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5월 4일 (월) 02: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과성 흑암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일과성 흑암시 (amaurosis fugax; transient visual loss)</b> 는 갑자기 발생하는 일시적 시력 소실을 의미한다. == 증상 == 전형적으로 '커튼이 아래...)
- 2020년 5월 4일 (월)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톨로사-헌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톨로사-헌트 증후군 (Tolosa-Hunt syndrome)</b> 은 해면 정맥굴의 특발성 육아종성 염증으로 인한 급성 통증성 눈운동 마비가 나타나는 증후군...)
- 2020년 5월 4일 (월)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하수체졸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b> 뇌하수체 종양 내부 또는 확장된 뇌하수체로의 급성 출혈은 시신경과 시신경 교차의 급성 압박 (시력...)
- 2020년 5월 4일 (월) 01: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기저 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뇌기저 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top of the basilar syndrome)</b> 은 뇌기저 동맥 첨단부의 순환 장애로 인하여 시상, 중뇌, 뇌교, 소뇌와 후두...)
- 2020년 5월 4일 (월) 0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툴리눔 독소 중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보툴리눔 독소 중독 (botulism)</b> == 원인 == 오염된 캔음식이나 고기 섭취, 창상 오염, 혹은 영아에서의 위장관내 군체 형성 등으로 <i>Clostr...)
- 2020년 5월 4일 (월)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동맥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경동맥 박리 (carotid artery dissection)</b> == 증상 == 가장 흔한 증상은 머리, 눈, 턱, 얼굴 또는 목의 통증이다. 통증이 때로 경동맥 박리의 유...)
- 2020년 4월 28일 (화) 0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교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교정 (orthokeratology)</b> 이란 특수하게 디자인된 경성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또는 원시의 경우 가...)
- 2020년 4월 28일 (화)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라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알라질 증후군 (Alagille syndrome)</b> 은 특징적인 얼굴 모양, 만성 담즙 정체, 각막 후태생환, 척추의 이상, 심혈관계의 이상을 보이는 질...)
- 2020년 4월 28일 (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성 각결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4월 28일 (화) 00: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행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b> 은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역학 == 아데노 바이러...)
- 2020년 4월 28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외부 사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er> {| |<img src="https://www.eyerounds.org/atlas/pages/Palpebral-vernal-keratoconjunctivitis-VKC/palpebral-VKC-LRG.jpg" width="375px"> |- |<center><small>자갈 모양 유두 (...)
- 2020년 4월 24일 (금) 04: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디쿠아포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디쿠아포솔 (diquafosol)</b> 은 P2Y2 수용체 작용제로 눈물과 점액 분비를 촉진시킨다.)
- 2020년 4월 24일 (금)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히스타민 제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항히스타민 제제 (antihistamine drugs)</b> == 경구 == 단독으로 계절,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치료에 사용되지 않지만 전신적 알레르기 치료에...)
- 2020년 4월 24일 (금)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기전 == 아라키돈산 대사와 연관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 활동을 감소시켜 PGs 생성, 특히 PGE<sub>2</sub> 와 PGI<sub>2</sub>...)
- 2020년 4월 24일 (금) 0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작용 약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이중 작용 약물 (dual acting agent)</b> 은 항히스타민과 비만 세포 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 == 종류 == * olopatadine HCl 0.1%, 0.2% : 0.2% 는 유일하...)
- 2020년 4월 24일 (금)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활차 신경 마비 (acquired trochlear nerve palsy)</b>)
- 2020년 4월 24일 (금)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활차 신경 마비 (congenital trochlear nerve palsy) 는 드물지 않다.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활차 신경과 핵의 무형성, 무발...)
- 2020년 4월 24일 (금) 00: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활차 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IV palsy)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
- 2020년 4월 24일 (금)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몬드-세스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레이몬드-세스탄 증후군 (Raymond-Céstan syndrome)</b> == 임상 양상 == 등쪽과 배쪽 교뇌 병변으로 같은 쪽 외향 신경 마비와 반대쪽 반신 불...)
