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6월 27일 (월) 14: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상판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상판 깊이 (lamina cribrosa depth, LCD)'''{{녹내장}} 는 브루크막 개방 (BMO) 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기준선에서 사상판의 앞쪽 표면까지의...)
- 2022년 6월 27일 (월) 09: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근성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근성 눈꺼풀 처짐 (congenital myogenic ptosis)'''{{성형안과}} 은 출생 시부터 나타나는 눈꺼풀 처짐을 말하며 어린이에서 가장 흔히 나타...)
- 2022년 6월 27일 (월) 08: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성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성 눈꺼풀 처짐 (neurogenic ptosis)''' == 원인 == 제3 뇌신경의 대뇌 핵에서)
- 2022년 6월 27일 (월) 08: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상성 눈꺼풀 처짐 (traumatic ptosis)'''{{성형안과}} == 원인 == 눈꺼풀 올림근 또는 올림근 널힘줄의 손상으로 생기게 된다. 열상 부위에서...)
- 2022년 6월 27일 (월) 07:09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눈꺼풀 처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짓 눈꺼풀 처짐 (pseudoptosis)''' 은 눈꺼풀 올림근 기능이 정상이고 실제로 눈꺼풀 처짐이 없지만 눈꺼풀 처짐처럼 보이는 경우를...)
- 2022년 6월 27일 (월)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라시클로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발라시클로버 (valacyclovir)'''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valacyclovir 500mg 정제 |- !제품명||제조사||보험 코드||약가 |- |...)
- 2022년 6월 27일 (월) 0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시클로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시클로버 (acyclovir)'''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acyclovir 50mg/g 크림, 연고 |- !제품명||용량||제조사||보험 코드||약...)
- 2022년 6월 26일 (일) 15:23 Smile 토론 기여님이 발간시클로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발간시클로버 (valganciclovir)''' (Valcyte Ⓡ, Roche Pharmaceuticals, Nutley, NJ) 는 간시클로버의 L-valyl ester 전구 약물로서, 생체 이용률이 경구 투...)
- 2022년 6월 26일 (일) 15:05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스카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스카넷 (foscarnet)''' == 종류 ==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foscarnet trisodium hexahydrate 24mg/ml |- !제품명||용량||제조사||...)
- 2022년 6월 26일 (일) 14:22 Smile 토론 기여님이 간시클로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간시클로버 (ganciclovir)'''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ganciclovir 1.5mg/g 겔 |- !제품명||용량||제조사||보험 코드||약가 |-...)
- 2022년 6월 26일 (일) 09: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소관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소관 폐쇄 (canalicular obstruction)'''{{성형안과}} == 원인 == 결막염, 만성눈꺼풀염, 외상에 의한 열상, 열화상, 화학화상, 안압하강제 점...)
- 2022년 6월 26일 (일) 09: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매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매독 (ocular syphilis)'''{{망막}} == 임상 소견 == 결막, 공막, 각막, 수정체, 포도막, 망막, 망막혈관, 시신경, 동공 운동신경 전달 경로, 외...)
- 2022년 6월 26일 (일) 09: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매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매독 (syphilis)''' 은 ''Treponema pallidum'' 이라는 나선형 세균 (spirochete) 에 의해 감염되는 성매개 질환으로 전신 장기에 침범하고 눈 매독...)
- 2022년 6월 26일 (일) 01: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데스메막 박리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데스메막 박리술 (Descemet stripping only, DSO)''' == 역사 == 각막내피의 재생 및 이동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면서, 푹스각막이상증 환자에게 초...)
- 2022년 6월 25일 (토) 13: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짓 비늘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거짓비늘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23일 (목) 13: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식의 합병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라식/합병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21일 (화) 08: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방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후방 인공수정체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각막}} == 장점 == 내피세포 손상의 위험이 낮고, 전방각과 관련된 합병증이 적으며,...)
- 2022년 6월 21일 (화) 08:43 Smile 토론 기여님이 홍채 고정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홍채 고정 인공수정체 (iris-fixed phakic intraocular lens)'''{{각막}} == 종류 == 원래 무수정체 교정용으로 도입되었으며, 초기 디자인인 Binkhorst...)
- 2022년 6월 21일 (화) 08: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지지 인공수정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지지 인공수정체 (anterior chamber angle-supported phakic intraocular lens)''' 는 지지부가 전방각에 위치하는 렌즈이다. == 역사 == * 1세대 (1950...)
- 2022년 6월 21일 (화) 08:08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각막}} 은 눈 안에 렌즈를 넣어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로, 각막 교정 수술이...)
- 2022년 6월 21일 (화) 07: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군날개의 수술적 치료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군날개/수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21일 (화) 06: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줄기세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줄기세포 (stem cell)'''{{각막}} 는 모든 자가 재생 조직 (self-renewal tissue) 에 존재하는 세포로<ref>Potten CS et al. Epidermal cell proliferation. I. Changes...)
- 2022년 6월 21일 (화)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종 복합 각결막 윤부 이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종 복합 각결막 윤부 이식 (combined conjunctival limbal and keratolimbal allograft)'''{{각막}} 은 동종 각막 윤부 이식 및 동종 혈연 결막 윤부...)
- 2022년 6월 20일 (월)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빌베리 추출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빌베리 추출물 (Bilberry extract)'''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은행잎 건조 추출물 80mg 약제의 종류 |- !제품명||판매사...)
