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0년 3월 21일 (토) 01:43 Smile 토론 기여님이 르 포트 골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르 포트 골절 (Le Fort fracture)</b> 1901년 Le Fort는 얼굴 골격에서 가장 강한 기둥 역할을 하는 부분을 'pillars of resistance'라고 명명하였고, 얼...)
- 2020년 3월 21일 (토)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외상성 안내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외상성 안내염 (traumatic endophthalmitis)</b> == 역학 == 천공상의 2~7%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안내 이물이 남아 있거나, 수정...)
- 2020년 3월 21일 (토) 01:40 Smile 토론 기여님이 번지 점프 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번지 점프 망막병증 (bungee jumping retinopathy) == 병태 생리 == 아마도 번지 점프 시에 생기는 가속-감속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
- 2020년 3월 21일 (토) 01:39 Smile 토론 기여님이 용접 광망막병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용접 광망막병증 (welding arc retinopathy) 은 "용접광에 의한 안 손상 중 광선 각막염이 가장 흔하지만, 망막 손상도 일어날 수 있다. == 역학 ==...)
- 2020년 3월 21일 (토) 01:37 Smile 토론 기여님이 짧은 섬모체 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짧은 섬모체 신경 (short ciliary nerve)</b> 은 섬모체 신경절로부터 8~20개가 나온다. 대부분 시신경 이측의 후극부에서 공막을 뚫고 들어가서...)
- 2020년 3월 21일 (토) 01:36 Smile 토론 기여님이 섬모체 신경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섬모체 신경절 (ciliary ganglion; CG) 은 안구 1.5~2.0cm 후방 시신경과 외직근 사이에 위치한다. 세포체의 대부분이 부교감 신경절 세포이며, 이...)
- 2020년 3월 21일 (토) 01:35 Smile 토론 기여님이 피질 실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피질 실명 (대뇌 실명; cortical blindness)</b> 은 은 후두엽 시피질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 실명이며, 대뇌 시각 상실은 더 일반적인 용어로...)
- 2020년 3월 20일 (금)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조 주위 피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조 주위 피질 (peristriate cortex)</b> 은 "후부 두정엽과 측두엽의 일부를 차지한다. V3와 V3A에 있는 대부분의 세포는 양안으로부터 자극을...)
- 2020년 3월 20일 (금) 03:19 Smile 토론 기여님이 부선조 피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부선조 피질 (parastriate cortex; )</b> 은 V1 다음의 후두엽을 차지한다. V2는 선조외 피질 중 가장 큰 시각 영역이며 망막과 시상 베개로부터...)
- 2020년 3월 20일 (금)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조 피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람에서 일차 시피질은 조거열의 위와 아래에 위치해 있고 흰 선상의 줄이 보이기 때문에 <b>선조 피질 (striate cortex)</b> 이라 불린다. 대뇌...)
- 2020년 3월 20일 (금) 03:18 Smile 토론 기여님이 마이어 고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마이어 고리 (Meyer's loop)</b> 는 같은 쪽 눈에서 오는 신경 섬유들이 반대쪽 눈에서 오는 신경 섬유들보다 바깥쪽을 차지한다. 단안 시야(...)
- 2020년 3월 20일 (금) 03:17 Smile 토론 기여님이 시신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망막의 신경절 세포에서 시작되는 축삭이 시신경 유두에 모여서 공막을 뚫고 밖으로 나와 <b>시신경 (optic nerve)</b> 이 된다. 황반에서...)
- 2020년 3월 20일 (금) 0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행성 핵상 마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진행성 핵상 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b> 는 나이 많은 사람에게 일어나는 변성 질환이다. == 증상 == 점진적인 안구 운동 장애,...)
- 2020년 3월 20일 (금) 03:16 Smile 토론 기여님이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편두통 (migraine)</b> == 역학 == 30~45세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흔하다. 사춘기 전에는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나 사춘기가 지...)
- 2020년 3월 20일 (금)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근 마비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근 마비 편두통 (ophthalmoplegic migraine)</b> == 병태 생리 == 편두통 때 삼차 신경 혈관계에 의해서 혈관으로부터 신경 펩티드가 나오고 이...)
- 2020년 3월 20일 (금) 03:15 Smile 토론 기여님이 망막 편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망막 편두통 (retinal migraine)</b> 은 단안의 현상으로, 두통과 더불어 단안의 섬광 현상, 암점, 불빛 등이 보이며 가역적이고 두통이 없을...)
- 2020년 3월 20일 (금) 03:1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신경 근긴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신경 근긴장 (ocular neuromyotonia)</b> 은 빠른 신경의 발화로 인한 지속적인 외안근의 수축으로, 근막의 이상으로 인한 근긴장증과는 다르...)
