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2월 7일 (화)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테시돌루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테시돌루맙 (tesidolumab, LFG316))
- 2023년 2월 7일 (화)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쿨리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쿨리주맙 (eculizumab)'''{{망막}} 은 C5 억제제이다. == 연구 == === COMPLETE<ref>Yehoshua Z et al. Systemic complement inhibition with eculizumab for GA in AMD : the...)
- 2023년 2월 6일 (월) 09: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람팔리주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람팔리주맙 (lampalizumab)'''{{망막}} 은 보체 인자 D를 억제하는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의 항원 결합 분절이다. == 연구 == === CHROMA === === SPECTRI...)
- 2023년 2월 6일 (월) 05: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페그세타코플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페그세타코플란 (pegcetacoplan, APL-2)''' == 효과 == 보체계의 활성을 줄인다.)
- 2023년 2월 5일 (일) 14:34 Smile 토론 기여님이 배양 인간 각막 내피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배양 인간 각막 내피세포 (cultured human corneal endothelial cells, CHCEC)'''{{각막}})
- 2023년 2월 5일 (일)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티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티산 (Artisan®)''' (Ophtec BV, Groningen, Netherlands) 은 비교적 움직임이 적은 홍채 중간 부위를 enclavation으로 렌즈 지지부 집게발에 고정시키...)
- 2023년 2월 5일 (일) 14: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티플렉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티플렉스 (Artiflex®)'''{{각막}} (Ophtec BV, Groningen, Netherlands) == 장점 == 아티산 렌즈의 장점을 가지면서 더 작은 3.2 mm 의 절개창을 통해...)
- 2023년 2월 5일 (일) 1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코올 각막 상피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코올 각막 상피 박리 (alcohol delamination of the corneal epithelium, ADCE)''')
- 2023년 2월 3일 (금) 1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혈관 신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주변 신생혈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3일 (금) 1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신생 혈관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유두 신생혈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3일 (금) 1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범망막 광응고술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범망막 광응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3년 2월 1일 (수) 1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바미피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바미피드 (rebamipide)'''{{각막}}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레바미피드 20mg/ml 약제의 종류 |- !제품명||용...)
- 2023년 1월 30일 (월) 15: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루센비에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루센비에스 (LucenBS, CKD-701)''' 는 라니비주맙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순도 루센티스 동등 생물 의약품 (biosimilar) 이다. 종근당의 순수 독...)
- 2023년 1월 30일 (월) 13:58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버티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버티7 (LiberT7)'''{{백내장}}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친수성 1-piece 인공수정체 |- |재질||함수율 25%의 자외선 흡...)
- 2023년 1월 22일 (일) 08: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길''' == 발생 == * 태생 4주 : 눈물길 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 5주 : 외배엽이 함입되면서 코안과 안쪽 눈구석까지 확장되는 뼈의...)
- 2023년 1월 22일 (일) 08: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연조직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연조직염 (eyelid cellulitis)'''{{성형안과}} 는 안와사이막앞 연조직염 (preseptal cellulitis) 이라고도 불리며, 안와 경계에서 눈꺼풀판까...)
- 2023년 1월 16일 (월) 05: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결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결핵 (ocular tuberculosis)''' 의 경우 폐외 결핵의 드문 형태이다. == 전파 경로 == * 혈액으로 이차 전파 * 코곁굴로부터의 직접 전파)
- 2023년 1월 4일 (수)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경계부 상피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경계부 상피병 (lid wiper epitheliopathy)''' == 병인 == 눈물막이 불안정한 경우, 눈꺼풀 경계부에 마찰이 증가하고 윤활이 부족하...)
- 2023년 1월 4일 (수) 0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경계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경계부 (lid wiper)''' 는 마이봄샘 뒤쪽에서 눈꺼풀판밑 (subtarsal fold) 에 이르는 부분이다. == 기능 == 눈을 깜빡일 때 눈꺼풀 가장자...)
- 2023년 1월 2일 (월) 05:19 Smile 토론 기여님이 COVID-19 백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VID-19 백신''' == 배경 ==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COVID-19를 극복하기 위한 SARS-CoV-2 백신의 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되었...)
- 2023년 1월 2일 (월) 05:10 Smile 토론 기여님이 COVID-19 백신 (mRN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VID-19 백신 (mRNA)''' 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 정보를 주사하는 방식인 유전자 백신이다. == 기전 ==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물...)
- 2022년 12월 26일 (월) 17:2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매독 점상 내망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매독 점상 내망막염 ((syphilitic punctate inner retinitis, SPIR)'''{{망막}} 은 눈 매독에 의한 비전형적인 비전형적인 후포도막염이며, 그 임...)
- 2022년 12월 26일 (월) 17: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후천 면역 결핍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26일 (월) 16: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타 모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타 모반 (nevus of Ota)'''{{각막}} 은 안와 주위 피부와 안구에 청색 또는 갈색의 색소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병변이다<ref>김민지...)
- 2022년 12월 26일 (월) 1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회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회선 (ocular torsion)'''{{사시}} 은 안구의 전후축을 중심으로 안구가 해부학적으로 회전된 상태를 말하며, 수평 및 수직 안구 정렬과...)
- 2022년 12월 25일 (일) 01: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포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포트 증후군'''{{망막}} 은 신장 질환, 감각신경성 난청, 안구 이상을 동반하는 유전 질환으로 1927년 Cecil A. Alport가 영국의 한 가정에서...)
