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양안 검안경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양안 검안경 검사 (binocular ophthalmoscopy) 는 골드만 삼면경 렌즈, Hruby 렌즈 혹은 double aspheric biconvex lens를 이용한 세극등 현미경 검사이다. ==...)
- 2020년 3월 16일 (월) 06:49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입체 촬영 (stereoscopic optic disc photography) 녹내장의 존재나 진행 여부는 시신경 유두 평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영상을...)
- 2020년 3월 16일 (월) 06: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야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야 검사 (perimetry) 시야 측정의 목적은 '시야의 섬'이 정상으로부터 전반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변화한 정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 분...)
- 2020년 3월 16일 (월)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앞홍채 섬모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급성 앞홍채 섬모체염 (acute anterior iridocyclitis) 은 안염증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이차 녹내장과 관련되는 안염증 중에서 가장 흔한 종류이...)
- 2020년 3월 16일 (월) 06:45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경 보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신경 보호 (neuroprotection) 는 이차적인 신경 세포의 손상을 막아 중추 신경의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신경 보호의 개념이다. 신경...)
- 2020년 3월 16일 (월) 06:44 Smile 토론 기여님이 스완-제이콥 전방각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스완-제이콥 전방각경 (Swan-Jacob gonioscope) == 적응증 == * 내부 절개 섬유주 절개술과 같은 전방각 시술)
- 2020년 3월 16일 (월) 06:43 Smile 토론 기여님이 수술 중 홍채 이완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수술중 홍채 이완 증후군 (intraoperative floppy iris syndrome; IFIS) 은 "2005년 Chang과 Campbell에 의하여 처음 명명되었다. == 임상 소견 == 홍채의 불안...)
- 2020년 3월 16일 (월) 06:42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구 반응 분석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안구 반응 분석기 (ocular response analyzer; ORA) 는 비접촉 안압계의 일종으로, 정면에서 눈에 공기를 분출하고 난 후 각막이 전방 쪽으로 변...)
- 2020년 3월 16일 (월) 0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각막 이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각막 이력 (corneal hysteresis; CH) 은 각막에 가해진 힘에 즉각적이지는 않지만 천천히 뒤따라오는 반응으로 원래의 상태로 완벽히 돌아가지...)
- 2020년 3월 16일 (월) 06:41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출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 출혈 (hyphema) " == 원인 == 안구가 둔상을 받으면 전방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그 외에 홍채 혈관신생, 홍채 흑색종, 포도막염, 혈...)
- 2020년 3월 16일 (월) 06: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맥락막 미세 혈관 탈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맥락막 미세 혈관 탈락 (choroidal microvasculature dropout, CMvD))
- 2020년 3월 16일 (월) 06: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홍채앞 유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주변 홍채앞 유착 (peripheral anterior synechia; PAS) 은 홍채와 섬유주 사이의 유착을 말하며, 방수의 유출을 감소시켜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
- 2020년 3월 16일 (월)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공 편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공 편위 (corectopia) 는 동공이 눈의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 원인 == 고도 근시 또는 수정체 편위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 2020년 3월 16일 (월) 06:38 Smile 토론 기여님이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방 깊이 (anterior chamber depth; ACD) == 분류 == * 중심 전방 깊이 * 주변 전방 깊이)
- 2020년 3월 16일 (월)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전방 깊이 (central anterior chamber depth; CACD) 는 중심부 각막의 후면에서 수정체 전면까지의 거리이며, 원발 폐쇄각 녹내장에서는 전방...)
- 2020년 3월 16일 (월) 06: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주변 전방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든 종류의 원발 폐쇄각 녹내장에서 얕으므로 주변 전방 깊이 (peripheral anterior chamber depth; PACD) 를 측정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
- 2020년 3월 16일 (월) 06:36 Smile 토론 기여님이 포도막염 녹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 (uveitic glaucoma) 은 일반적으로 안염증이 있을 때에는 방수의 생산이 줄어 안압이 하강하지만 방수 유출률이 저하...)
- 2020년 3월 16일 (월) 06:35 Smile 토론 기여님이 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젠 (XEN) gel implant 는 6mm 의 친수성 튜브이다. == 적응증 == *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 * 충분한 안약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원발 개방각 녹내...)