- 2020년 3월 20일 (금) 03:13 Smile 토론 기여님이 선천 근무력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선천 근무력 증후군 (congenital myasthenic syndrome; CMS)</b> 은 유전적인 신경-근 전달 장애로, 후천적 자가 면역 중증 근무력증과 여러 면에...)
- 2020년 3월 20일 (금) 0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신생아 근무력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은 중증 근무력증 산모가 분만할 때는 <b>신생아 근무력증 (neonatal myasthenia)</b> 에 대한 치료를 준비해야 한다. == 역학 == 출생 후 72시간...)
- 2020년 3월 20일 (금) 03:12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겔 색각 검사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나겔 색각검사경 (Nagel's anomaloscope)</b> 은 적색광과 녹색광을 적당히 혼합하면 색채와 명도에 있어서 표준 황색광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 2020년 3월 20일 (금) 03:11 Smile 토론 기여님이 색등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색등 검사 (lantern test)</b> 는 미 해군에서 처음 군인들의 색각 이상 선별 검사를 위해 개발되었던 것으로 철도, 선박, 항공 종사자를 대상...)
- 2020년 3월 20일 (금) 03:10 Smile 토론 기여님이 사진 굴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사진 굴절 검사 (photorefraction; PR)</b> 은 광원을 장착한 사진기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사진기의 렌즈보다 약간 아래쪽에 광원을 부착해서...)
- 2020년 3월 20일 (금) 0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조절 마비 굴절 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조절 마비 굴절 검사 (cycloplegic refraction; CR)</b> == 적응증 == * 과도한 조절을 하는 원시 환자 * 정신 지체 환자 * 집중력이 떨어지는 어린이...)
- 2020년 3월 20일 (금) 03:09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사근 후전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하사근 후전술 (inferior oblique recession)</b> 하사근 기능 항진의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b>하사근 후전술 (inferior oblique recession)</b> 을...)
- 2020년 3월 20일 (금) 03:08 Smile 토론 기여님이 하사근 전치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하사근 전치술 (inferior oblique anterior transposition)</b> 은 하사근 부착부를 적도 앞으로 옮김으로써 그 <span style='color:blue;'>힘의 벡터를 상전...)
- 2020년 3월 20일 (금) 03:07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근 뒤쪽 힘줄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사근 뒤쪽 힘줄 절제술 (superior oblique posterior tenectomy)</b> 은 "상사근의 회선을 담당하는 앞쪽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span style='col...)
- 2020년 3월 20일 (금) 03:06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근 힘줄 연장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사근 힘줄 연장술 (superior oblique tendon lengthening)</b> == 역사 == 1991년 Wright는 상사근 기능 항진의 단계적인 약화를 위해 실리콘 밴드...)
- 2020년 3월 20일 (금) 03:05 Smile 토론 기여님이 출혈 림프관 확장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출혈 림프관 확장증 (hemorrhagic lymphangiectasia)</b> == 병태 생리 == 안구 결막에 불규칙적으로 확장된 림프관에 주기적인 출혈이 생겨 나타난...)
- 2020년 3월 20일 (금) 03:01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샘 소관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눈물샘 소관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 역학 == 흔하지 않다. == 원인 == * <i>Actinomyces</i> 감염 * 매복된 눈썹 == 증상 ==...)
- 2020년 3월 20일 (금) 03:00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샘 소관 낭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샘 소관 낭포 (lacrimal ductal cyst)</b>)
- 2020년 3월 20일 (금)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꺼풀판내 각질 낭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꺼풀판내 각질 낭종 (intratarsal keratinous cyst)</b> 은 눈꺼풀판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양성 종양으로, 이전에는 몇몇 증례 보고에서...)
- 2020년 3월 20일 (금) 02:59 Smile 토론 기여님이 눈물샘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눈물샘염 (dacryoadenitis)</b> 은 눈물샘에 발생한 염증 침윤을 말한다. == 증상 == 눈물샘이 위치하는 상외측 안와에 통증, 부족, 발적이 발생...)
- 2020년 3월 20일 (금) 02:58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성 전방 축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성 전방 축농 (pseudohypopyon)</b> 은 유리체강내 triamcinolone 주사 후 전방에 침윤한 세포의 축적으로, 전방축농과 유사하지만 종양 또는 안...)
- 2020년 3월 20일 (금) 0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급성 눈물 주머니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급성 눈물주머니염 (acute dacryocystitis)</b> " == 증상 == 눈물 주머니 부위에 심한 부종과 압통,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감별...)
