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1: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구치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구치병 (Oguchi's disease) 1907년 오구치는 선천 비진행성 야맹의 특이한 우형을 보고하였는데, 이 질환은 망막의 독특한 회색 변색으로 인...)
- 2020년 3월 16일 (월) 01: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흰점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흰점 망막병증 (fundus albipuntatus) 은 선천적 야맹이 비진행성이며, 또한 안저에 특유의 흰점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처음으로 기술한 lauber (19...)
- 2020년 3월 16일 (월) 01: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격자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격자 변성 (lattice degeneration) == 역학 == 주변부 망막 변성의 가장 흔한 형태로 발병률이 6~8%이다. 인종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10...)
- 2020년 3월 16일 (월) 01: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송이 유리체 망막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송이 유리체 망막변성 (snowflake vitreoretinal degeneration) 은 1974년 Hirose 등에 의해 백내장, 유리체 변성과 혈관초 형성, 백색 과립과 같은 침...)
- 2020년 3월 16일 (월) 01: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티클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티클러 증후군 (유전성 진행성 관절-안병증; Stickler syndrome; hereditary progressive arthro-ophthalmopathy) 은 "연골형성 이상과 유리체 망막변성이...)
- 2020년 3월 16일 (월) 01: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Adenoviral conjunctivitis) <i>Adenovirus</i>는 바이러스 결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원인 == 51가지의 인간 <i>Adenovirus<...)
- 2020년 3월 16일 (월) 01: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비특이 여포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비특이 여포 결막염 (acute nonspecific follicular conjunctivitis) == 임상 소견 == 경한 결막염, 나타나지 않거나 상피에 국한되는 각막염, 경한...)
- 2020년 3월 16일 (월) 01: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성 세균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만성 세균 결막염 (chronic bacterial conjunctivitis) 은 "증상이 경하면서 오래 지속되는 결막염으로, 이물감, 약간의 분비물 등의 경한 증상과 결...)
- 2020년 3월 16일 (월) 01: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세균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세균 결막염 (acute bacterial conjunctivitis) == 원인 == * 성인 : 황색 포도구균, 폐렴 연쇄구균, 그람양성 무산소성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
- 2020년 3월 16일 (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균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균 결막염 (bacterial conjunctivitis) == 역학 == 일선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안과 질환이다. == 병태 생리 == 숙주의 정상 방어 능력이 깨지면 세...)
- 2020년 3월 16일 (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염 (conjunctivitis) 은 결막의 염증으로서 세포 침윤과 삼출물, 혈관 팽창이 특징이며, 여러 자각 증상과 타각 증상을 유발한다. == 분류 ==...)
- 2020년 3월 16일 (월)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내용 제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내용 제거술 (evisceration) 은 안구를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공막은 그대로 둔 채 안구 내용물만 제거하는 방법이다.)
- 2020년 3월 16일 (월) 01:42 Smile 토론 기여님이 호르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호르너 증후군 (Horner's syndrome) == 임상 소견 == * 눈꺼풀 처짐 : 병변쪽 눈 <span style='color:blue;'>윗눈꺼풀에 눈꺼풀 처짐</span>이 있고 아래눈꺼...)
- 2020년 3월 16일 (월) 01: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에이디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이디 증후군 (Adie's syndrome) == 역학 == 대부분의 환자는 20~50세이며 여자가 많고 80%에서 단안에 증상이 나타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반대측...)
- 2020년 3월 16일 (월)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병증성 긴장성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병증성 긴장성 동공 (neurotrophic tonic pupil) 은 전신적이고 광범위한 말초 혹은 자율 신경병증의 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 역학 == 대개...)
- 2020년 3월 16일 (월) 01:35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긴장성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국소 긴장성 동공 (local tonic pupil) 은 급성 내안근 마비 후에 발생한다. == 원인 == 섬모체 신경절을 침범하는 염증, 감염, 외상, 허혈 등이 원...)
