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7일 (화)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평활근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평활근종 (choroidal leiomyoma) 은 주로 여성의 자궁에서 발생하는 평활근육의 양성 종양으로 맥락막에서 드물게 발생한다. == 병태 생...)
- 2020년 3월 17일 (화)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신경 섬유초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신경 섬유초종 (choroidal schwannoma) 은 신경집 세포의 증식으로 막에 의해 둘러싸인 양성 종양으로, 신경집종(neurilemmoma)으로 불리기도...)
- 2020년 3월 17일 (화) 00:49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림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등급 비호치킨 림프종으로 이전에 양성 림프구 과다증식으로 불리던 질환들이 사실은 맥락막 림프종 (choroidal lymphoma) 이었을 가능성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원발 안구내 림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원발 안구내 림프종 (primary intraocular lymphoma) 은 뇌, 척수, 뇌척수막 또는 눈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중 하나로, 중추신경...)
- 2020년 3월 17일 (화) 00: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흑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흑색종 (choroidal melanoma) " == 역학 == 원발성 안내 종양으로는 가장 흔하다. 성인 백인에서 흔하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
- 2020년 3월 17일 (화) 0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세혈관 확장 조화 운동 불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세혈관 확장 조화운동 불능 (ataxia telangiectasia; Louis-Barr syndrome)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하는데, 원인 유전자인 ATM (ataxia-telangiectas...)
- 2020년 3월 17일 (화) 00: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맥락막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국소 맥락막 혈관종 (circumscribed choroidal hemangioma) " == 원인 == 발생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선천적으로 또는 소아기에 발생하였던 것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44 Smile 토론 기여님이 2형 신경 섬유종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2형 신경 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2; NF2) == 유전 ==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고, NF2 유전자는 22q1*2에 위치한다. == 병태 생리 == NF2 유전자의...)
- 2020년 3월 17일 (화)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1형 신경 섬유종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형 신경 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1; NF1) == 유전 ==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한다. NF1 유전자는 60개의 exon으로 구성된 상당히 큰 유전자로서 17q...)
- 2020년 3월 17일 (화) 00: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복합 과오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과 색소상피의) 복합 과오종 (combined hamartoma (of the retina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 유전 == 선천성이지만 비유전적이다. == 증상 == 종...)
- 2020년 3월 17일 (화) 00: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흑색 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흑색 세포종 (optic disc melanocytoma) == 역학 == 유색 인종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 임상 소견 == 주로 단안에 암갈색에서 검은색의...)
- 2020년 3월 17일 (화) 00: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해면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해면 혈관종 (retinal cavernous hemangioma) 은 10대나 20대에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모반증의 일환으로 나타날...)
- 2020년 3월 17일 (화) 00: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모세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모세 혈관종 (retinal capillary hemangioma) 은 전신 증상과 무관하게 나타날 수도 있고, 폰 힙펠-린도우 병의 일환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 2020년 3월 17일 (화)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삼측 망막 모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삼측 망막 모세포종 (trilateral retinoblastoma) 은 양안 망막 모세포종과 송과선 종양을 동반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은 양안 망막모세포...)
- 2020년 3월 17일 (화)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인성 세균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인성 세균 안내염 (endogenous bacterial endophthalmitis) == 역학 == * 연령 : 소아부터 고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평균...)
- 2020년 3월 17일 (화) 00: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인성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인성 안내염 (endogenous endophthalmitis) 은 세균이나 진균 등의 미생물이 혈행성으로 안조직에 도달하여 혈액-안구 장벽을 발생하는 염증으...)
- 2020년 3월 17일 (화)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내인성 진균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내인성 진균 안내염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 == 원인 == * Candida 종 : 가장 흔한 원인으로 단세포 형태의 효모이며 발...)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콕시디오이데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콕시디오이데스 안내염 (Coccidioides endophthalmitis) == 역학 == Coccidioidomycosis가 풍토병으로 나타나는 지역은 미국의 남서부 지역, 멕시코 북부,...)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크립토코쿠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크립토코쿠스 안내염 (Cryptococcus endophthalmitis) == 원인 == Cryptococcus 종은 몇 가지 종류가 있지만, <i>C. neoformans</i> 만이 인체에 병을 일으킨다....)
