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1년 8월 14일 (토)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광범위 맥락막 이상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광범위 맥락막 이상증 (diffuse choroidal dystrophy)'''{{망막}} 은 광범위한 망막 색소상피 및 맥락막 모세혈관의 이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참고}})
- 2021년 8월 14일 (토)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두 주위 맥락막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유두주위 맥락막 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13일 (금) 05: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전성 맥락막 질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전성 맥락막 질환 (hereditary choroidal diseases)'''{{망막}} == 분류 == * 맥락막 위축 표현형을 보이는 유전성 맥락막 질환 ** 중심 원형 맥락...)
- 2021년 8월 11일 (수) 04: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산동 (mydriasis)'''{{망막}} == 방법 == 0.5~1.0% tropicamide 또는 2.5~5.0% 페닐에프린 (phenylephrine) 을 산동 정도에 따라서 1~3회 점안한다. 산동제를...)
- 2021년 8월 11일 (수) 04: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잠재 시력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잠재 시력 검사 (potential acuity test)'''{{망막}} 는 백내장 검사에서의 적용으로 인하여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백내장 수술 시 대부분은 정...)
- 2021년 8월 11일 (수) 03: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리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리체 (vitreous)'''{{망막}} == 구성 == == 구조 == 투명하고 젤 같은 구조물로서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용적은 정시...)
- 2021년 8월 11일 (수) 03: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두극 세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양극세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11일 (수)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황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황반 (macula lutea)'''{{망막}} 은 시신경 유두 중심에서 귀쪽으로 3.5~5.5mm, 아래로 0.6~0.8mm 떨어진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대략 5.5mm 직경의 타...)
- 2021년 8월 11일 (수) 02: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가노이드 모반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가노이드 모반 증후군 (organoid nevus syndrome, ONS)'''{{망막}} == 치료 == 안구바깥 분리종은 대부분 진행하지 않으므로 큰 위험 없이 관찰할...)
- 2021년 8월 11일 (수) 02: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세포 바이러스 앞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세포 바이러스 앞포도막염 (CMV anterior uveitis)'''{{망막}}은 거대세포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재발성 앞포도막염을 말한다. == 증상...)
- 2021년 8월 11일 (수) 02:22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거대세포 바이러스 망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8월 4일 (수) 08: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코폴라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코폴라민 (scopolamine)''' 은 부교감 신경 차단제로 안과에서 산동제 및 조절 마비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정 기관에 작용하여 멀미 예방...)
- 2021년 7월 21일 (수) 07: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 퇴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 퇴행 (myopic regression)''' 은 라식 또는 라섹 등의 굴절 교정 수술 이후 근시성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대부분의 연구4,9-11에서는 시...)
- 2021년 7월 21일 (수)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클로스포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싸이클로스포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7월 21일 (수)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타크로리무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각막}} == 작용 기전 == FK-506 결합 단백 에 결합하여 T세포에서 IL-2 를 생성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
- 2021년 7월 19일 (월) 04: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골모양 땀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골모양 땀관종 == 치료 == 전기건조, 피부의 박피, 아르곤이나 CO<sub>2</sub> 레이저를 통한 기화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치...)
- 2021년 7월 19일 (월) 03: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합성 섬유 육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합성 섬유 육아종 (synthetic fiber granuloma)'''{{각막}})
- 2021년 7월 17일 (토) 00: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틈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틈새 (interpalpebral fissure, IPF)'''{{성형안과}} 의 정상적인 높이는 약 9~12mm 이고<ref>Sudhakar P et al. Upper eyelid ptosis revisted. ''Am J Clin Med''...)
- 2021년 7월 16일 (금)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두-황반 다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두-황반 신경섬유 다발 (papillomacular bundle, PMB)''' 은 황반으로부터 정보를 전달하는 망막 신경 섬유의 집합이다. == 유두-황반 다발 결손...)
- 2021년 7월 15일 (목) 07:11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합조직 형성모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합조직 형성모종 (desmoplastic trichilemmoma)'''{{성형안과}} 은 전형적인 모종의 특징과 함께 종양의 중앙부에 상피세포와 조밀한 섬유성 간...)
- 2021년 7월 15일 (목)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버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버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은 바이러스 전구증을 제외하고 다른 눈이나 전신적인 질환과 관계...)
- 2021년 7월 15일 (목) 00: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실데나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Sildenafil citrate)''' 은 선택적 phosphodiesterase-5 (PDE-5) 억제제로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발기부전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
- 2021년 7월 14일 (수) 08: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점액 샘암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부에 발생하는 '''원발 점액 샘암종 (primary mucinous adenocarcinoma, PMA)'''{{성형안과}} 은 땀샘에서 기원하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종양이다<re...)
- 2021년 7월 2일 (금) 05: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골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연골종 (chondroma)'''{{성형안과}} 은 손가락, 발가락 소골 및 장관골에서 주로 발생하며, 드물게 두개골 및 골반골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
- 2021년 7월 2일 (금) 00:22 Smile 토론 기여님이 K5M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5M (Keratograph 5M)'''{{각막}} (Oculus Optikgerӓte GmbH, Wetzlar, Germany) 은 원형의 투사장치를 이용하여 각막에 방사형 직선들과 원들로 구성된 격...)
