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congenital optic disc pigmentation) 은 사상판 앞쪽 혹은 안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유두 전체가 석판 같은 회색을...)
- 2020년 3월 16일 (월)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덮개앞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덮개앞핵 (pretectal nuclei) 은 동공 반응을 담당하는 시삭 신경 섬유는 중뇌의 덮개앞핵에 시냅스한다. 공감 신경 연결이 두 덮개앞핵을 연결...)
- 2020년 3월 16일 (월)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구 (superior colliculus; SC) 는 갑작스러운 시자극에 대한 눈 운동과 머리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tectal plate 안의 후중뇌 (dorsal midbrain)...)
- 2020년 3월 16일 (월) 0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시신경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시신경 유두 (doubling of optic disc) 는 드물게 시신경 유두가 2개인 경우를 말한다. == 발생 기전 == 시신경 말단부가 중복되거나 섬유 다...)
- 2020년 3월 16일 (월) 05: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소대 견인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양체 소대 견인술 (zonular traction tuft) 은 주변부 망막 조직이 앞쪽의 모양체소대 섬유(zonular fiber)에 유착되는 병변이다. == 역학 == Foos는...)
- 2020년 3월 16일 (월) 0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낭포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낭포 망막술 (cystic retinal tuft) 은 유리제 기저에 발생하는 돌출 병변으로 주로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변 기저부의 크기가 0.1~*0 mm로...)
- 2020년 3월 16일 (월)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낭포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낭포 망막술 (noncystic retinal tuft))
- 2020년 3월 16일 (월)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술 (retinal tuft) 은 "발달 이상의 하나로 유리체내로 돌출한 주변부 망막 조직이다. == 역학 == 대부분 남자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 분류...)
- 2020년 3월 16일 (월) 05: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선 복합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선 복합체 (meriodinal complex) 는 모양체 돌기(ciliary process) 와 망막 치아 돌기 (dentate process) 가 동일 선상에 동시에 이어져 발생하는 주...)
- 2020년 3월 16일 (월) 05: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선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선 주름 (meridional fold) 은 망막 톱니둘레 (ora serrata) 에서 시작하여 유리체 방향으로 선상 모양으로 융기(ridge-like elevation)된 불규칙한 표...)
- 2020년 3월 16일 (월) 0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둘러싸인 망막 톱니둘레 굽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둘러싸인 망막 톱니둘레 굽이 (enclosed ora bay) 는 평면부 비색소 상피가 평면부의 나머지로부터 고립되어 주변부 망막 조직에 완전히 또는...)
- 2020년 3월 16일 (월)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톱니둘레 굽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톱니둘레 굽이 (ora bay) 는 "모양체의 평면부가 밍막 톱니둘레의 주변부 망막보다 0.5mm 이상 뒤로 돌출한 부위이며 2.5mm 이상 돌출한 경...)
- 2020년 3월 16일 (월)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아 돌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치아 돌기 (톱니 둘레 돌기) (dentate process) 는 망막 조직이 망막 톱니둘레 부위에서 주변 망막보다 0.5~2.5mm 정도 더 앞으로 돌출된 부위...)
- 2020년 3월 16일 (월) 05: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크리플라스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크리플라스민 (ocriplasmin) (Microplsmin, Jetrea<sup>®</sup> (Thrombogenics. USA)) 은 plasmin에서 효소의 작용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제거한 trunca...)
- 2020년 3월 16일 (월) 05:45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라스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라스민 (plasmin) 은 현재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된 물질로 liquefactant와 interfactant의 복합적인 직용을 하는 약물이다. 직접적으로는 fibri...)
- 2020년 3월 16일 (월)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CV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ral Vein Occlusion Study (CVOS) " == 목적 == * 광응고술이 허혈이 있는 망막 중심정맥 폐쇄 환자에서 홍채 신생혈관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
- 2020년 3월 16일 (월)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BV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ranch Vein Occlusion Study (BVOS) == 목적 == *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한 황반레이저가 망막 분지정맥 폐쇄의 황반 부종에서 시력을 유지하거나 향...)