- 2022년 6월 19일 (일) 14:46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씨 추출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씨 추출물 (Vitis vinifera seed extract)''' == 급여 기준<ref>심평원, [약제] 고시 제 2022-56호 [https://www.hira.or.kr/rd/insuadtcrtr/bbsView.do?pgmid=HIRAA030...)
- 2022년 6월 19일 (일) 14: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은행잎 추출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은행잎 추출물 (Ginkgo biloba extract, GBE)'''{{망막}} {{참고}})
- 2022년 6월 15일 (수) 15: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전증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뇌전증 눈떨림 (epileptic nystagmus, EN)'''{{신경안과}} 은 일과성 또는 간헐적으로 눈떨림을 일으키는 경우로 소발작 등의 뇌전증이나 뇌파상...)
- 2022년 6월 15일 (수) 1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성 발작 두위 현기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양성 돌발 두위 현기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15일 (수) 15: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말초 체위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말초 체위 눈떨림 (peripheral positional nystagmus)'''{{신경안과}} 은 양성 돌발 두위 현기증 (benigh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에서 관찰되는...)
- 2022년 6월 15일 (수) 15: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추 체위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추 체위 눈떨림 (central positional nystagmus)''' 체위 눈떨림 및 현기증은 대부분 말초 병변에 의해 발생하나 중추 병변, 특히 병변이 제4뇌...)
- 2022년 6월 15일 (수) 15: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발성 경화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다발 경화증".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6월 15일 (수) 15: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다발성 경화증 문서를 다발 경화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15일 (수) 1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두진후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두진후 눈떨림 (head-shaking nystagmus)'''{{신경안과}} 은 말초 및 중추 전정신경계 병변에서 머리를 빠르게 10~20회 정도 회전시킨 후 갑자기...)
- 2022년 6월 15일 (수) 14: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0%; background-color:#C4DDFF; width:100%;' |- style='background-color:#7FB5FF;' |colspan=3|'''자발 눈떨림''' |- |말초성|| |- |중추성|...)
- 2022년 6월 15일 (수)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떨림 (nystagmus)'''{{신경안과}} == 분류 == * 생리적 눈떨림 ** 회전중 눈떨림 (pre-rotatory nystagmus) ** 시운동 눈떨림 (optokinetic nystagmus) * 병적...)
- 2022년 6월 12일 (일) 07: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대광-근접 반사 해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 동공은 빛에 대해 축소될 뿐만 아니라 근접 자극에도 축소되는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대광 반사가 약해진 환자에서는 근접 반사에...)
- 2022년 6월 12일 (일) 06:59 Smile 토론 기여님이 근접 반사 연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근접 반사 연축 (spasm of the near reflex)'''{{신경안과}} 은 가장 흔한 기능성 눈운동 이상이다<ref name=r2>Sarkies NJ et al. Convergence spasm. ''Trans Ophth...)
- 2022년 6월 12일 (일)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발적 신속 운동성 떨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수의 신속 진동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12일 (일) 06: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의 눈떨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의 눈떨림 (voluntary nystagmus)'''{{신경안과}} 은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눈의 빠른 왕복 운동이며 수 초 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 역학 ==...)
- 2022년 6월 12일 (일) 06: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성 시신경 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성 시신경 교종 (benign optic nerve glioma)'''{{신경안과}} 은 등급 1인 털모양 성상세포종 (pilocytic astrocytoma) 이다. == 역학 == 일반적으로는 잘...)
- 2022년 6월 11일 (토) 15: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단안 복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단안 복시 (monocular diplopia)'''{{신경안과}} 는 한 눈을 가렸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복시를 말한다. == 원인 == 굴절 이상, 특히 교정되지...)
- 2022년 6월 11일 (토) 15: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피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피로 (eyestrain)'''{{신경안과}}분류:신경안과 는 불편하게 보이는 거리에서 지속적인 시각 과제를 시행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이마의...)
- 2022년 6월 11일 (토) 1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두 신경통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후두신경통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11일 (토) 14:56 Smile 토론 기여님이 무조짐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out aura)'''{{신경안과}} == 역학 == 편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 증상 == 두통 발작이 4~72시간 동안 지속되...)
- 2022년 6월 11일 (토) 1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CNTG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CNTGS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6월 5일 (일) 1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짐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조짐 편두통 (migraine with aura) == 조짐 == 전형적으로 시각, 감각, 언어 증상이 각각 혹은 섞여 나타난다. 점진적으로 나타나 1시간 이내로...)
- 2022년 6월 5일 (일) 1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종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종양 (optic nerve tumors)'''{{신경안과}} == 역학 == 전체 안와 종양의 10% 미만을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 분류 == === 원발 종양 === 시...)
- 2022년 6월 5일 (일) 1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성 시신경 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성 시신경 교종 (malignant optic nerve glioma)''' == 역학 == 매우 드문 종양으로 성인에서, 남녀 비슷하게 발생한다<ref>Wabbels B et al. Unilateral adu...)
- 2022년 6월 5일 (일)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넘겨주기 특발 두개내 고혈압". 유일한 편집자는 "Smile" (토론))
- 2022년 6월 5일 (일)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 문서를 특발 두개내 고혈압 문서로 이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