- 2021년 7월 1일 (목) 08: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꺼풀 (eyelid)'''{{성형안과}} == 속눈썹 (cilia) == 눈꺼풀 테두리는 열을 지어 배열되어 있는 속눈썹을 포함하고 있으며 위눈꺼풀은 90~160개...)
- 2021년 6월 30일 (수) 0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모음 부족 외사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모음 부족 외사시 (convergence insufficiency exotropia)'''{{사시}} 는 근거리 사시각이 원거리 사시각보다 10 PD 이상 큰 외사시로 정의한다. ==...)
- 2021년 6월 30일 (수) 03: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주 절제술/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고삐실 걸기 == 수술 부위를 노출시키기 위해 안구를 적절히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직근의 힘줄이나 각막 윤부 경계 바로 앞의...)
- 2021년 6월 28일 (월)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펜터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펜터민 (phentermine HCl)''' 은 1959년 미국 FDA의 공인 허가를 받았으며 운동과 행동 요법, 칼로리 제한과 함께 단기간 체중 감량 요법에 사용...)
- 2021년 6월 28일 (월) 05:05 Smile 토론 기여님이 토피라메이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토피라메이트 (topiramate)'''는 다양한 약리 기전을 가진 광범위 항간질 치료제로서 편두통, 양극성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포...)
- 2021년 6월 24일 (목) 06:23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교정 렌즈/문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눈과 렌즈의 유착 == 아침에 자고 나서 렌즈를 제거하려고 할 때 렌즈가 눈과 유착되는 경우가 있는데 건성안이 있거나, 각막 난시가 작...)
- 2021년 6월 24일 (목)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교정 렌즈/처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콘택트렌즈}} == 처방 방법 == # 정렬 커브의 만곡 반경을 먼저 정하고 각막의 BC와 도수에 따라 렌즈의 BC와 역커브를 정하는 방법이 있다....)
- 2021년 6월 21일 (월)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뿔 세포 이상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원뿔세포 이상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21일 (월)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의 조절력은 10대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40세 이후가 되면 4.5 디옵터 (D) 이하로 줄어들면서 정시안에서 근거리 작업에 불편한 증...)
- 2021년 6월 18일 (금)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절 경화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절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TS)''' == 역학 == 약 6,000명에서 한 명 꼴로 발생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TSC1'' (9q34), ''T...)
- 2021년 6월 16일 (수) 06:10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특발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급성 특발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6: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차성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이차성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6: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언가지모양 혈관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언가지 혈관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6일 (수) 01: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 건피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 건피증 (xeroderma pigmentosum)'''{{각막}} 은 1870년 Kaposi 와 Hebra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ref>Brooks BP, Thompson AH et al. Ocular manifestations of xerod...)
- 2021년 6월 14일 (월) 09: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마일 라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스마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1년 6월 14일 (월) 09:1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반흔뇌회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반흔뇌회증 (ulegyria)''' 은 뇌고랑 깊이 위치하는 겉질 흉터로 뇌이랑의 버섯 형태 변형을 유발한다. == 병인 == 출생 전 발생 과정에서 신...)
- 2021년 6월 14일 (월) 09: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눈물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눈물점 (double lacrimal puncta)'''{{성형안과}} 은 정상 눈물점 주위에 덧눈물점이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 역사 == Mackenzie1가 1854년에 처...)
- 2021년 6월 14일 (월) 05: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삭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삭 증후군 (optic tract syndrome)'''{{신경안과}} 은 한쪽 시삭에 국한된 형성저하 때문에 발생한다<ref>Margo CE, Hamed LM, McCarty J. Congenital optic tr...)
- 2021년 6월 14일 (월) 05: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연조직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연조직염 (orbital cellulitis)'''{{성형안과}} 은 안와 조직 내의 급성 염증으로 시력을 위협하는 감염성 경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원인...)
- 2021년 6월 12일 (토) 0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병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Hodapp-Parrish-Anderson (HPA) 기준<ref>Hodapp E et al. Clinical decisions in glaucoma. St. Louis, The C.V, Mosby Co., 1993. pp.52-61</ref> == {{참고}})
- 2021년 6월 10일 (목) 07: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어셔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어셔 증후군 (Usher syndrome)'''{{망막}} 은 망막 색소 변성과 함께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 역사 == 1858년 von Graefe...)
- 2021년 6월 9일 (수)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미세 침습 녹내장 수술 (Micro-invasive glaucoma surgery, MIGS)'''{{녹내장}} == 종류 == * 아이 스텐트 (''i''-Stent) * 젠 (XEN) {{참고}})
- 2021년 6월 9일 (수)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시 망막 층간 분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시 망막 층간 분리 (myopic retinoschisis)'''{{망막}} == 역학 == 병적 근시로 진단된 환자의 8~34%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 자연 경과 ==...)
- 2021년 6월 9일 (수) 0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양안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elazia''는 13종으로 분류되어 있고, 그 중 인체 기회 감염을 일으키는 종류로는 동양안충 (''Thelazia callipaeda'') 또는 Thelazia californiensis 가...)
- 2021년 6월 7일 (월) 06: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렛 자발리아 증후군 (Urrets-Zavalia syndrome, UZS)'''{{각막}} == 병인 ==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병인론 중 하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