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2년 3월 18일 (금) 14: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악어 눈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악어는 눈물샘과 침샘이 매우 가까이 붙어 있어 먹이를 먹을 때 눈물을 흘린다고 하며, 이처럼 음식을 먹을 때 눈물이 나는 현상을 '''악어...)
- 2022년 3월 18일 (금) 14:27 Smile 토론 기여님이 얼굴 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얼굴 신경 (facial nerve, 7번 뇌신경)'''{{신경안과}} == 기능 == 얼굴 표정 근육에 대한 운동 지배, 눈물과 침의 분비, 혀 앞쪽 1/2의 맛, 외이의...)
- 2022년 3월 17일 (목) 14: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소혈관 모반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색소혈관 모반증 (phacomatosis pigmentovascularis)'''{{망막}} 은 피부 혈관 기형 (일반적으로 화염상 모반) 과 멜라닌세포 모반 (일반적으로 멜라...)
- 2022년 3월 17일 (목) 11: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피부 멜라닌세포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피부 멜라닌세포증 (oculodermal melanocytosis)''' 은 안구 주위 피부, 공막, 포도막, 안와, 구개, 고막 및 뇌수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천...)
- 2022년 3월 16일 (수) 1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림 치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림 치료 (patching)'''{{소아}} 는 약시에 대한 치료로서, 정상안을 안대로 가리고 약시안을 사용하여 보도록 하는 방법이다. == 단점 == 피...)
- 2022년 3월 16일 (수) 1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바운드 안압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바운드 안압계 (rebound tonometer)''' 는 비교적 적은 숙련으로도 안압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기계다. == 구조 == 측정 말단부는 자성을...)
- 2022년 3월 16일 (수) 12:38 Smile 토론 기여님이 토수플록사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토수플록사신 (tosufloxacin)''' 은 3세대 퀴놀론계 항균약이며, 1990년에 경구제로 시판되어 안과 영역 감염증을 시작으로 각 과에서 감염증...)
- 2022년 3월 16일 (수) 12: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싸이클로스포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사이클로스포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14일 (월)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흑색 세포종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시신경 유두 흑색세포종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14일 (월) 1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모세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모세혈관종 (retinal capillary hemangioma)'''{{망막}} 은 망막 혈관모세포종 (retinal hemangioblastoma) 라고도 부르며 전신 질환과 무관하게 나타...)
- 2022년 3월 14일 (월) 07:05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 근전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 근전도 (ocular electromyography, ocular EMG)''')
- 2022년 3월 13일 (일) 07:27 Smile 토론 기여님이 과립세포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과립세포종 (granular cell tumor)'''{{성형안과}} 은 두경부의 연부 조직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ref>Ordóñez NG et al. Granular cell tumor : a r...)
- 2022년 3월 12일 (토) 02:25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성 대장 용종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가족성 선종 용종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12일 (토) 02:12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족성 대장 용종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족성 대장 용종증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은 대소장내 선종성 용종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전 대장에 걸쳐 수백개의 선종성 용종을...)
- 2022년 3월 12일 (토) 00: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망막 색소상피 비대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색소상피 비대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11일 (금) 14:19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드너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드너 증후군 (Gadner's syndrome) 은 가족성 대장 용종, 연조직의 이상, 골종 및 선천 망막 색소상피 비대증 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1953년...)
- 2022년 3월 11일 (금) 14: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망막 색소 상피 비대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선천 망막 색소상피 비대증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6일 (일) 13:41 Smile 토론 기여님이 남일 연구 (2011-2014)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남일 연구 (2011-2013)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6일 (일) 1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남일 연구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남일 연구 (2011-2014)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3월 6일 (일) 00: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김안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김안과 병원, 서울,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6일 (일) 00:0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이대목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이화여대 안과학교실, 이화여대 목동 병원, 서울,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5일 (토) 23:4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세브란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세브란스병원 안과학교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5일 (토) 23:38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강북삼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강북 삼성병원 안과학교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5일 (토) 23: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강동성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강동 성심병원 안과학교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5일 (토) 1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분당서울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학교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ref>)
- 2022년 3월 5일 (토) 14:31 Smile 토론 기여님이 틀:충남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 name="충남대">충남대학교 병원 안과학교실, 대전, 대한민국</ref>)
- 2022년 3월 5일 (토) 14:30 Smile 토론 기여님이 남일 연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남일 연구 (The Namil Study)''' {{논문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Korea the Namil Study<ref>Kim CS et al; Namil Study Group, KGS. Prevalence of POAG in central South...)
