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5월 14일 (목) 01: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독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독성 시신경병증 (toxic optic neuropathy)</b> == 원인 == * 메탄올 (methanol) * 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 에탐부...)
- 2020년 5월 14일 (목) 01:31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행 영양 시신경병증 (epidemic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은 심한 영양 결핍이 전쟁이나 기근, 또는 수용소 생활 같은 상황에서 수개월간...)
- 2020년 5월 14일 (목) 00:25 Smile 토론 기여님이 영양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영양 시신경병증 (nutritional optic neuropathy)</b> 으로 진단하려면 영양 부족 상태가 오래 지속되었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만성 == 임상 양...)
- 2020년 5월 13일 (수) 08: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전 강직 하반신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전 강직 하반신 마비 (hereditary spastic paraplegias)</b> 는 스트럼펠-로라인 병 (Strumpell-Lorrain disease) 이라고도 부르며, 피질 척수계 변성과...)
- 2020년 5월 13일 (수) 08:50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 자율신경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족 자율신경증 (familial dysautonomia)</b> 은 릴리-데이 증후군 (Riley-Day syndrome) 이라고도 부르며,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아슈케나지 유대...)
- 2020년 5월 13일 (수) 08: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샤르코-마리-투스 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샤르코-마리-투스 병 (Charcot-Marie-Tooth 병)</b>)
- 2020년 5월 13일 (수) 08: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척수 소뇌 실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척수 소뇌 실조 (spinocerebellar ataxia; SCA)</b> 는 예전에 올리브 교뇌 소뇌 위축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이라고 불렸던 상염색체 우성 소...)
- 2020년 5월 13일 (수) 08: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프리디리히 실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프리드리히 실조 (Friedreich ataxia)</b> == 병인 ==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9번 염색체 (9q13-q21) 에 위치한 시립체내 철 수치를 조절하는 frataxi...)
- 2020년 5월 13일 (수) 08: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르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베르 증후군 (Behr syndrome)</b> 은 복합 유전 영아 시신경 위축 이라고도 한다. == 유전 ==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 임상 양상 == 유아기에...)
- 2020년 5월 13일 (수)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 (Mohr-Tranebjærg syndrome; DDON)</b> 은 성염색체 유전 질환으로 10대에 감각 신경성 난청,)
- 2020년 5월 13일 (수) 02: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모스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카모스 증후군 (CAMOS syndrome; cerebellar ataxia with mental retardation, optic atrophy and skin abnormalities)</b>)
- 2020년 5월 13일 (수) 02: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포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스포안 증후군 (SPOAN syndrome; spastic paraplegia, optic atrophy and neuropathy)</b> 은 근친 결혼 브라질인 가계에서 상염색체 열성 신경 변성 질환이...)
- 2020년 5월 13일 (수) 0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코스테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코스테프 증후군 (Costeff syndrome)</b> 은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과 진행 신경 변성, 3-methylglutaconic aciduria...)
- 2020년 5월 12일 (화) 08:29 Smile 토론 기여님이 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X염색체 연관 시신경 위축 (X-linked optic atrophy; XLOA)</b> 은 매우 드물다. X염색체 1개에 이상이 있다면 남자는 시신경 병증이 나타나고, 여...)
- 2020년 5월 12일 (화) 08: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12일 (화) 08:2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autosomal recessive optic atrophy; AROA) == 상염색체 열성 유전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
- 2020년 5월 12일 (화) 08:2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염색체 열성 시신경병증 (autosomal recessive optic neuropathy)</b> == 상염색체 열성 유전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
- 2020년 5월 12일 (화) 08:09 Smile 토론 기여님이 볼프람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볼프람 증후군 (Wolfram syndrome; DIDMOAD) 은 염색체 4p에 있는 wolframin 을 인코딩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질환이다. == 관련 질환 == DIDMOAD...)
- 2020년 5월 11일 (월) 00:04 Smile 토론 기여님이 클로버잎 시야 이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클로버잎 시야 이상 (clover-leaf field defect)</b> 은 환자가 검사 초기에는 잘 반응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자극에 반응...)
- 2020년 5월 7일 (목)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국소 레이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국소 레이저 (focal laser)</b> 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범망막 광응고술과 대비되어, 황반 부종에 대한 광응고 치료 전체를 뜻하며, 좁...)
- 2020년 5월 7일 (목) 00: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맥 정맥압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5월 7일 (목) 00:03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공막 정맥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유주-쉴렘관 유출을 통해 눈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방수는 정맥계로 들어가며 이 정맥들의 압력을 <b>상공막 정맥압 (episcleral venous pressure;...)
- 2020년 5월 6일 (수) 08:07 Smile 토론 기여님이 EDI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EDIC (Epidemilology of Diabetes Interventions and Complication study)</b> 는 DCCT가 끝난 후에 그 연구에 참여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과 관찰한 연구...)
- 2020년 5월 4일 (월) 08:44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절개 (incisional keratotomy)</b> 는 19세기 후반 Snellen 과 Schiöz 가 그 개념을 도입한 이래 여러 연구자들이 발전시켜 왔으며, Fyodorov 가 수...)
- 2020년 5월 4일 (월)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은 대부분의 혈관 질호나에 있어서 침습적인 카테터 혈관 조영술을 대체할 정도의 진...)
- 2020년 5월 4일 (월) 0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탄젠트 스크린 시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탄젠트 스크린 시야 검사 (tangent screen perimetry)</b> == 검사 방법 == 검은색 펠트에 흰색이나 색상이 있는 시표를 가장자리에 놓고 검사자가...)
- 2020년 5월 4일 (월) 02:28 Smile 토론 기여님이 골드만 시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골드만 시야 검사 (Goldmann perimetry)</b> 로 중심 시야와 주변 시야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 정상 결과 == 정상인에서 상측과 비측은 약 60˚...)