- 2020년 3월 16일 (월) 0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DRCR.ne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betic Retinopathy Clinical Research Network (DRCR.net) " == 연구의 목적 == 당뇨 황반부종의 치료에 있어서 국소/격자레이저 단독 치료와 유리체깅내 0...)
- 2020년 3월 16일 (월)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티몰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티몰롤 (timolol) 비선택성 β<sub>1</sub>, β<sub>2</sub> 교감 길항제이다. 초기에 개발된 β 차단제와는 달리 각막 마취나 결막하 반흔은 일으키지...)
- 2020년 3월 16일 (월)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탁솔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베탁솔롤 (betaxolol) 은 "다른 β 차단제와는 달리 심장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β<sub>1</sub> 길항제이다. 비록 β<sub>1</sub> 수용체에 좀 더 선...)
- 2020년 3월 16일 (월) 0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보부놀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보부놀롤 (levobunolol) 은 비선택성 베타 차단제이다. 안압 하강 효과와 부작용은 다른 β차단제와 유사하다. == 분류 == * 베타간 (Betagan)...)
- 2020년 3월 16일 (월)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테올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카테올롤 (carteolol) 은 "다른 비선택적 β 차단제와는 달리 투약초기에 일시적인 교감 항진제로 작용하는 내인성 유사교감작용(intrinsic sympat...)
- 2020년 3월 16일 (월)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티프라놀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티프라놀롤 (metipranolol) 은 비선택적 β 차단제로서 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며 방수 유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분류 == - 베타-옵티...)
- 2020년 3월 16일 (월)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싸이목사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싸이목사민 (thymoxamine) 은 고안압에 의해 홍채조임근이 허혈 상태인 경우에도 축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폐쇄각 녹내장이나 색소 녹내장에...)
- 2020년 3월 16일 (월) 05: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알파 교감 길항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알파 교감 길항제 (alpha adrenergic inhibitor) == 병태 생리 == 알파 교감 작동제로 홍채 이완근을 자극하면 산동이 일어나게 된다. 섬모체에서도...)
- 2020년 3월 16일 (월) 05:34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타 차단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심혈관계 질환에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BB) 를 사용한 이후 점안용 베타 차단제가 안압 하강을 목적으로 녹내장 치료제로 개발되었다. 처...)
- 2020년 3월 16일 (월) 03:0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교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교종 (optic nerve glioma) 는 시로의 별아교 세포(astrocytic glia)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털모양 별아교세포종(pilocytic astrocytoma)라고도 한...)
- 2020년 3월 16일 (월)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모세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모세 혈관종 (orbital capillary hemangioma) 은 혈관형성 조직의 양성 증식에 의해 빌생하는 소아서 가장 흔히 발생히는 양성 안와 종양으로...)
- 2020년 3월 16일 (월)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해면 혈관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해면 혈관종 (orbital cavernous hemangioma) 은 어른에서 가정 흔한 양성 안와 종양이다. == 증상 ==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단안에...)
- 2020년 3월 16일 (월)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혈액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혈액 낭종 (hematic cyst) 은 혈액이나 이에 의한 부산물 등이 모여 생긴 만성적 비종양성 종괴이다. == 원인 == 둔상 후 또는 저절로 생기기도...)
- 2020년 3월 16일 (월) 0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점액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점액낭종 (mucocele) 은 코곁굴에서 기원하여 서서히 성장하는 낭종 질환이다. == 역학 == 전체 안와 질환의 3~4%이며, 어른에서 주로 발생한다....)
- 2020년 3월 16일 (월) 0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부 지방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피부 지방종 (dermolipoma) 은 안구 외측의 결막 아래에 생기는 과오종(ham artoma)과 이소종(choristoma) 이다. == 임상 소견 == 결막 아래에 분홍빛을...)
- 2020년 3월 16일 (월) 02:57 Smile 토론 기여님이 기무라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무라병 (Kimura's disease) 은 호산구를 동반히는 혈관 림프구 과형성(angio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 ophilia)으로 불리기도 하며 젊은 성인에게서...)