- 2020년 3월 17일 (화)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스퍼질루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스퍼질루스 안내염 (Aspergillus endophthalmitis) Aspergillus는 진균 중 가장 흔하며 900종 이상이 존재하지만, 안내 감염으로 보고된 것은 5 종류...)
- 2020년 3월 17일 (화) 00: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칸디다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칸디다 안내염 (Candida endophthalmitis) == 역학 == Candida 전신 감염증의 3~44%에서 발병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낮은 균력을 가지지만, 칸디다혈...)
- 2020년 3월 17일 (화)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균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진균 안내염 (fungal endophthalmitis) 자연계에는 많은 종류의 진균이 있으나 건강한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많지 않다. == 역학 == 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행성 외망막 괴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진행성 외망막 괴사 (progressive outer retinal necrosis; PORN) 는 AIDS를 포함한 면역억제 환자에서 보이는 심각한 망막 감염으로 CD4+ 림프구 수가 50/...)
- 2020년 3월 17일 (화)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면역 회복 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면역 회복 포도막염 (immune recovery uveitis) 은 거대 세포 바이러스 망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HAART 치료 후 환자의 면역 기능이 좋아지면서...)
- 2020년 3월 17일 (화) 00: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낭미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낭미충증 (ocular cysticercosis) == 역학 ==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멕시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동유럽, 중남미 등이 풍토 지역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개회충증 (ocular toxocariasis) 은 유충이 혈액을 따라 눈을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 역학 == 환자의 연령은 보고에 따라 6.4~5*7세에...)
- 2020년 3월 17일 (화) 00: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신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신 개회충증 (systemic toxocariasis) 은 내장 유충 이행증(visceral larva migrans)이라고도 불린다. == 병태 생리 == 충란에서 나온 유충이 소장의 벽...)
- 2020년 3월 17일 (화) 00:2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개회충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개회충증 (toxocariasis) 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인수공통 기생충증 중 하나이자 잘 알려지지 않은 질환으로, 안구에 침범할 경우 심한...)
- 2020년 3월 17일 (화) 00:27 Smile 토론 기여님이 톡소플라즈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톡소플라즈마 (Toxoplasma gondii; T. gondii) 는 세포 내에서만 존재하는 기생충으로 인간과 포유류 혹은 조류를 감염시킨다. 이 유기체는 빠른...)
- 2020년 3월 17일 (화)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피 안내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피 안내 증식 (epithelial ingrowth) == 역학 == 수술 후 수 주 내에 나타나지만, 수술 후 4일부터 38년 후까지도 보고되었다. 미세한 것까지 포함...)
- 2020년 3월 17일 (화) 00:2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유 안내 증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 안내 증식 (fibrous ingrowth) 은 "수술 부위 주위에서 섬유 조직이 증식하고 안내로 침범하는 것이다. == 원인 == 가장 많은 원인은 각막 이...)
- 2020년 3월 17일 (화) 00:23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식 거부 반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현재 각막 이식은 수술 술기의 발달, 기증 조직 관리의 향상, 임상 양상의 평가 및 약물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식편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
- 2020년 3월 17일 (화) 00:21 Smile 토론 기여님이 복합 연속 단순 봉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복합 연속 단순 봉합 (combined continuous and interrupted suture; CCIS) 은 "단속 봉합을 한 후 연속 봉합을 하는 것으로, 난시 조절을 위해 단속 봉합...)
- 2020년 3월 17일 (화)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헐러-샤이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헐러-샤이에 증후군 (Hurler-Scheie syndrome; MPS I-HS) 은 헐러 증후군과 샤이에 증후군의 중간 정도의 표현형을 나타내는 증후군이다. == 유...)
