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교차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교차염 (optic chiasmal neuritis)'''{{신경안과}} 은 수직 경선을 따르는 양안의 귀쪽 시야 결손과 함께 영상학적 검사에서 시교차의 염...)
- 2022년 2월 11일 (금) 1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헐 내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간헐 내사시 (intermittent esotropia)'''는 간헐적으로 융합눈벌림이 깨질 때 내사시가 나타나는 질환<ref name="1">von Noorden GK et al. Binocular vision a...)
- 2022년 2월 10일 (목) 1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모덱스 눈꺼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모낭충 눈꺼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0일 (목) 1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낭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낭충 (Demodex) 은 인체의 피부에서 발견되는 가장 흔한 외부 기생충으로 여러 피부 질환들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ref>Luo X et al. Ocular Demod...)
- 2022년 2월 7일 (월) 1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면 화염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면 화염 혈관종 (port sine stain, nevus flammeus)''' 은 출생 시부터 나타나 성인까지 지속되는 선천 혈관 병변으로, 삼차신경의 피부 분지를...)
- 2022년 2월 6일 (일) 04: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미세 펄스 공막 경유 레이저 치료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6일 (일)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윤부 유피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윤부 유피종 (limbal dermoid)''' 은 분리종 (choriostoma) 의 일종으로 외배엽과 중배엽 기원의 조직으로 이루어진 선천 양성 종양이며<ref>Mansour...)
- 2022년 2월 4일 (금)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유주 광응고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3일 (목) 1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MP3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미세 펄스 공막 경유 섬유주 광응고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3일 (목) 1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Cyclo G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yclo G6 녹내장 레이저 장치''' (Iridex Corporation, Mountain View, CA, USA)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Cyclo G6 장치에 사용되는...)
- 2022년 1월 30일 (일) 04:52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파수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파수딜 (ripasudil)''' (Glanatec; Kowa Co., Aichi, Japan) 은 2014년에 일본에서 고안압 및 녹내장의 치료제로 최초로 허가된 점안용 락 억제제...)
- 2022년 1월 30일 (일) 0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프레네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프레네팍 (taprenepag isopropyl, PF-04217329)''' 은 토끼, 개, 영장류의 고안압 및 녹내장 모델에서 발견되는 카르복실 유리산 (CP-544326) 의 전구...)
- 2022년 1월 30일 (일) 04: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가네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가네팍 (aganepeg isopropyl, AGN-210961)''' (Allergan) 은 EP2 작용제이며, 서방형 (SR) 제형도 AGN-210669 으로 개발 중이다. == 효과 == 안압 하강 효과...)
- 2022년 1월 30일 (일) 04:11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생활 습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운동 == 물구나무 서기 및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요가 자세는 안압을 15~30 mmHg 까지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ef>Baskaran M et...)
- 2022년 1월 27일 (목) 14: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로스타노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종류 == * 프로스타글란딘 : 염증, 과민증 반응의 매개체 * thromboxane : 혈관 수축의 매개체 * prostacyclin == 수용체<ref>Alexander SP et al; CGTP Collab...)
- 2022년 1월 27일 (목) 13: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로스타글란딘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23일 (일)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NCX 47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연구 == 녹내장, 고안압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한 비임상 약물 연구에서 NCX 470 의 안압 하강 효과는 같은 몰농도의 비마토프로스트보...)
- 2022년 1월 23일 (일) 01: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형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월 22일 (토) 14: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네타르수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네타르수딜 (Netarsudil, Rhopressa, Aerie Pharmaceuticals, Inc., Durham, NC, USA)'''{{녹내장}} 은 Rho-kinase inhibitor 에 노르에피네프린 수송체 억제제를 결...)
- 2022년 1월 22일 (토) 14: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로클라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로클라탄 (Roclatan, PG324, Aerie Pharmaceuticals, Inc.)'''{{녹내장}} 은 0.02% netarsudil 과 0.005% 라타노프로스트 복합 제제로 하루 1회, 저녁 점안...)
- 2022년 1월 5일 (수) 14:01 Smile 토론 기여님이 Use of OCT retinal thickness deviation map for HCQR screen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Use of OCT Retinal Thickness Deviation Map for Hydroxychloroquine Retinopathy Screening<ref>Kim KE et al. Use of OCT Retinal Thickness Deviation Map for Hydroxychloroquine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