- 2020년 3월 16일 (월) 06:3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아이 스텐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이 스텐트 (iStent))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브루크막 개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브루크막 개방 (Bruch membrane opening; BMO))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평면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양체 평면부 (pars plana) 는 포도막의 섬모체의 한 부분이고, 눈을 구성하는 세 층 중의 중간층이다. 길이는 4mm 정도로 홍채와 공막의 경계...)
- 2020년 3월 16일 (월) 06:3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결막 낭종 (conjunctival cyst) == 원인 == * 선천적 * 후천적 : 염증이나 봄철 각결막염 후 염증 반응,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외상 후, 수술...)
- 2020년 3월 16일 (월) 06:32 Smile 토론 기여님이 중심 시야 결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중심 시야 결손 (central visual field defect; CVFD) 은 중심 10˚ 내에 P < 0.05 인 연속한 세 개 이상의 점 또는 중심 5˚ 에서 P < 0.01 인 1개 이상의 점...)
- 2020년 3월 16일 (월)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증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제목 오류)
- 2020년 3월 16일 (월) 06:31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색소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색소 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RP) 은 진행성 광수용체의 기능 장애로 양안을 모두 침범하며 시야 손상이 진행하고, 전기 생리검사에...)
- 2020년 3월 16일 (월) 06:30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유두 드루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신경 유두 드루젠 (optic disc drusen; ODD) == 발생 기전 == 시신경관 또는 시신경 유두와 혈관의 형성 이상으로 인해 사상판이 좁아지고, 그...)
- 2020년 3월 16일 (월) 06:28 Smile 토론 기여님이 동측 시신경 유두 반절 형성 부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동측 시신경 유두 반절 형성 부전 (homonymous hemioptic hypoplasia) 은 선천적으로 편측 대뇌반구 병변이 있어 시신경 교차 후방의 시각 경로에...)
- 2020년 3월 16일 (월) 06:20 Smile 토론 기여님이 거대 시신경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거대 시신경 유두 (megalopapilla) 은 "유두가 비정상적으로 크지만 (직경 2.1mm 이상) 형태학적으로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을 말한다. == 역학 ==...)
- 2020년 3월 16일 (월) 06: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선천 시신경 유두 색소 침착 (congenital optic disc pigmentation) 은 사상판 앞쪽 혹은 안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유두 전체가 석판 같은 회색을...)
- 2020년 3월 16일 (월)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덮개앞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덮개앞핵 (pretectal nuclei) 은 동공 반응을 담당하는 시삭 신경 섬유는 중뇌의 덮개앞핵에 시냅스한다. 공감 신경 연결이 두 덮개앞핵을 연결...)
- 2020년 3월 16일 (월) 06: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상구 (superior colliculus; SC) 는 갑작스러운 시자극에 대한 눈 운동과 머리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tectal plate 안의 후중뇌 (dorsal midbrain)...)
- 2020년 3월 16일 (월) 06: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이중 시신경 유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중 시신경 유두 (doubling of optic disc) 는 드물게 시신경 유두가 2개인 경우를 말한다. == 발생 기전 == 시신경 말단부가 중복되거나 섬유 다...)
- 2020년 3월 16일 (월) 05:57 Smile 토론 기여님이 모양체 소대 견인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모양체 소대 견인술 (zonular traction tuft) 은 주변부 망막 조직이 앞쪽의 모양체소대 섬유(zonular fiber)에 유착되는 병변이다. == 역학 == Foos는...)
- 2020년 3월 16일 (월) 05:55 Smile 토론 기여님이 낭포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낭포 망막술 (cystic retinal tuft) 은 유리제 기저에 발생하는 돌출 병변으로 주로 교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변 기저부의 크기가 0.1~*0 mm로...)
- 2020년 3월 16일 (월)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낭포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비낭포 망막술 (noncystic retinal tuft))
- 2020년 3월 16일 (월) 05:54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술 (retinal tuft) 은 "발달 이상의 하나로 유리체내로 돌출한 주변부 망막 조직이다. == 역학 == 대부분 남자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 분류...)