- 2020년 4월 24일 (금)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밀라드-귀블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밀라드-귀블러 증후군 (Millard-Gubler syndrome)</b> == 원인 == 교뇌 저 (basis pontine) 의 배쪽 정중옆 교뇌 (ventral paramedian pons) 병변이 원인이다....)
- 2020년 4월 24일 (금)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비유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포비유 증후군 (Foville syndrome)</b> == 원인 == 교뇌 덮개 (pontine tegmentum) 병변이 원인으로, 보통 앞아래 소뇌 동맥의 경색 때문에 일어난다. =...)
- 2020년 4월 24일 (금)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향 신경 마비 (abducens nerve palsy; 6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VI palsy) 는 단독 눈운동 신경 마비 중 가장 흔하다. 그 중에서도 허혈이 원인...)
- 2020년 4월 24일 (금) 00: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직 후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직 후퇴 증후군 (vertical retraction syndrome)</b> 은 수직근의 비정상적인 신경 지배가 원인으로 생각되며 이환된 눈의 상전이나 하전 장애...)
- 2020년 4월 23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봉합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봉합사 (suture) == 분류 ==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속도에 따라 분류 * 흡수사 : 조직 내에서 빨리 분해되어 60일 이내에 신장 강도 (tensile strengt...)
- 2020년 4월 23일 (목)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수술 칼 (blade)</b> == 종류 == * 11번 칼 : 칼 끝이 뾰족하기 때문에 곡선이나 각진 절개부에 유용하나 비교적 절개 부위가 긴 경우에는 수술...)
- 2020년 4월 21일 (화) 03: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냉동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섬모체 냉동술 (cyclocryotherapy)</b> 은 냉동 막대로 세포내 얼음 결정 형성과 허혈성 괴사를 야기함으로써 섬모체 돌기의 상피를 파괴하여...)
- 2020년 4월 14일 (화) 06:43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화 각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막화 각막 (sclerocornea)</b> 은 눈의 선천적 기형으로 각막이 공막과 혼합되어 뚜렷한 경계가 없다. 혼탁의 범위는 주변부부터 전체 (scler...)
- 2020년 4월 7일 (화) 03:3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색각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정상인에게서는 적어도 세 가지 원색을 적당하게 혼합하면 모든 색채를 표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색각을 삼색시 (trichromatic vision) 라 하...)
- 2020년 4월 7일 (화) 03: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색각 (color vision)</b>, 즉 색의 감지는 물리적 현상이 아닌 감각적 현상이며, 인간의 색 감지는 주관적인 시각 경험에 의해 특정한 색을 구...)
- 2020년 4월 7일 (화)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분수계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분수계역 (watershed zone)</b> 은 두 개 이상의 끝동맥이 각각 분포하는 영역 사이의 경계 부위로서, 뒤섬모체 동맥에서 세동맥에 이르기까...)
- 2020년 4월 7일 (화) 0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모세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모세혈관 (choriocapillaris)</b> 은 브루크막에 인접한 단층의 모세혈관층으로 매우 얇은 벽을 가진 비교적 큰 직경 (40~60㎛)의 모...)
- 2020년 4월 7일 (화) 03: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간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간질 (choroidal stroma)</b> 은 여러 가지 세포,교원질 섬유 및 신경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은 동맥,정맥이 모두 분포하...)
- 2020년 4월 7일 (화) 0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상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상강 (suprachoroid)</b> 은 맥락막의 제일 바깥층으로 공막 갈색판 (lamina fusca sclerae) 의 내층과 맥락막 간질의 큰 혈관층의 사이에...)
- 2020년 4월 7일 (화)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맥락막 (choroid)</b> 은 우리 몸에서 단위 무게,단위 시간 당 혈류량이 가장 많은 곳 중의 하나로,단위 무게 당 맥락막 혈류량 은 콩팥...)