- 2022년 3월 1일 (화) 14:04 Smile 토론 기여님이 리멕솔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멕솔론 (rimexolone)''' 은 1β-hydroxy-16α,17α-dimethyl17-propionyladnorsta-1,4-diene-3-one 의 화학적 구성을 가지고 있는 스테로이드계 약물로서 17번...)
- 2022년 3월 1일 (화) 1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덱사메타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dexamethasone 1mg/mL + tobramycin 3mg/mL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
- 2022년 2월 28일 (월) 09:03 Smile 토론 기여님이 CMC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2022년 2월 28일 (월) 08:52 Smile 토론 기여님이 PDR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DRN (polydeoxyribonucleotide)''')
- 2022년 2월 28일 (월) 08:34 Smile 토론 기여님이 녹내장 섬모체염발증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7일 (일) 1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라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라 (Zeiss AT LARA, 829MP)'''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광학부 종류||회절성, 비구면, 초점 심도 연장 (EDoF) : +0.95, +1.9 D |- |재질||...)
- 2022년 2월 26일 (토) 12:40 Smile 토론 기여님이 SCORE-BRV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ef>Scott IU et al; SCORE Study Research Group.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 TA w standard care to treat vision loss a/w BRVO ME: the SCORE st...)
- 2022년 2월 25일 (금) 14:24 Smile 토론 기여님이 COBAL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examethasone Intravitreal Implant for Early Treatment and Retreatment of Macular Edema Related to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COBALT 연구)<ref>Yoon YH et al. Dexamethasone Intra...)
- 2022년 2월 25일 (금) 14:01 Smile 토론 기여님이 산발 레이저 광응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산발 레이저 광응고 (scatter laser photocoagulation, SLP)'''{{망막}} == 치료 방법 == 레이저 반점 크기 200~500㎛로 중등도의 백색 응고를 * 응고반...)
- 2022년 2월 25일 (금) 13: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격자 레이저 광응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격자 레이저 광응고 (grid laser photocoagulation)'''{{망막}} 은 망막 분지정맥 폐쇄 환자에서 아르곤 blue-green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광 누출...)
- 2022년 2월 24일 (목) 12:1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정맥 폐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정막 폐쇄 (retinal vein occlusion, RVO)'''{{망막}} == 역학 == 시력 상실을 야기하는 망막혈관 질환 중 당뇨 망막병증 (DR) 에 이어 두 번...)
- 2022년 2월 23일 (수) 14: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영양 각막염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신경영양 각막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5: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각 신생혈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각 신생혈관 (NVA)'''{{녹내장}} {{참고}})
- 2022년 2월 22일 (화) 0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중심 정맥 폐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중심정맥 폐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5:03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분지 정맥 폐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분지정맥 폐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5:02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분지 동맥 폐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분지동맥 폐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4: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중심 동맥 폐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망막 중심동맥 폐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4: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주덱스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오저덱스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22일 (화) 00:50 Smile 토론 기여님이 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틱 (tic)''' 이란 불수의적인, 갑작스러운, 반복적인, 목적이 없는, 리듬이 없고, 상동적인 근육의 움직임 또는 소리냄으로 정의한다. 저항...)
- 2022년 2월 22일 (화) 00:08 Smile 토론 기여님이 뚜렛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뚜렛 증후군 (Tourette Syndrome)''' 은 1885년 프랑스 신경과 의사인 Gerges Gilles de la Tourett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는데, 18세 이전에 발생하는 갑...)
- 2022년 2월 21일 (월) 00: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 부전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상측 분절 시신경 형성부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2년 2월 18일 (금) 13:51 Smile 토론 기여님이 펜디메트라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펜디메트라진 (phendimetrazine)'''<ref>허현도 외, 펜디메트라진에 의해 발생한 안 합병증 2예, ''JKOS'' 2012;53(6):895-900</ref> 은 교감신경 흥분제...)
- 2022년 2월 18일 (금) 00: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