- 2020년 5월 4일 (월) 02: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암슬러 격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암슬러 격자 (amsler grid)</b> {{외부 사진 |주소=https://images.ctfassets.net/u4vv676b8z52/7dpe5QXDbitL88oZPJeu37/5cb6c6ac161ce207bdca2ee531b7a114/amsler-grid.gif?fm=jpg&...)
- 2020년 5월 4일 (월) 02: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일과성 흑암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일과성 흑암시 (amaurosis fugax; transient visual loss)</b> 는 갑자기 발생하는 일시적 시력 소실을 의미한다. == 증상 == 전형적으로 '커튼이 아래...)
- 2020년 5월 4일 (월)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톨로사-헌트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톨로사-헌트 증후군 (Tolosa-Hunt syndrome)</b> 은 해면 정맥굴의 특발성 육아종성 염증으로 인한 급성 통증성 눈운동 마비가 나타나는 증후군...)
- 2020년 5월 4일 (월) 01:27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하수체졸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b> 뇌하수체 종양 내부 또는 확장된 뇌하수체로의 급성 출혈은 시신경과 시신경 교차의 급성 압박 (시력...)
- 2020년 5월 4일 (월) 01:24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기저 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뇌기저 동맥 첨단부 폐쇄 증후군 (top of the basilar syndrome)</b> 은 뇌기저 동맥 첨단부의 순환 장애로 인하여 시상, 중뇌, 뇌교, 소뇌와 후두...)
- 2020년 5월 4일 (월) 00:46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툴리눔 독소 중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보툴리눔 독소 중독 (botulism)</b> == 원인 == 오염된 캔음식이나 고기 섭취, 창상 오염, 혹은 영아에서의 위장관내 군체 형성 등으로 <i>Clostr...)
- 2020년 5월 4일 (월)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동맥 박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경동맥 박리 (carotid artery dissection)</b> == 증상 == 가장 흔한 증상은 머리, 눈, 턱, 얼굴 또는 목의 통증이다. 통증이 때로 경동맥 박리의 유...)
- 2020년 4월 28일 (화) 0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교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각막 교정 (orthokeratology)</b> 이란 특수하게 디자인된 경성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중심 각막을 편평하게 (또는 원시의 경우 가...)
- 2020년 4월 28일 (화) 01:2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라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알라질 증후군 (Alagille syndrome)</b> 은 특징적인 얼굴 모양, 만성 담즙 정체, 각막 후태생환, 척추의 이상, 심혈관계의 이상을 보이는 질...)
- 2020년 4월 28일 (화) 00: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성 각결막염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중복)
- 2020년 4월 28일 (화) 00: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유행 각결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유행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b> 은 아데노 바이러스 결막염 중 가장 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낸다. == 역학 == 아데노 바이러...)
- 2020년 4월 28일 (화) 00: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외부 사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er> {| |<img src="https://www.eyerounds.org/atlas/pages/Palpebral-vernal-keratoconjunctivitis-VKC/palpebral-VKC-LRG.jpg" width="375px"> |- |<center><small>자갈 모양 유두 (...)
- 2020년 4월 24일 (금) 04: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디쿠아포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디쿠아포솔 (diquafosol)</b> 은 P2Y2 수용체 작용제로 눈물과 점액 분비를 촉진시킨다.)
- 2020년 4월 24일 (금)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항히스타민 제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항히스타민 제제 (antihistamine drugs)</b> == 경구 == 단독으로 계절, 통년 알레르기 결막염 치료에 사용되지 않지만 전신적 알레르기 치료에...)
- 2020년 4월 24일 (금)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기전 == 아라키돈산 대사와 연관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 활동을 감소시켜 PGs 생성, 특히 PGE<sub>2</sub> 와 PGI<sub>2</sub>...)
- 2020년 4월 24일 (금) 0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작용 약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이중 작용 약물 (dual acting agent)</b> 은 항히스타민과 비만 세포 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 == 종류 == * olopatadine HCl 0.1%, 0.2% : 0.2% 는 유일하...)
- 2020년 4월 24일 (금)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후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후천 활차 신경 마비 (acquired trochlear nerve palsy)</b>)
- 2020년 4월 24일 (금) 01: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활차 신경 마비 (congenital trochlear nerve palsy) 는 드물지 않다.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활차 신경과 핵의 무형성, 무발...)
- 2020년 4월 24일 (금) 00: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활차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활차 신경 마비 (trochlear nerve palsy; 4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IV palsy) 는 후천 수직 사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활차 신경 마비는 상사근...)
- 2020년 4월 24일 (금) 00: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이몬드-세스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레이몬드-세스탄 증후군 (Raymond-Céstan syndrome)</b> == 임상 양상 == 등쪽과 배쪽 교뇌 병변으로 같은 쪽 외향 신경 마비와 반대쪽 반신 불...)
- 2020년 4월 24일 (금) 00: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밀라드-귀블러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밀라드-귀블러 증후군 (Millard-Gubler syndrome)</b> == 원인 == 교뇌 저 (basis pontine) 의 배쪽 정중옆 교뇌 (ventral paramedian pons) 병변이 원인이다....)
- 2020년 4월 24일 (금) 00:34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비유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포비유 증후군 (Foville syndrome)</b> == 원인 == 교뇌 덮개 (pontine tegmentum) 병변이 원인으로, 보통 앞아래 소뇌 동맥의 경색 때문에 일어난다. =...)
- 2020년 4월 24일 (금) 00:28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향 신경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외향 신경 마비 (abducens nerve palsy; 6번 뇌신경 마비; cranial nerve VI palsy) 는 단독 눈운동 신경 마비 중 가장 흔하다. 그 중에서도 허혈이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