- 2020년 3월 20일 (금) 02:56 Smile 토론 기여님이 가쪽 안와 절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가쪽 안와 절개술 (lateral orbitotomy)</b> 은 안와 앞쪽의 위치한 일부 종양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안와 종양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 2020년 3월 20일 (금)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와 정맥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와 정맥류 (orbital varix)</b> 는 만성 안구 돌출의 원인 중 하나이며, 비정상 정맥계로 이루어진 종괴로 구성되어 있고, 혼합된 혈관 기형...)
- 2020년 3월 20일 (금) 02:54 Smile 토론 기여님이 커틀러-버드 술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커틀러-버드 술기 (Cutler-Beard procedure)</b> 는 교량 피판 술식(bridge flap prpcedure)이라고도 하며 아랫눈꺼풀에서 피부, 근육, 결막을 모두 포...)
- 2020년 3월 20일 (금) 02:51 Smile 토론 기여님이 안쪽 방추형 결막 절제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안쪽 방추형 결막 절제술 (medial spindle operation)</b> 은 아래 눈물점 밑에 있는 결막을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절제한 후 눈물점이 안쪽으로...)
- 2020년 3월 20일 (금) 02:50 Smile 토론 기여님이 나비뼈 날개 수막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나비뼈 날개 수막종 (sphenoid wing meningioma)</b> 안와에서 발생한 수막종의 대부분은 나비뼈의 뇌쪽에서 발생하여 이차로 안와를 침범한다....)
- 2020년 3월 20일 (금) 02:48 Smile 토론 기여님이 변형 휴스 술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변형 휴스 술식 (modified Hewes procedure)</b> == 적응증 == 아랫눈꺼풀 결손의 위치가 <span style='color:blue;'>가쪽 1/2에 있으면서 결손의 깊이가 얕...)
- 2020년 3월 20일 (금) 0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메이지 증후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메이지 증후군 (Meige syndrome)</b> 은 특발성 구강하악 근이상 (idiopathic orofacial dystonia) 이라고도 하며, 눈꺼풀 연축에 구강하악 근육 이상증...)
- 2020년 3월 20일 (금) 02:47 Smile 토론 기여님이 연합 눈벌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연합 눈벌림 (synergistic divergence)</b> == 역학 == 아주 드물다. == 원인 == 원인은 잘 알 수 없으나 듀안 안구후퇴 증후군과 비슷한 비정상...)
- 2020년 3월 20일 (금)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상사근 접치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상사근 접치기 (superior oblique tucking; SO tucking)</b> 는 양을 평가하기 어려운 수술이다. == 적응증 == 아래쪽과 코쪽을 볼 때 사시각이 가장...)
- 2020년 3월 20일 (금) 02:46 Smile 토론 기여님이 쉬발베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쉬발베선 (Schwalbe's line)</b> 은 전방각의 가장 높은 부위에 투명한 각막이 끝나는 곳에 희고 불투명한 부분이 그 뒤의 다소 투명한 섬유주...)
- 2020년 3월 20일 (금) 02:45 Smile 토론 기여님이 공모양 각막 변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공모양 각막 변성 (spheroidal degeneration)</b> 은 문헌에서 Bietti 결정 각막 변성, Labrador 각막병증, 기후 작은 방울 각막병증, degeneratio corneae sp...)
- 2020년 3월 20일 (금) 02:44 Smile 토론 기여님이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keratitis; NTM keratitis)</b> 은 "비정형 (atypical) 마이코박테리아 각막염이라고도 하...)
- 2020년 3월 20일 (금)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보그트 울타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보그트 울타리 (palisade of Vogt)</b> 는 각막 경계에 수직선상으로 발달한 섬유혈관성 능선을 말하며, 각막 상피에서 시작되며 바퀴살과 같...)
- 2020년 3월 20일 (금) 02:42 Smile 토론 기여님이 결막 림프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결막 림프종 (conjunctival lymphoma)</b> == 조직병리 == 잘 분화된 림프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작고 성숙한 단핵성 림프구를 갖고 있으며, 다발...)
- 2020년 3월 20일 (금) 02:41 Smile 토론 기여님이 헤르페스 상피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헤르페스 상피 각막염 (herpetic epithelial keratitis; HEK)</b> 은 감염 상피 각막염(infectious epithelial keratitis; IEK)이라고도 하며, 임상적으로 가장...)
- 2020년 3월 20일 (금) 02:40 Smile 토론 기여님이 진균 각막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b>진균 각막염 (fungal keratitis)</b> 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 천천히 진행하고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아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