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7일 (월) 14:51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녹내장 (glaucoma)[1] 은 진행하는 시신경병증으로 인하여 특징적인 시신경의 형태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시야 결손의 기능적 변화를 보이는 질환들의 총칭이다. 녹내장은 안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이 작용하여 발생하며[2], 단일 질환이 아닌 다양한 임상 소견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질환군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회복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실명 원인의 하나가 녹내장인 만큼 녹내장으로 인한 실명의 방지에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조기 발견을 위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녹내장에서 나타나는 초기 임상 소견을 인지하여야 하며,적절한 치료를 위하여 발병기전을 이해하고 안압을 조절하는 약제와 수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안압의 적절한 하강으로 녹내장에 의한 눈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장애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분류

개방각 녹내장

폐쇄각 녹내장

선천 녹내장

녹내장과 관련된 유전자

녹내장 유전자를 총칭하는 GLC는 Human Genome Organization에서 지정한 것으로 그 뒤에 붙는 1,2,3 숫자는 각각 개방각 녹내장, 폐쇄각 녹내장, 선천 녹내장을 뜻하며 그 뒤의 A,B,C,D 등은 각각의 유전자 위치가 발견된 순서를 말한다. 즉 GLC1A는 개방각 녹내장과 연관된 유전자가 있는 위치가 가장 먼저 발견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개방각 녹내장과 연관된 유전자

  • MYOC (Myocilin)
  • OPTN (Optineurin)
  • WDR36 (WD repeat 36)
  • TLR4 (Toll-like receptor 4)
  • OPA1 (Optic atrophy type 1)
  • LOXL1 (Lysyl oxidase-like 1)

폐쇄각 녹내장과 연관된 유전자

선천 녹내장과 연관된 유전자

  • CYP1B1 (Cytochrome P450 family 1 subtype B polypeptide 1)
  • LTBP2 (Latent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binding protein 2)
  • PITX2, FOXC1, FOXE3, PAX6, LMX1B, MAF : Anterior chamber cleavage syndrome, 악센펠드 이상, 리거 증후군 등과 같은 발육 이상 녹내장과 연관되어 잇다고 여겨지는 유전자들이다.

병기

녹내장/병기 참고

임신과의 관련성

녹내장/임신 참고

생활 습관과의 연관성

녹내장/생활_습관 참고

약물 치료

기존의 약제

새롭게 개발된 약제

참고

  1.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2. Allingham RR : Overview In : Albert DM JF.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2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94. 129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