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6월 12일 (일)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성 시신경 교종 (benign optic nerve glioma)'''{{신경안과}} 은 등급 1인 털모양 성상세포종 (pilocytic astrocytoma) 이다. == 역학 == 일반적으로는 잘...)
- 2022년 6월 11일 (토)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안 복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안 복시 (monocular diplopia)'''{{신경안과}} 는 한 눈을 가렸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복시를 말한다. == 원인 == 굴절 이상, 특히 교정되지...)
- 2022년 6월 11일 (토) 15: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피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피로 (eyestrain)'''{{신경안과}}분류:신경안과 는 불편하게 보이는 거리에서 지속적인 시각 과제를 시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이마의...)
- 2022년 6월 11일 (토) 1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두 신경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후두신경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11일 (토) 1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조짐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out aura)'''{{신경안과}} == 역학 == 편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증상 ==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
- 2022년 6월 11일 (토)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CNTG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CNTG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5일 (일) 1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짐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 aura) == 조짐 == 전형적으로 시각, 감각, 언어 증상이 각각 혹은 섞여 나타난다. 점진적으로 나타나 1시간 이내로...)
- 2022년 6월 5일 (일) 1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종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종양 (optic nerve tumors)'''{{신경안과}} == 역학 == 전체 안와 종양의 10% 미만을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 분류 == === 원발 종양 === 시...)
- 2022년 6월 5일 (일) 1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시신경 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시신경 교종 (malignant optic nerve glioma)''' == 역학 == 매우 드문 종양으로 성인에서, 남녀 비슷하게 발생한다<ref>Wabbels B et al. Unilateral adu...)
- 2022년 6월 5일 (일)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특발 두개내 고혈압".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6월 5일 (일)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문서를 특발 두개내 고혈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5일 (일)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기저 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문서를 뇌기저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5일 (일) 02: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호르너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호너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3일 (금) 14:47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뇌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color=9BA3EB|뇌신경 |- |1번 : 마비|2번: |})
- 2022년 6월 3일 (금)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소니아지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소니아지드 (isoniazid)'''는 에탐부톨과 유사한 시신경병을 일으킬 수 있다. 간, 신장 질환 환자에서 독성 시신경병증이 발생할 위험...)
- 2022년 6월 2일 (목) 1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ENV51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NV515''' (Envisia Therapeutics, Morrisville, NC, USA) 는 막대 모양의 삽입물로 트라보프로스트를 6~12개월 방출한다. == 연구 == === 전임상 연구 ===...)
- 2022년 6월 1일 (수) 09:38 Smile 토론 기여님이 ARTEMIS 1 (202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논문 |Phase 3, Randomized, 20-Month Study of Bimatoprost Implant in OAG and OHTN (ARTEMIS 1)<ref>Medeiros FA et al; ARTEMIS 1 Study Group. P3, Randomized, 20m Study of Bimatoprost...)
- 2022년 5월 31일 (화) 14: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앨리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Alice in Wonderland syndrome, AIWS) 은 신체 형상이 왜곡되어 보이는 것이다. == 역사 == 1955년 Todd가 자신의 논문에...)
- 2022년 5월 31일 (화)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네졸리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네졸리드 (linezolid)''' 는 21세기 초에 심각한 술후 염증, 연부 조직 감염, 생명을 위협하는 그람 양성 균의 감염에 임상적 첫 사용 이후...)
- 2022년 5월 7일 (토)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도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도즈 (iDose ®)'''{{녹내장}} (Glaukos, San Clemente, CA, USA) 는 트라보프로스트를 전방에 6개월 또는 그 이상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미세한...)
- 2022년 5월 4일 (수) 08: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프니아 알베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하프니아 알베이 (Hafnia Alvei)''' 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혐기성 그람 음성 막대균으로 면역 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는 흔하지 않은 병...)
- 2022년 5월 4일 (수) 08:03 Smile 토론 기여님이 N-아세틸시스테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아세틸시스테인 (N-acetylcysteine, NAC)''' == 기전 == 점액을 용해시키거나 줄이는 제제로 점액단백질 이황화물 (mucoprotein disulfide) 결합을 끊...)
- 2022년 5월 2일 (월) 14: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듀리스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듀리스타 (Durysta™)''' (Allergan plc, Dublin, Ireland) 는 비마토프로스트의 전방내 이식물로 개방각 녹내장 (OAG) 과 고안압 (OHTN) 에 대해 사...)
- 2022년 4월 30일 (토)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윤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윤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30일 (토) 12: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방수/생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녹내장}} == 기전 == 방수는 섬모체 돌기 모세혈관의 혈장으로부터 유래하며 방수의 여러 성분은 후방에 도달하기 위하여 섬모체 돌기의 3...)