- 2020년 4월 7일 (화) 02: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중심와 (fovea)</b> 는 임상적으로 황반 (macular lutea) 이라고 칭한다. 중심와는 직경이 약 1.5 mm, 혹은 1 유두 직경 정도되는 함몰되어 있는 부...)
- 2020년 4월 7일 (화) 02:36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망막 (retina)</b> 은 위치에 따라 두께가 약 0.1 mm 에서 0.5mm 까지 변하는 얇고 투명한 막이다. 중심와 주변이 가장두껍고 중심와 배꼽 부위...)
- 2020년 4월 7일 (화)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와 (orbit)</b> 는 눈알이 들어 있는 뼈로서 코의 양쪽에 있다. 앞면을 기저로 한 안팎과 위아래의 네 면을 가진 피라미드 모양이지만, 뒤...)
- 2020년 4월 3일 (금) 04:32 Smile 토론 기여님이 판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판누스 (pannus)</b> 는 무혈관화 혹은 혈관화된 섬유화의 형태로, 보우만층 바로 뒤의 전부 기질로 자랄 수 있다.)
- 2020년 4월 2일 (목)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염 (blepharitis)</b> 은 안과 영역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질환 중 하나이다. 환자와 임상 의사 모두에게 경계를 한정 짓기 어려...)
- 2020년 4월 2일 (목)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결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구 결막 (bulbar conjunctiva)</b> 은 눈꺼풀 결막에 비해 훨씬 느슨하게 심부 조직인 테논낭에 붙어 있지만 예외적으로 윤부에서는 단단...)
- 2020년 4월 2일 (목)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 결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 결막 (palpebral conjunctiva)</b> 은 눈꺼풀판에 단단히 붙어 있으므로 눈꺼풀판으로부터 결막을 분리하기가 어렵다. 각막과 닿는 면을...)
- 2020년 3월 26일 (목) 05:29 Smile 토론 기여님이 WESD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위스콘신 당뇨 망막병증 역학 연구 (Wisconsin epidemiology study of diabetic retinopathy; WESDR)</b>)
- 2020년 3월 26일 (목)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낭 파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현대에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소절개 백내장 수술은 수술 기법과 기구의 발달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굴절 백내장 수술을 목표로 할 만...)
- 2020년 3월 26일 (목) 01: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술후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술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b> 은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긴 하나, 일단 발생하면 굉장히 무서운 합병증을 초래한다. 만...)
- 2020년 3월 26일 (목)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축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전방 축농 (hypopyon)</b>)
- 2020년 3월 26일 (목)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토초 레이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토초 레이저 (femtosecond laser) 는 초단파 펄스 (ultrashort pulse) 레이저 중 하나이며, 근적외선이고 미리 정해진 깊이에 초점을 맺어 눈조직을...)
- 2020년 3월 26일 (목)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렌자 (LensAR) 는 LensAR Inc. (Winter Park, FL) 에 의해 제작되었다. 샤임플러그 이미지를 사용하며 눈을 고정하기 위해서 spring-loaded syringe가 연결...)
- 2020년 3월 26일 (목)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탈리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탈리스 (Catalys) 레이저</b> (class IIb; GMDN; 57995 femtosecond ophthalmic Yb: Glass laser system) 는 Optimedica corporation (Santa Clara, CA) 에 의해 제작되었다....)
- 2020년 3월 26일 (목)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렌젝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렌젝스 (LenSx) 레이저</b> (Class IIb; GMDN, 57995 femtosecond ophthalmic Yb: Glass laser system) 는 Alcon/LenSx (Aliso Viejo, CA, USA) 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미국...)
- 2020년 3월 26일 (목)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펨토초 레이저 이용 백내장 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펨토초 레이저 이용 백내장 수술 (femtosecond laser assisted cataract surgery; FLACS) 각막 굴절 교정에서 펨토초 레이저의 적용은 향상된 정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