- 2020년 3월 16일 (월) 01: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등쪽 중뇌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등쪽 중뇌 증후군 (dorsal midbrain syndrome) 은 Parinaud 증후군, Koeber-Salsus-Elschig 증후군, pretectal syndrome, Slivian aqueduct syndrome 등 여러 이름으로 불...)
- 2020년 3월 16일 (월) 01: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역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역 아르길-로버트슨 동공 (reverse Argyll-Robertson pupil) 은 빛에는 반응하나 눈모음과 조절에는 수축하지 않는 동공으로서, 아주 드물게 발생한...)
- 2020년 3월 16일 (월) 01: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Argyll-Robertson pupil) == 원인 == 우선 신경매독을 생각해야 하며, 그 외에 당뇨병, 만성 알코올 중독도 원인이 될 수 있...)
- 2020년 3월 16일 (월) 01: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방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방사 (optic radiation) 는 외슬상체에서 일차 시피질로 연결되며 반구간 교차는 없다. 외시상층으로 지나가며 가운데, 위, 아래의 세 부분으...)
- 2020년 3월 16일 (월) 01: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슬상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슬상체 (lateral geniculate body; LGB) 는 시상의 일부분이며, 같은 쪽 망막 황반부의 외측에서 오는 신경 섬유와 반대쪽 망막 황반부의 내측에...)
- 2020년 3월 16일 (월) 01: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삭 (optic tract) 은 시신경 교차를 나와 다리 사이 공간에서 양쪽으로 나누어지며 뒤 대뇌동맥 위로 대뇌 다리를 돌아서 외슬상체로...)
- 2020년 3월 16일 (월)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교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교차 (optic chiasm) 는 가로 길이는 10~20mm, 전후 길이는 4~13mm, 두께는 3~5mm이다. 시신경 교차에는 200만개가 넘는 섬유들이 있으며 교차...)
- 2020년 3월 16일 (월) 01: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무형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무형성 (optic nerve aplasia) 은 시신경, 망막 신경절과 신경 섬유층, 시신경 혈관이 모두 완전히 없는 것을 말하며, 비교적 건강한 사람...)
- 2020년 3월 16일 (월) 01: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수 신경 섬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수 신경 섬유 (myelinated nerve fiber; MNF) 는 출생 시 모두 없어져야 하는 망막 신경섬유의 수초가 남아 있는 현상이다. == 발생 기전 == 임신 5...)
- 2020년 3월 16일 (월) 01: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척수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척수염 (neuromyelitis optica; Devic's disease; NMO) 은 단안 혹은 양안의 급성 혹은 아급성 시력 장애와 횡단성 척수염으로 양측 하지 마비를...)
- 2020년 3월 16일 (월) 01:04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망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망막염 (neuroretinitis) == 역학 == 전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30~40대에 흔하게 발생한다. == 원인 == * Herpes Simplex B, B형 간염 * Bartonella...)
- 2020년 3월 16일 (월)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염 (optic neuritis; ON) 은 급성 특발성 탈수초성 시신경염 (acute idiopathic demyelinating optic neuritis) 이라고도 하며, 일차적으로 탈수초성 질...)
- 2020년 3월 16일 (월) 01: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 (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AION) == 역학 == 평균 연령은 75세로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비동...)
- 2020년 3월 16일 (월) 00: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속 운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속 운동 (saccade) 은 모든 빠른 안구 운동을 말하며 자발적, 불수의적 주시의 변화, 전정 및 시운동 눈떨림의 빠른 단계, 자는 동안의 빠른...)
- 2020년 3월 16일 (월) 00: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만니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만니톨 (mannitol) 은 세포의 체액에 분포되며 안내 침투는 불량하다. == 분류 == * 대한 디-만니톨 주사액 (15%, 25%) 100, 250, 500mL (대한약품공업)...)
- 2020년 3월 16일 (월) 00: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과급성 세균 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과급성 세균 결막염 (hyperacute baterial conjunctivitis) == 역학 == 선진국에서는 드물다.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단안에서 시작되고 양안으로 이환...)