- 2022년 4월 25일 (월) 0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angle)'''{{녹내장}} 은 홍채와 각막이 약 45˚의 각도로 만나서 'V' 모양으로 만들고 있는 구조로 홍채-각막각 (iridocorneal angle) 이라...)
- 2022년 4월 20일 (수) 08: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지속 각막상피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지속 각막상피 결손 (persistent epithelial defects, PED)''' 은 표준적인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고 14일 이상 지속되는 각막상피 결손을 말한다<ref>...)
- 2022년 4월 20일 (수) 07: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르테조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보르테조밉 (Bortezomib)''' (Bortevel®, Logenex Pharm GmbH, Hamburg, Germany) 은 프로테아좀 (proteasome) 억제제로 세포의 항상성을 파괴하여 세포 사멸...)
- 2022년 4월 20일 (수) 04:48 Smile 토론 기여님이 Phaco cho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haco chop''' 방법은 1993년 Nagahara가 수정체를 결이 있는 나무 토막에 비유하며 도입한 핵 쪼개기 방법으로, 진공으로 수정체를 고정한 뒤...)
- 2022년 4월 18일 (월) 1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난원공 개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난원공 개존 (patent foramen ovale, PFO)''' 은 심방간 중격의 발생학적 결손으로 인해 출생 후에도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은 상태로, 성인의 15...)
- 2022년 4월 18일 (월)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호모시스테인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호모시스테인혈증 (hyperhomocysteinemia)'''{{신경안과}} == 관련 질환 == 죽상 동맥경화증의 강력한 유발 요인으로서 관상동맥 질환, 심부정...)
- 2022년 4월 18일 (월) 0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소관 관류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눈물소관 관류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7일 (일) 12:26 Smile 토론 기여님이 낭포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낭포 변성 (cystoid degeneration)'''{{망막}} == 역학 == 주변부 망막 변성 중 가장 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망막 주변부의 낭포변성 자체는...)
- 2022년 4월 17일 (일) 01:25 Smile 토론 기여님이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 (degenerative retinoschisis)''' 는 노년 층간분리 (senile (acquired) retinoschisis) 라고도 불리우는 원인 불명의 주변부 망막 질...)
- 2022년 4월 17일 (일)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평면부 낭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평면부 낭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7일 (일) 01: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톱니 둘레 진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톱니둘레 진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7일 (일) 00: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아 돌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톱니둘레 돌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7일 (일)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부 망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부 망막 변성'''{{망막}} == 발달 변형 == 망막 톱니둘레는 분화 과정에서 주변에 여러 정상변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부위의 정상변...)
- 2022년 4월 16일 (토) 15: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소대 견인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섬모체 소대 견인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5일 (금) 0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열공 망막 박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열공 망막박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5일 (금)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증식 유리체망막병증/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대부분 수술적 접근법이다. 망막앞 증식은 일정한 시간경과를 따라 진행하는데, 대부분 망막앞막의 발생, 성숙 및 안정 과정이 8주...)
- 2022년 4월 15일 (금) 0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4월 15일 (금) 0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문서를 증식 유리체망막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3일 (수) 14: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구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콜라겐 == 콜라겐은 가장 중요한 구조 단백질로 유리체내에는 여러 종류의 콜라겐 섬유들이 섞여 있다. 유리체 내에는 2형 콜라겐 (75%)...)
- 2022년 4월 13일 (수)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눌린 흰자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눌러 흰자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2일 (화) 08: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슈퍼이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슈퍼이글 (SuperEagle) 눈물점 마개'''{{각막}} (EagleVision, Denville, NJ, USA) {{외부사진 |주소=https://199752-598097-raikfcquaxqncofqfm.stackpathdns.com/pub/media/...)
- 2022년 4월 12일 (화) 08: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스엠 눈물점 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스엠 눈물점 마개 (SM plug)''' 는 (주) SM Eng 에서 생산한 눈물점 마개로 생분해성 재료인 polydioxanone 으로 만들어졌으며, 6개월간 유지...)
- 2022년 4월 12일 (화) 08:37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라솔 눈물점 마개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파라솔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4월 12일 (화) 08: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크리프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크리프로 (LacriPro) 눈물점 마개'''{{각막}} (Lacrimedics)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LacriPro Punctum Plug |- !크기 (mm)||제...)
- 2022년 4월 12일 (화) 08: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크로플로 눈물점 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이크로플로 눈물점 마개 (Micro Flow™ punctum plug)'''{{각막}} (Beaver-Visitec international, Inc., Waltham, MA, USA) == 종류<ref>BVI medical [https://www.bvimed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