- 2022년 12월 25일 (일) 00: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분층 황반 원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부분층 황반원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2월 2일 (금) 14: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멜라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멜라닌 (melanin)''' == 분포 == 망막 색소상피 (RPE) 내에서 멜라닌은 주로 세포의 첨부 (apex) 에서 발견된다<ref>Feeney L. Lipofuscin and melanin of huma...)
- 2022년 12월 2일 (금) 13:56 Smile 토론 기여님이 형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형광 (fluorescence)''' 이란 어떤 물질이 특정 빛에 노출되면, 자극을 받아 더 긴 파장의 빛을 방출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참고}})
- 2022년 11월 25일 (금) 10:11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주파 각막 성형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주파 각막 성형술 (conductive keratoplasty)''' 은 == 적응증 == 단순원시의 교정은 물론이고 라식이나 PRK치료 후 발생한 유발 원시, 난시...)
- 2022년 11월 19일 (토) 0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백혈병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백혈병 망막병증 (leukemic retinopathy)''')
- 2022년 11월 19일 (토)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백혈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백혈병 (leukemia)'''{{망막}} 은 혈액세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혈액암으로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는 백혈병 세포가 과...)
- 2022년 11월 18일 (금) 14: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질 백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피질 부위의 노화로 '''피질 백내장 (cortical cataract)'''{{백내장}}이 생긴다. 피질 백내장은 상대적으로 선명하면서 투명한 유체 틈...)
- 2022년 11월 3일 (목) 1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이저 (laser)'''{{망막}} 란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의 머리 글자를 모은 약자이다.'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 이라...)
- 2022년 11월 3일 (목) 14: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하 임플란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하 임플란트''' 는 망막 색소상피와 양극세포 사이에 미세 광다이오드 이식판을 이식하는 접근법이다. == 장점 == 시자극을 받는...)
- 2022년 11월 3일 (목) 14: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인공 망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공 망막''' 은 변성이 진행한 망막시세포를 대신하여 기능이 남아있는 망막내층 세포에 전기적인 자극을 줌으로써 시력 회복을 도모...)
- 2022년 10월 29일 (토) 1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카이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마카이드 주''' ( {{외부사진 |1=https://common.hanmi.co.kr/upfile/ces/product/3026d727-0047-40d9-a90f-08c6cc13419e.jpg |3=한미약품 }} == 성분 == [[트리암시놀론]...)
- 2022년 10월 29일 (토) 04:58 Smile 토론 기여님이 트리암시놀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디쿠아포솔의 병 제제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마카이드 주||||40mg||...)
- 2022년 10월 26일 (수) 1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동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동 눈떨림 (rebound nystagmus)'''{{사시}} 은 한 방향으로 20초 이상 주시하다가 정면 주시를 하면 주시했던 반대 방향으로 눈떨림이 나타나...)
- 2022년 10월 26일 (수) 1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개 진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개 진전 (oculopalatal tremor)'''{{사시}} 은 두 눈의 시계추 눈떨림과 구개근 떨림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 원인 == 치아핵-적핵-올리브...)
- 2022년 10월 26일 (수) 1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축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축장 (안구 길이, axial length, AL)''' == 출생 후 성장 == 출생 시 신생아 안축장은 약 17mm로 대략 성인의 70% 이지만, 출생 후 안구는 매우 빠...)
- 2022년 10월 22일 (토) 00: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비후 신생혈관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비후 신생혈관증 (pachychoroid neovasculopathy))
- 2022년 10월 22일 (토)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비후 색소상피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비후 색소상피증 (pachychoroid pigment epitheliopathy, PPE)'''{{망막}} 은 Warrow 등<ref name=r2>Warrow DJ et al. Pachychoroid pigment epitheliopathy. ''Retina''...)
- 2022년 10월 21일 (금)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두주위 맥락막 비후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두주위 맥락막 비후증 (peripapillary pachychoroid syndrome, PPS)'''{{망막}} 은 이전에 유사한 증례 보고가 있었으나, Phasukkijwatana 등<ref name=r2>Phas...)
- 2022년 10월 21일 (금) 0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맥락막 함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국소 맥락막 함몰 (focal choroidal excavation, FCE)''' 은 포도막염 같이 맥락막이 2차적으로 얇아지는 질환들의 병력이 없으면서, 뒤포도종이나...)
- 2022년 10월 21일 (금)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비후 질환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비후 질환군 (pachychroid disease spectrum)'''{{망막}} == 속한 질환들 == * 맥락막 비후 색소상피증 * 맥락막 비후 신생혈관증 * 결...)
- 2022년 10월 21일 (금) 03:3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결절 맥락막 혈관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10월 19일 (수) 06: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야마네 술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야마네 술기 (Yamane technique)''' 는)
- 2022년 10월 19일 (수) 06: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커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커비스 (Ikervis)''' (Santen SAS, Evry, France) 점안액은 농도를 기존의 두 배로 높인 0.1% 사이클로스포린 양이온 에멀젼 약제이다. == 장...)
- 2022년 10월 19일 (수) 0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모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모세포종 (trichoblastoma)''' 은 1970년에 Headington1에 의해 처음 정의되고, Ackerman et al2에 의해 확립된 모배 (hair germ) 기원의 종양이다. ==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