- 2020년 3월 16일 (월) 00: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소소비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소소비드 (isosorbide) 는 "경구용 고삼투압제로 1980년부터 시판되고 있다.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는 isosorbide dinitrate (isordil)과 이름이 비...)
- 2020년 3월 16일 (월) 00:54 Smile 토론 기여님이 글리세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글리세롤 (glycerol) == 과정 또는 용법 == 액체 상태인 50% 용액을 1~1.5g/kg 용량으로 투여한다. 안압 하강 효과는 투여 10분 이내에 발생하여 30...)
- 2020년 3월 16일 (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고삼투압 약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
- 2020년 3월 16일 (월) 00: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측 쐐기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측 쐐기 결손 (temporal sector defect) 은 시신경 유두의 코쪽에 있는 망막 신경섬유는 곧바로 시신경 유두로 들어가므로 이 신경 섬유가 손상...)
- 2020년 3월 16일 (월)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쪽 계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신경 섬유는 상하 부위가 같은 속도로 손상받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므로 계단 모양의 결손이 수평 봉선이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데,...)
- 2020년 3월 16일 (월) 00: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활모양 암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활모양 암점 (고리 모양 암점; double arcuate scotoma; ring scotoma) 은 활모양 암점이 점점 더 진행하여 반대편 시야까지 진행한 시야 이상이다.)
- 2020년 3월 16일 (월)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에룸 영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에룸 영역 (Bjerrum area) 은 맹점으로부터 곡선을 그리면서 중심 주시의 위, 아래쪽으로 활처럼 휘어져 수평 봉선에서 끝나는 중심 시야의...)
- 2020년 3월 16일 (월)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신경섬유다발 결손에 상응하는 시야 결손이 뚜렷히 나타나기 이전에, 이전의 검사와 비교 시 상당히 큰 기복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
- 2020년 3월 16일 (월)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총 표준 편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총 표준 편차 (total standard deviation; TSD))
- 2020년 3월 16일 (월) 00: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부종 (papilledema) 은 "뇌압의 상승에 의해 시신경 유두에 부종이 생긴 것을 말한다. == 분류 == - 0기 : 유두 주위의 신경 섬유 다...)
- 2020년 3월 16일 (월)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프라클로니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프라클로니딘 (apraclonidine) 은 고혈압 치료제인 클로니딘의 para-amino 유도체로서 상대적인 선택성 α<sub>2</sub> 작동제이며 클로니딘과는...)
- 2020년 3월 16일 (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필로카르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필로카르핀 (pilocarpine) == 병태 생리 ==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 2020년 3월 16일 (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누진 굴절력 렌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누진 굴절력 렌즈 (progressive power lens) 는 원용부와 근용부 사이에 여러 중간 거리를 볼 수 있는 누진대를 만들어 각 굴절력 사이의 경계선...)
- 2020년 3월 16일 (월)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착암기 효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착암기 효과 (jackhammer effect) 는 "초음파 첨단부가 핵에 직접 기계적 충격을 가하는 것이다. 이 기전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려면 두 가지 선행...)
- 2020년 3월 16일 (월)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백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독성 백내장 (toxic cataract) 은 혈당이나 전해질의 불균형, 내분비 혹은 약제 등과 관련하여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으로 수정체의 혼탁이 초래...)
- 2020년 3월 16일 (월)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우츠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코우츠병 (Coats' disease) 은 망막 모세혈관의 확장 및 혈관류의 발생으로 망막내와 망막하 공간에 삼출물이 축적되고 삼출 망막박리를 일으...)
- 2020년 3월 16일 (월) 00: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이 계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내피 세포 면적의 변이 계수 (다면성; coefficient of variation; polymegathism; CV) 는 세포 면적의 표준 편차를 평균 세포 면적으로 나눈 것으로...)
- 2020년 3월 16일 (월)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내피 세포 밀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내피 세포 밀도 (cell density; CD) 는 단위 면적 당 내피 세포수를 의미하며(세포 수/mm<sup>2</sup>), 각막 부종이 생기는 내피세포 밀도는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