- 2020년 3월 16일 (월) 05: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선 복합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선 복합체 (meriodinal complex) 는 모양체 돌기(ciliary process) 와 망막 치아 돌기 (dentate process) 가 동일 선상에 동시에 이어져 발생하는 주...)
- 2020년 3월 16일 (월) 05:53 Smile 토론 기여님이 경선 주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경선 주름 (meridional fold) 은 망막 톱니둘레 (ora serrata) 에서 시작하여 유리체 방향으로 선상 모양으로 융기(ridge-like elevation)된 불규칙한 표...)
- 2020년 3월 16일 (월) 05:51 Smile 토론 기여님이 둘러싸인 망막 톱니둘레 굽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둘러싸인 망막 톱니둘레 굽이 (enclosed ora bay) 는 평면부 비색소 상피가 평면부의 나머지로부터 고립되어 주변부 망막 조직에 완전히 또는...)
- 2020년 3월 16일 (월)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톱니둘레 굽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톱니둘레 굽이 (ora bay) 는 "모양체의 평면부가 밍막 톱니둘레의 주변부 망막보다 0.5mm 이상 뒤로 돌출한 부위이며 2.5mm 이상 돌출한 경...)
- 2020년 3월 16일 (월) 05:48 Smile 토론 기여님이 치아 돌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 치아 돌기 (톱니 둘레 돌기) (dentate process) 는 망막 조직이 망막 톱니둘레 부위에서 주변 망막보다 0.5~2.5mm 정도 더 앞으로 돌출된 부위...)
- 2020년 3월 16일 (월) 05: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오크리플라스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크리플라스민 (ocriplasmin) (Microplsmin, Jetrea<sup>®</sup> (Thrombogenics. USA)) 은 plasmin에서 효소의 작용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제거한 trunca...)
- 2020년 3월 16일 (월) 05:45 Smile 토론 기여님이 플라스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플라스민 (plasmin) 은 현재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된 물질로 liquefactant와 interfactant의 복합적인 직용을 하는 약물이다. 직접적으로는 fibri...)
- 2020년 3월 16일 (월) 05:42 Smile 토론 기여님이 CV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entral Vein Occlusion Study (CVOS) " == 목적 == * 광응고술이 허혈이 있는 망막 중심정맥 폐쇄 환자에서 홍채 신생혈관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
- 2020년 3월 16일 (월) 05:41 Smile 토론 기여님이 BVO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ranch Vein Occlusion Study (BVOS) == 목적 == *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한 황반레이저가 망막 분지정맥 폐쇄의 황반 부종에서 시력을 유지하거나 향...)
- 2020년 3월 16일 (월) 05:40 Smile 토론 기여님이 DRCR.ne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iabetic Retinopathy Clinical Research Network (DRCR.net) " == 연구의 목적 == 당뇨 황반부종의 치료에 있어서 국소/격자레이저 단독 치료와 유리체깅내 0...)
- 2020년 3월 16일 (월)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티몰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티몰롤 (timolol) 비선택성 β<sub>1</sub>, β<sub>2</sub> 교감 길항제이다. 초기에 개발된 β 차단제와는 달리 각막 마취나 결막하 반흔은 일으키지...)
- 2020년 3월 16일 (월) 05:39 Smile 토론 기여님이 베탁솔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베탁솔롤 (betaxolol) 은 "다른 β 차단제와는 달리 심장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β<sub>1</sub> 길항제이다. 비록 β<sub>1</sub> 수용체에 좀 더 선...)
- 2020년 3월 16일 (월) 05:38 Smile 토론 기여님이 레보부놀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레보부놀롤 (levobunolol) 은 비선택성 베타 차단제이다. 안압 하강 효과와 부작용은 다른 β차단제와 유사하다. == 분류 == * 베타간 (Betagan)...)
- 2020년 3월 16일 (월) 05: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카테올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카테올롤 (carteolol) 은 "다른 비선택적 β 차단제와는 달리 투약초기에 일시적인 교감 항진제로 작용하는 내인성 유사교감작용(intrinsic symp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