- 2020년 3월 17일 (화) 00:20 Smile 토론 기여님이 물고기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물고기눈 증후군 (fish eye syndrome) == 유전 ==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LCAT 효소 기능에 부분적으로 장애가 생겨 콜레스테...)
- 2020년 3월 17일 (화) 00:19 Smile 토론 기여님이 탄지에르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탄지에르병 (Tangier disease) 은 가족성 고밀도 지질 단백 결핍 (familial high-density lipoprotein deficiency) 이라고도 부르며, HDL이 완전히 결핍되어 있...)
- 2020년 3월 17일 (화)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LCAT 결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LCAT 결핍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deficiency; LCAT deficiency) 은 "혈장 cholesterol ester와 lysolecithin이 감소하고, unesterified cholsterol과 triglyceride...)
- 2020년 3월 17일 (화) 00: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저지질 단백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저지질 단백혈증 (hypolipoproteinemia) 는 "비정상적으로 혈장 지질단백의 수치가 감소하여 발생한다. == 분류 == * LCAT 결핍 * 탄지에르 병...)
- 2020년 3월 17일 (화) 00: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상 지질 단백혈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상 지질 단백혈증 (dyslipoproteinemia) 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조기에 심혈관 질환 및 말초 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 2020년 3월 17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파브리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파브리병 (Fabry disease) " == 유전 == 성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α-galactosidase A의 장애로 인해 spingomyelin이 여러 조직과 혈관...)
- 2020년 3월 17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갈락토시알리도시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갈락토시알리도시스 (galactosialidosis) == 유전 ==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병태 생리 == sialidase와 β-galactosidase가 함께 결핍을 보인다. =...)
- 2020년 3월 17일 (화)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샤이에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샤이에 증후군 (Scheie's syndrome; MPS I-S) 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α-1-iduronidase이 결핍되어 나타나며, 심한 각막 혼탁, 손 기형, 그리고 대동맥관...)
- 2020년 3월 17일 (화) 00:15 Smile 토론 기여님이 헐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헐러 증후군 (Hurler's syndrome; MPS I-H) == 임상 소견 == 6~12개월까지는 정상적인 성장을 보이다가, 이후에 조악한 얼굴 모습, 기형적이 골격, 그...)
- 2020년 3월 17일 (화) 00:14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공막염 (scleritis) 은 공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비임상적 수준에 머물거나 자가 치유되는 정도부터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파괴적인 과정을...)
- 2020년 3월 17일 (화) 00: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공막염 (episcleritis) 은 눈의 바깥쪽 표면에 일어나는 질환으로, 비교적 경하고 자연 치유된다. == 역학 == 자연치유되고 증상이 없는 경우...)
- 2020년 3월 17일 (화) 00:10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체트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베체트 병 (Behcet's disease) 은 피부 점막, 눈, 장, 관절, 혈관, 비뇨생식계와 신경계 등의 다양하 장기에 초래되는 만성적이고 반복적이며 원...)
- 2020년 3월 17일 (화) 00: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앞포도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앞포도막염 (anterior uveitis) 은 홍채, 섬모체 혹은 둘 모두에 생기는 염증에 국한된 용어이다. 비교적 쉽게 진단되지만, 대부분 전신 상태에...)
- 2020년 3월 17일 (화)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라운-맥린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라운-맥린 증후군 (Brown-McLean syndrome) Brown과 McLean은 1969년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는 주변부 각막 부종에 대해 보고했다. == 역학 =...)
- 2020년 3월 17일 (화) 00:07 Smile 토론 기여님이 노인 고랑 각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노인 고랑 각막 변성 (senile furrow) 은 희귀한 변성으로, 주변부의 얇아짐을 노인환과 각막 윤부 혈관망 사이의 무혈관 영역에서 관찰할 수...)
- 2020년 3월 17일 (화) 00: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어 가죽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어 가죽반 (crocodile shagreen) == 분류 == * 전면형 : 노화 현상 때문으로 생각되어 왔지만,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원추 각막 환자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