- 2020년 3월 16일 (월) 02:5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뮤코르 진균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뮤코르 진균증 (orbital mucormycosis) == 역학 == 곰팡이 인와 감염 중 가장 흔하다. == 원인 == Phycomycetes에 의해 발생한다. == 위험 인자 == 정...)
- 2020년 3월 16일 (월)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세균 안와 연조직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세균 안와 연조직염 (microbial orbital cellulitis) == 역학 == 소아 안구 돌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원인 == * 4세 이히의 소아 : Haemophilus에 대한...)
- 2020년 3월 16일 (월) 02:53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아래 신경 감각 저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아래 신경 감각 저하 (infraorbital hypesthesia) " == 병태 생리 == 안와 아래 신경은 안와아래고랑을 지나 얼굴에 분포하므로 안와아래고랑...)
- 2020년 3월 16일 (월) 02:5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심장 반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심장 반사 (oculocardiac reflex) == 역학 == 대개 소아에서 발생한다. 들칭문형 골절에 의해 끼어있는 외안근에 허혈성 괴사가 올 수 있으므...)
- 2020년 3월 16일 (월) 0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뇌척수액 비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뇌척수액 비루 (cerebrospinal fluid rhinorrhea; CSF rhinorrhea) == 역학 == 안와 상벽 골절, 코뼈-안와뼈-벌집뼈 골절 등 벌집굴의 천정부인 체모양판(cr...)
- 2020년 3월 16일 (월) 0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기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와 기종 (orbital emphysema) 은 안와 골절로 인해 발생힌 틈으로 코곁굴을 통해 공기가 안와로 유입된 상태이다. == 역학 == 안외 골절의 익 50%...)
- 2020년 3월 16일 (월) 0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CNT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ollaborative Normal Tension Glaucoma Study (CNTG) " == 목적 ==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압 하강 치료를 시행한 경우와 치료하지 않고...)
- 2020년 3월 16일 (월) 02:50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과민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과민증 (phacoanaphylaxis) 은 환자가 자신의 수정체 단백질에 의해 감작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 원인 == 전형적으로 관...)
- 2020년 3월 16일 (월) 02: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정체 조각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정체 조각 녹내장 (lens particle glaucoma) 안구 관통상이나 수술로 인하여 수정체낭이 파열되면 수정체물질이 전방으로 유출되게 되고 이것...)
- 2020년 3월 16일 (월) 0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DCC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당뇨병 조절 및 합병증 연구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DCCT) == 연구의 목적 == 인슐린 의존 당뇨 환자에서 조기 혈관 합병증 및 신경...)
- 2020년 3월 16일 (월)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KARN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Krypton Argon Regression of Neovascularization Study (KARNS) == 목적 == 당뇨 망막병증에서 크립톤 적색 레이저와 아르곤 청록 레이저의 유두 혈관신생 퇴...)
- 2020년 3월 16일 (월)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SR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Sorbinil Retinopathy Trial (SRT) == 목적 == Sorbinil이 당뇨 망막병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대상 및 방법 == 497 명의 환지를...)
- 2020년 3월 16일 (월) 0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ETD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 목적 == * 당뇨 황반 부종에서 레이저 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법인가? * 범망막 광응고술을 시작하는...)
- 2020년 3월 16일 (월) 0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DRV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betic Retinopathy Vitrectomy Study (DRVS) == 연구의 목적 == * 심한 유리체 출혈이 있는 눈에서 조기 유리체 절제술(출혈발생 1~6개월 내 수술)이 기...)
- 2020년 3월 16일 (월)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DR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betic Retinopathy Study (DRS) == 연구의 목적 == 증식 당뇨망막병증에서 범망막 광응고술이 심한 시력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지와 제논광과 아...)
- 2020년 3월 16일 (월)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SCOR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The Standard Care vs. COrticosteroid for REtinal Vein Occlusion Study (SCORE) == 연구의 목적 == 망막정맥 폐쇄 연관된 황반 부종에서 유리체강 내 triamcinolone...)
- 2020년 3월 16일 (월) 0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CRUIS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A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Ranibizumab Injection in Patients With Macular Edema Secondary to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RUISE) == 목적 == 중심 망막정맥 폐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